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서울대병원 무기한 휴진을 하루 앞둔 16일 서울 종로구 서울대학교암병원 로비가 텅 비어 있다. 성동훈 기자


서울대병원이 17일부터 무기한 집단 휴진을 시작하고, 18일에는 대한의사협회(의협) 차원의 의료계 전면 휴진이 예고돼있어 의료공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실질적인 휴진 참여율이 얼마나 될 것인가가 관건인데, 의료전달체계 전반에서 병원들이 ‘올스톱’할 가능성은 높지 않아 보인다. 의료계 내부에서 집단휴진에 불참하겠다는 선언이 잇따르고, 정부가 집계한 휴진 신고율도 4% 수준이다.

서울의대·서울대병원 비상대책위원회가 16일 발표한 서울대 4개 병원(서울대병원·분당서울대병원·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강남센터) 소속 교수들의 휴진 참여 현황에 대한 조사 결과를 보면, 진료를 보는 전체 교수의 54.7%에 해당하는 967명의 교수들이 오는 17~22일 외래 진료를 휴진 및 축소하거나 정규 수술·시술·검사 일정을 연기했다. 수술장이 있는 3개 병원의 합계 수술장 예상 가동률도 33.5%로 낮아질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의대 비대위는 “현재까지 비대위가 접수한 모든 지원 요청 건에 대한 예약 변경과 환자 알림 절차를 완료했다”고 했다.

오는 18일은 의협 차원의 의료계 전면 휴진이 예고돼있다. 앞서 의협 총파업 투표 결과 90.6%가 의협의 투쟁을 지지했고, 73.5%는 휴진을 포함한 집단행동에 참여하겠다는 의사를 밝힌 것으로 나타났다. 울산의대, 가톨릭의대, 성균관의대 등 다수의 의대 비대위도 18일 휴진에 동참하겠다고 밝힌 상태다. 이에 따라 당일 대학병원들과 동네병원 등 의료기관 곳곳이 문을 닫으면서 의료 현장에서 혼란이 벌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그러나 현재까지 파악된 상황을 종합하면, 진료가 완전히 멈추는 수준까지는 가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서울대병원은 중증·희귀질환 환자에 대한 진료, 응급실과 중환자실, 신장투석실, 분만 진료 등은 유지한다. 강희경 서울의대 비대위원장은 “전체 휴진이란 다른 병의원에서도 진료가 가능하거나, 진료를 미뤄도 당분간 큰 영향을 받지 않는 환자들의 외래 진료와 수술 중단을 뜻하는 것”이라며 “신장투석실도 열고 분만도 당연히 한다”고 말했다.

각 대학병원들은 교수들이 집단행동을 사유로 휴진을 신청하는 건 결재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뇌전증지원병원협의체를 비롯해 분만병의원협회, 대한아동병원협회 등 필수의료 분야 단체들은 의협의 휴진에 동참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대한응급의학회와 대한마취통증의학회는 의협을 지지하며 총궐기대회에 참여하겠다면서도, 의료현장에서 필요한 진료는 이어가기로 했다.

동네 병원들의 휴진 참여율도 의협 예상보다 낮을 것으로 보인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오는 18일 휴진을 신고한 의료기관은 13일 기준 총 1463곳으로, 전체 명령 대상 의료기관(3만6371곳)의 4.02%에 불과했다. 13일 이후 추가로 휴진을 신고한 의원들과 미리 신고를 하지 않고 휴진을 참여하는 의원들을 감안해도 2020년 의료계 총파업 당시 첫날 참여율(32.6%)에 못 미칠 가능성이 크다.

그럼에도 의·정 갈등이 빠른 해결책을 찾지 못할 경우 사태가 악화할 가능성은 남아있다. 주요 대학병원에서 무기한 휴진을 논의하는 곳이 늘면서 의료공백 우려는 한동안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연세대 의대는 오는 27일부터 무기한 휴진에 돌입하기로 했고, 충북대 의대도 무기한 휴진을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성균관대 의대도 전날 무기한 휴진 논의를 시작했고, 울산의대와 가톨릭의대도 추후 무기한 휴진 등 추가 행동을 논의한다고 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765 안전 교육 못 받고, 말 서툴러 우왕좌왕… 대피·안전도 차별받는 외국인 노동자 new 랭크뉴스 2024.06.26
43764 케냐 증세반대 시위 속 경찰발포에 최소 5명 사망…의회 대혼란(종합2보) new 랭크뉴스 2024.06.26
43763 韓, '인신매매 방지국' 1등급 복귀…22년째 최악은 바로 '이 나라' new 랭크뉴스 2024.06.26
43762 [뉴욕유가] 차익 실현 매물에 1% 하락…중동 불안은 여전 new 랭크뉴스 2024.06.26
43761 "바이든은 참을만 해, 그런데…" 美 100대 기업인 트럼프 지지 '0' new 랭크뉴스 2024.06.26
43760 英 '선거 베팅 스캔들' 확산…노동당, 후보 1명 자격정지 new 랭크뉴스 2024.06.26
43759 닭다리서 시뻘건 피 '뚝뚝'…"이걸 먹으라고요?" 묻자 치킨업체 꺼낸 말 new 랭크뉴스 2024.06.26
43758 워싱턴서 6·25 74주년 행사…美참전용사 "언제든 함께 싸울것" new 랭크뉴스 2024.06.26
43757 “딸들 줄로 묶어라”… 12만 ‘대형견 유튜버’ 결국 사과 new 랭크뉴스 2024.06.26
43756 한번 불붙으면 속수무책… 전기차주들 ‘남일 아니네’ new 랭크뉴스 2024.06.26
43755 화성 화재 공장에 외국인 근로자 보낸 업체 “아리셀, 불법 파견 인정해야” new 랭크뉴스 2024.06.26
43754 회초리 든 조련사, 화난 코끼리에 그만…비극적 최후 맞았다 new 랭크뉴스 2024.06.26
43753 엔비디아 4거래일 만에 반등… 시총 3조달러 회복 new 랭크뉴스 2024.06.26
43752 대형견 입마개 요구에 "딸도 묶어라"…12만 유튜버 결국 사과 new 랭크뉴스 2024.06.26
43751 인천 송도 상수도관 파열 여파로 '식수대란'…기나긴 배급줄 new 랭크뉴스 2024.06.26
43750 컬러복사기로 만든 '공돈' 25만원 복권 사는 데 쓴 50대男…결말은 new 랭크뉴스 2024.06.26
43749 “가해자나 공개해”… 밀양시장 사과에도 여론 ‘폭발’ new 랭크뉴스 2024.06.26
43748 ‘이스라엘인 안돼’ 日 호텔, 투숙객 예약 거부해 논란 new 랭크뉴스 2024.06.26
43747 美 엔비디아 4거래일 만에 5% 급반등…시총 3조달러 회복 new 랭크뉴스 2024.06.26
43746 반격 나선 대만, 中 오프셋 인쇄판에 최대 77% 관세 부과 결정 new 랭크뉴스 2024.0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