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tvN '미생'

[서울경제]

“100세 시대에 가능한 한 오래 직장 생활을 하고 싶어요"

과거 빠른 승진을 원하던 분위기와 달리 최근에는 워라밸을 누리며 오히려 천천히 승진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HD현대중공업 노조는 올해 임단협에 ‘승진거부권’을 넣었다. HD현대중공업의 생산직 직급은 7~4급(14년)-기원(6년)-기장(6년)-기감(6년)-기정(기한 없음) 8단계로, 사무직은 매니저(4년)-선임매니저(4년)-책임매니저(기한 없음) 3단계로 구성된다.

생산직의 경우 기장에서 기감 이상으로, 사무직은 선임에서 책임 이상으로 승진하면 노조에서 자동 탈퇴하게 되는데 이때 승진을 거부할 수 있게 해달라는 것이다.

노조 관계자는 “비조합원으로 전환되면서 각종 혜택을 포기해야 하는 점과 임금체계가 변경돼 경쟁이 과열되는 것에 대해 조합원들이 부담을 느끼는 점을 반영했다”고 말했다. 조합원 입장에선 고용 안정을 위한 안전장치로, 노조 입장에선 줄어드는 조합원 숫자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되도록 '길게' 회사에 남아있으려는 욕구도 커지고 있다. 현대차·기아 노조는 만60세 정년을 64세로 HD현대그룹 조선 3사 노조와 삼성그룹 노조연대, LG유플러스 제2노조는 60→65세로 늘려줄 것으로 요구했다.

이는 젊은 층에선 워라밸을 통한 개인 행복을 선호하는 문화가 자리잡고 있고, 은퇴가 머지않은 중·장년층은 되도록 오래 회사에 남아있고 싶은 욕구가 반영된 것이란 풀이다.

실제 ‘승진 코스’로 통하는 기획부·인사부 등 본사 핵심 부서 근무가 과거 직장인에게 선망의 대상이었지만, 최근 2030 직장인들 사이에선 선호도가 떨어지는 현상이 나타난다.

지난해 취업 플랫폼 잡코리아가 MZ세대(1980년대 초∼2000년대 초 출생) 직장인 1114명을 설문조사한 결과, 54.8%가 '임원 승진 생각이 없다'고 답했다. 이유로는 '책임을 져야 하는 위치가 부담스러워서'(43.6%)라는 응답 비율이 가장 높았고 '임원 승진이 현실적으로 어려울 것 같아서'(20.0%), '임원은 워라밸(일과 생활의 균형)이 불가능할 것 같아서'(13.3%)가 뒤를 이었다.

평균수명이 길어지면서 은퇴 후 생계유지에 대한 걱정이 커지고 있다는 점도 한몫한다. 지난해 12월 한국고용정보원 고용동향브리프의 ‘고령 인구의 경제활동과 노후 준비’ 보고서에 따르면 65~79살 고령자 55.7%가 ‘계속 일하고 싶다’고 응답했다. 2013년 응답률 43.6%보다 12.1%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계속 일하고 싶다고 답한 응답자의 절반 이상(52.2%)는 '생활비'를 이유로 꼽았다.

이에 노동계에선 법정정년 연장까지 이어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크다. 한국은 2013년 법정정년을 60세로 연장한 이후 약 10년간 변동이 없는 상태다. 국민연금 수령 개시 연령이 현재 63세에서 2028년 64세, 2033년엔 65세로 늘어나게 된 것과 비교하면 퇴직 후 국민연금을 받을 때까지 ‘소득 크레바스(소득 공백 기간)’ 기간이 늘어나고 있는 상황이다.

국회 입법조사처는 최근 발간한 '제22대 국회 입법정책 가이드북'에서 “저출산 고령화 심화에 따른 노동 공급 부족 및 연금 재정 악화, 미래세대의 부담 등을 고려해 정년연장은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정년연장 방식에 있어서는 다양성을 추구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입법조사처는 “정년연장 외에도 '계속고용' 및 '재고용' 등의 형태도 가능하게 해 기업에 유연한 방식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직무급 임금체계와 임금피크제 도입 시행 적극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102 김행·진중권, 라디오방송 중 거친 언쟁…잠시 마이크 꺼지기도 랭크뉴스 2024.03.16
45101 9년 전 '암 투병' 야구소년‥제복 입고 새로운 '마운드'로 랭크뉴스 2024.03.16
45100 황상무 대통령실 수석, ‘회칼 테러’ 언급 “사과드린다” 랭크뉴스 2024.03.16
45099 전국 의대 교수 “25일부터 사직서 제출키로” 랭크뉴스 2024.03.16
45098 공항서 LA다저스 선수단에 날계란 던진 20대 "기분 나빠서" 랭크뉴스 2024.03.16
45097 ‘文정부’ 부동산 국가통계 조작에 檢 “처벌 규정 높여야” 목소리 [서초동 야단법석] 랭크뉴스 2024.03.16
45096 “총선 뒤 고소” “하세요”…김행·진중권, 생방송 중 언쟁에 마이크도 껐다 랭크뉴스 2024.03.16
45095 ‘튤립 버블’ 오명 벗나…돌아온 코인 광풍 랭크뉴스 2024.03.16
45094 민주 "이종명 해외 빼돌리기는 최고 권력의 수사 방해" 랭크뉴스 2024.03.16
45093 삼성전자, 美반도체 보조금 8조원 받는다…정부 당국자 "기대에 상당히 부응" 랭크뉴스 2024.03.16
45092 김부겸 “박용진 배제 결정, 이해 어렵다… 수도권 선거서 악영향“ 랭크뉴스 2024.03.16
45091 ‘칼침 경고’ 황상무, 슬그머니 4줄 사과문…민주 “당장 경질해야” 랭크뉴스 2024.03.16
45090 '하와이 여행' 류준열·한소희 교제 인정... "환승 연애는 아냐" 랭크뉴스 2024.03.16
45089 김부겸 “박용진 배제, 양문석·김우영 막말…가장 큰 위기” 랭크뉴스 2024.03.16
45088 민주 "이종섭 해외 빼돌리기는 최고 권력의 수사 방해" 랭크뉴스 2024.03.16
45087 경찰, 의협 비대위원장 3차 소환 조사…“전공의 복귀하게 대화 열리길” 랭크뉴스 2024.03.16
45086 "여긴 그런거 말하면 싸움나" 충청·호남·토박이 섞인 계양을 [총선 격전지를 가다] 랭크뉴스 2024.03.16
45085 김부겸 “박용진 배제 이해 어렵다”…‘막말’ 양문석·김우영 공천 철회 촉구 랭크뉴스 2024.03.16
45084 전국의대교수 비대위 "25일 사직서 제출…정부가 2000명 증원 방침 풀어야" 랭크뉴스 2024.03.16
45083 김부겸 “박용진 배제 결정, 이해 어렵다… 수도권 선거서 악영향” 랭크뉴스 2024.0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