메뉴 건너뛰기

지난 10일 투르크메니스탄 국빈 만찬에 초대받은 윤석열 대통령 부부가 투르크메니스탄 국견 알라바이 품종 강아지 두 마리를 안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윤석열 대통령 부부가 중앙아시아 3국 순방 과정에서 투르크메니스탄의 국견을 선물받았습니다. 양국의 우호를 증진하기 위한 통상적 선물이라지만, 동물을 물건처럼 선물로 주고받는 모습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도 있습니다.

11일 대통령실은 윤 대통령 부부가 투르크메니스탄 최고지도자 구르반굴리 베르디무하메도프 인민의사회 의장으로부터 ‘알라바이’ 품종 강아지를 선물받았다고 밝혔습니다. 알라바이는 투르크메니스탄의 국견으로 유목 생활을 하는 투르크메니스탄인들을 지켜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윤 대통령 부부는 강아지를 선물받기 전날 열린 국빈 만찬에서 알라바이 강아지 3마리를 만나는 시간도 가졌습니다. 이 자리에서 대통령부인 김건희 여사는 한국의 진돗개를 소개하며 두 국견이 모두 강하고 용감하다는 점에서 닮았다고 밝혔습니다. 김 여사는 알라바이를 선물받은 뒤 “투르크메니스탄의 보물을 선물받아 매우 영광”이라며 “양국 협력의 징표로 소중히 키워나가고 동물 보호 강화를 위해 더 힘쓰겠다”고 화답했습니다.

그러나 이런 ‘국가 정상 간 동물 선물’이 동물을 물건으로 취급하는 구시대적인 발상이라는 지적은 계속해서 나오고 있습니다. 동물복지문제연구소 ‘어웨어’의 이형주 대표는 “대통령이라면 감응력이 있는 동물을 선물로 주고받는 게 동물보호, 생명 감수성에 반하는 일이라는 걸 알아야 한다”면서 “정상 간 선물은 사전에 조율하는 게 일반적인데, 그때 정중하게 거절했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문재인 전 대통령도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으로부터 풍산개 두 마리를 선물받았다. 사진 속 풍산개들은 선물받은 풍산개의 새끼들이다. 문재인 정부 청와대 제공


정상 간 동물 선물에 대한 비판 여론이 없었던 것도 아닙니다. 과거 문재인 전 대통령이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으로부터 풍산개 ‘곰이’와 ‘송강이’를 선물받았을 당시에도 비판 여론이 있었습니다. 녹색당은 이에 대해 논평하면서 “고유한 삶이 있는 존재를 정치적 도구로 이용하는 것은 시대 흐름에 역행하는 구태적 행정 발상”이라고 지적한 적이 있습니다.

오히려 동물복지 선진국에서는 동물을 직접 선물하기보다 생명 존중의 의미를 담은 특별한 선물을 전하기도 합니다. 오스트리아는 문 전 대통령이 2021년 6월 국빈 방문할 당시, 빈 시의 대표 동물원인 쇤브룬 동물원의 시베리아 호랑이 후원자로 문 전 대통령을 지명했습니다. 한국의 상징인 호랑이를 양국 우호 관계를 보여주는 데 적극 활용한 사례입니다.

2021년 문 전 대통령이 오스트리아에 방문할 당시, 오스트리아 총리는 방문을 기념해 문 대통령을 쇤브룬 동물원 시베리아 호랑이의 후원자로 지명했다. 이는 동물을 선물로 보내는 외교 관례에 비해 동물복지 선진국의 면모를 보여준 행보로 평가받았다. 문재인 정부 청와대 페이스북


선물로 받은 동물의 지위가 불문명한 점도 문제입니다. 이미 문 전 대통령이 선물 받은 풍산개 두 마리는 법적으로 반려동물이 아닌 ‘대통령선물’인 관계로 개인이 소유할 수 없습니다. 이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시행령 개정이 논의됐지만, 개정이 지지부진해지며 결국 풍산개는 대통령기록관에 반환됐습니다.

