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4년 전 트럼프 방해에 바이든 “닥쳐!”
펜, 빈 메모장, 물 한 병만 챙겨 90분
2020년 10월 22일 미국 테네시주 내슈빌 벨몬트대에서 열린 대선 전 마지막 후보 TV토론 당시 공화당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왼쪽 두 번째) 대통령 부부와 조 바이든(오른쪽 두 번째) 민주당 후보 부부가 무대에 올라와 있다. 내슈빌=UPI 연합뉴스


오는 27일(현지 시간) 벌어질 미국 대선 TV토론에서는 민주당 후보인 조 바이든 대통령이 발언할 때 공화당 후보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앞 마이크는 꺼진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걸핏하면 바이든 대통령을 말을 가로막았던 4년 전 상황이 재연되지 않도록 주최 측이 만든 새 규정이다.

11월 미국 대선 후보 간 첫 TV토론 행사를 주관하는 미 CNN방송은 토론 관련 규칙을 15일 공개했다. 전·현직 신분이 바뀐 상태에서 두 사람이 처음 맞붙었던
2020년 대선 토론 당시 반칙 행위를 막을 수 있는 장치를 만드는 데 주력한 기색이 역력
하다.

미국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4년 전 첫 만남에서 트럼프 전 대통령은 경쟁자의 발언 시간을 짓밟았고, 이에 바이든 대통령이 “닥쳐 주면 안 되겠냐(Will you shut up, man?)”고 그를 꾸짖기도 했다. 미국 워싱턴포스트는 “이전 토론에서 관찰된 방해를 제한하려는 노력”이라고 전했다. CNN은 “시간 준수와 성숙한 토론을 위해 사회자들은 가능한 모든 수단을 쓸 수 있다”는 내용도 규칙에 넣었다.

청중 없이… 석 달 당겨진 첫 격돌



토론은 27일 조지아주(州) 애틀랜타 스튜디오에서 청중 없이 90분간 실시간 진행된다.
이례적으로 청중을 배제한 것은 토론을 저해하는 환호와 야유를 차단하기 위해서
다. 두 차례 중간 광고가 들어가는데, 캠프 관계자들은 광고 시간 동안 후보와 접촉할 수 없다.

모두 발언은 없고, 마무리 발언 기회만 2분 주어진다. 첫 번째 질문에 대한 답변이 토론 시작이다. 답변 시간은 질문당 2분이다. 이어 1분씩 반박과 재반박이 가능하다. 두 후보는 같은 단상에 서게 되고, 단상 배치는 동전 던지기로 결정된다. 사전 연설문이나 준비된 메모는 지참할 수 없다. 후
보들은 펜과 빈 메모장, 물 한 병만 챙겨 토론에 나서야 한다.


통상 첫 미국 대선 토론은 민주·공화 양당이 전당대회를 열고 후보를 공식 지명한 뒤인 9월에 열려 왔다. 줄곧 도발적으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조기 토론을 제안하고, 지난달 바이든 대통령이 이를 수용하면서 첫 격돌 시기가 앞당겨졌다.

2020년 10월 22일 미국 테네시주 내슈빌 벨몬트대에서 열린 마지막 대선 후보 TV토론 당시 공화당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왼쪽 사진)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민주당 후보가 공방을 벌이고 있다. 내슈빌=AFP 연합뉴스


토론은 양자 대결일 공산이 크다. 현재까지 대선 후보로 등록한 5명 중 '여론조사 4개 이상에서 15% 이상 지지율 기록' 등 참여 자격 조건을 충족한 후보는 바이든 대통령과 트럼프 전 대통령 둘뿐이다. 무소속 로버트 케네디 주니어 등 다른 후보가 토론 전에 문턱을 넘을 가능성은 희박하다.

“둘 다 싫어” 25%… 비호감 선거



이번 대선은 역대 최고 비호감 후보끼리의 대결이 펼쳐질 것으로 보인다. 15일 미국 여론조사기관 퓨리서치센터가 공개한 조사(지난달 13~19일 미국 성인 8,638명 대상) 결과를 보면
응답자 25%가 두 사람 다 싫다는 반응
을 보였다. 이는 힐러리 클린턴 당시 국무장관과 트럼프 전 대통령이 각각 민주·공화 양당 후보였던 2016년 대선 기록(20%)를 능가하는 수치다. 두 후보 캠프의 핵심 전략이 상대방 공격인 것은 이런 배경에서다. 상대를 더 싫어하게 만들어 득을 보겠다는 계산이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790 ‘화성 참사’ 전날 “힘들어서 그만 두려고”…다시 돌아오지 못했다 new 랭크뉴스 2024.06.26
43789 합참 "북한, 동해상으로 탄도미사일 발사" new 랭크뉴스 2024.06.26
43788 ‘꺼지지 않는 불꽃’… 서울시, 100m 태극기 설치 시끌 new 랭크뉴스 2024.06.26
43787 폴크스바겐, '테슬라 대항마' 美 전기차 리비안에 7조원 투자 new 랭크뉴스 2024.06.26
43786 [단독] 아리셀 2년간 피해간 '화재안전조사', 시행률 고작 '5%' new 랭크뉴스 2024.06.26
43785 다연장로켓 누가 셀까…韓 ‘천무’ 화력·가성비 vs 美 ‘하이마스’ 기동·파괴력[이현호 기자의 밀리터리!톡] new 랭크뉴스 2024.06.26
43784 하루 만에 또 오물풍선‥군 "확성기 방송 검토" new 랭크뉴스 2024.06.26
43783 "냉전 때 美도 핵으로 평화” 韓 핵무장론 불 붙는다 new 랭크뉴스 2024.06.26
43782 연 15% 분배금 줘 ‘프리미엄’ ETF라고?… 목표일뿐 확정 수익 아닙니다 new 랭크뉴스 2024.06.26
43781 북, 이틀 연속 ‘오물풍선’ 도발…인천공항 2시간 차질 new 랭크뉴스 2024.06.26
43780 NH벤처투자 김현진 대표, 첫 역점 사업부터 ‘삐그덕’… 이스라엘펀드 결성 난항 new 랭크뉴스 2024.06.26
43779 [속보] 합참 "북한, 동해상으로 탄도미사일 발사" 오물 풍선 이어 잇단 도발 new 랭크뉴스 2024.06.26
43778 월급 400만원 퇴직연금 가입자 수익률 2%vs7%…30년후 결과 보니 new 랭크뉴스 2024.06.26
43777 북, 동해상으로 탄도미사일 발사…오물풍선에 이어 도발 new 랭크뉴스 2024.06.26
43776 [단독]주진우∙송석준도 한동훈 지지…의원 17명 캠프에 보좌인력 new 랭크뉴스 2024.06.26
43775 中, HBM 개발 美 규제에 난항… “SK하이닉스·삼성전자 공급 의존도 높아질 것” new 랭크뉴스 2024.06.26
43774 [속보] NHK “북한 발사 탄도미사일 가능성 물체, 일본 EEZ 바깥에 이미 낙하” new 랭크뉴스 2024.06.26
43773 뭐지, 거품이었나… 엔비디아 주가 사흘만에 13% 폭락 new 랭크뉴스 2024.06.26
43772 ‘돈줄’인 줄 알았는데 중국 트로이 목마?… 온라인 도박장에 골머리 앓는 필리핀 new 랭크뉴스 2024.06.26
43771 [기고]소프트웨어 공급망 보안 왜 중요한가 new 랭크뉴스 2024.0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