연관기사
• ‘곰이’와 ‘송강이’는 어쩌다 평산마을을 떠났나.. 엇갈리는 쟁점 3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2111222230002106)

현재 풍산개들은 광주 우치동물원에서 지내는 중입니다. 풍산개를 어디에 둘지에 대해 윤 대통령이 이어받아 키우는 방안도 논의됐지만, 김대기 당시 대통령 비서실장은 “지금 (윤 대통령이) 한 10마리 정도 키우는 것 같다”며 “애완견을 더 들이기는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한 바 있습니다. 다만 이 발언 이후 윤 대통령은 은퇴 안내견 ‘새롬이’를 입양해 반려동물 11마리를 키우고 있습니다.

이 대표는 “과거에 있었던 절차적 문제들을 알고 있으면서도 동물 선물을 또 받아 오는 게 제대로 된 외교 행보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고 덧붙였습니다. 과연 이번에 선물 받은 강아지는 한국에서 어떤 삶을 보내게 될지 더 지켜봐야 할 듯합니다.

정진욱 동그람이 에디터 [email protected]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067 “제로 열풍 타고 ‘그분’ 오셨다”…지방·칼로리 싹 빼고 회춘한 ‘이 음료’ 랭크뉴스 2024.06.29
45066 "故서세원, 나랑 살았으면 안 죽었다"…서정희 공황장애 고백 랭크뉴스 2024.06.29
45065 "간 이식까지"...젊은층 덜컥, 여름철 응급실 1위 감염병 뭐길래 랭크뉴스 2024.06.29
45064 바이든 후보 교체론 고개…"재앙" 민주 패닉, TV토론 후폭풍 랭크뉴스 2024.06.29
45063 김홍일도 이동관처럼 자진사퇴?‥"이상인 부위원장도 탄핵 대상" 랭크뉴스 2024.06.29
45062 ‘고령 리스크’ 바이든, 토론서 못 알아들어…후보 교체론 터져 나와 랭크뉴스 2024.06.29
45061 목 푹 잠긴 바이든 첫 마디, 트럼프 득의의 미소 지었다 [미 대선 첫 TV토론] 랭크뉴스 2024.06.29
45060 선배 딸 성폭행해 숨지게 한 50대男…사건 3년 만에 구속 왜? 랭크뉴스 2024.06.29
45059 '동탄 성범죄' 누명 벗은 20대男…여성 "허위신고" 자백 랭크뉴스 2024.06.28
45058 "대만판 n번방"…미성년자 불법영상까지 사고 판 '창의사방' 랭크뉴스 2024.06.28
45057 미국 5월 개인소비지출 물가 2.6%↑···예상치 부합 랭크뉴스 2024.06.28
45056 국힘 지지층서 당대표 한동훈 1위…원·윤, ‘배신의 정치’ 비판 랭크뉴스 2024.06.28
45055 그 의사도 20년차 탈모인이다…괴로운 중년 위한 '득모법' 랭크뉴스 2024.06.28
45054 [현장@이란대선] 모스크서 한표…투표지에 후보이름 볼펜으로 써 랭크뉴스 2024.06.28
45053 TV토론 후폭풍에도 바이든 이어 캠프도 "중도하차 없다" 일축 랭크뉴스 2024.06.28
45052 유승민 “조작? 유가족 앞 담을 수 없는 말···윤 대통령, 사실 밝혀라” 랭크뉴스 2024.06.28
45051 나스닥 간 네이버웹툰, ‘아시아 디즈니’ 꿈…“100년 기업 될 것” 랭크뉴스 2024.06.28
45050 ‘동탄 화장실 성범죄’ 20대男 누명 벗었다 랭크뉴스 2024.06.28
45049 야3당 “대통령이 몸통…방통위, 방송장악 첨병 자처” 랭크뉴스 2024.06.28
45048 바이든 첫 마디 듣자마자, 트럼프 미소지었다…대체 어땠길래 [미 대선 첫 TV토론] 랭크뉴스 2024.0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