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수술 가동률 절반으로 하락 예상…"진료 예약 변경 완료"

"휴진해도 중증·희귀질환자는 진료…환자 피해 주기 위함 아냐"


"서울대병원 교수 529명이 17일부터 전체 휴진"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오진송 기자 = 서울대병원 교수 529명이 17일부터 전체 휴진에 참여한다.

진료에 참여하는 교수 절반 이상이 휴진하는 것으로, 수술장 가동률 역시 반토막이 될 전망이다.

16일 서울의대-서울대병원 비상대책위원회(서울의대 비대위)는 서울대병원·분당서울대병원·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강남센터 교수들의 휴진 참여 현황에 대한 임상과별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교수 529명이 17∼22일 외래 휴진 또는 축소, 정규 수술·시술·검사 일정 연기 조치를 실시했다. 이는 진료에 참여하는 전체 교수(967명)의 54.7%에 해당한다.

수술장 예상 가동률은 기존 62.7%에서 33.5%로 떨어질 것으로 조사됐다. 조사에 참여한 임상과 20개 모두 휴진에 참여할 예정이다.

휴진에 참여하는 교수 529명을 포함해 전체 교수의 90.3%인 873명이 의료계에 대한 존중과 올바른 의료정책 수립을 요구하는 성명서를 제출하는 등 휴진 지지 의사를 밝혔다.

서울의대 비대위는 "휴진으로 인한 진료 예약 변경은 교수가 자체적으로 또는 비대위의 지원을 통해 환자에게 알리고 있다"며 "현재까지 비대위가 접수한 모든 지원 요청 건에 대한 예약 변경과 환자 알림 절차를 완료했다"고 설명했다.

앞서 서울의대 비대위는 정부가 전공의에게 내린 행정처분 절차를 완전히 취소하지 않으면 오는 17일부터 응급실과 중환자실 등 필수 부서를 제외한 모든 진료과가 무기한 전체휴진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이에 김영태 서울대병원장은 "무기한 휴진은 우리병원을 믿고 다니는 환자들의 불편을 넘어서서 안전에 상당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며 "집단 휴진은 허가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발언하는 강희경 서울의대 비대위원장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강희경 서울의대 비대위원장은 이날 서울대병원 교수와 서울대병원장에게 메시지를 보내 휴진 참여 기준과 목적에 관해 설명했다.

강 위원장은 "이번 전면 휴진은 정책결정자들을 향한 외침이지 환자들에게 피해를 주는 것이 목적은 아니다"라며 "교수의 판단에 따라 가능한 환자의 진료 일정을 조절한 경우 휴진에 참여한 것으로 판단하겠다"고 말했다.

또 "서울대병원에서만 진료가 가능한 중증·희귀 환자의 경우 진료 일정 조정으로 환자에게 피해가 되지 않도록 판단해 달라"며 "휴진 기간 중증, 응급, 희귀질환자들의 진료에 차질이 없도록 신경 써 달라"고 요청했다.

그는 김 병원장에게 "90%가 넘는 교수가 휴진에 찬성한다면 과연 국민이 서울대학교병원 교수라는 자들이 국가중앙병원, 대표적인 공공병원의 교수로서 자격이 있는 자들인가 의심할 것이라는 원장님의 우려에 대해 십분 공감한다"면서도 "참여율이 이렇게 높은 것은 우리가 생각하는 '전체 휴진'이 밖에서 생각하는 것과 다르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진료를 전면 중단하는 것이 아니고 다른 병의원에서도 진료가 가능하거나 진료를 미뤄도 당분간 큰 영향을 받지 않는 환자들의 정규 외래 진료와 정규 수술 중단하는 것"이라며 "휴진 기간에도 진료가 꼭 필요한 중증·희귀질환자 진료를 하기 때문에 실제 진료 감소는 40% 정도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지금 당장은 서울대병원 교수들이 못마땅하고 불편하신 분들도 계시겠지만, 교수들이 주장하는 것은 우리나라 의료를 바로 세우려는 것임을 국민도 결국 이해해주시리라 믿는다"고 덧붙였다.

서울의대 비대위는 휴진 시작일인 17일 '전문가 집단의 죽음'을 주제로 심포지엄을 개최할 예정이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653 "박민, 尹 회의엔 가더니‥" 폭발한 최민희 "당장 나와라" [현장영상] new 랭크뉴스 2024.06.25
43652 “15초 만에 연기가 뿌옇게”…발화 당시 CCTV 영상 입수 new 랭크뉴스 2024.06.25
43651 “지하서 검은 연기가 순식간에” 동대문 건축현장 화재 [영상] new 랭크뉴스 2024.06.25
43650 '세계 첫 달뒷면 샘플채취' 中창어6호 지구 귀환…시진핑도 축전(종합) new 랭크뉴스 2024.06.25
43649 "해외여행, 코로나 이전 수준 회복"…가장 많이 찾는 여행지는 바로 '이곳' new 랭크뉴스 2024.06.25
43648 최초 발화 현장 내부 CCTV‥"연기 뒤덮기까지 15초밖에 안 걸렸다" new 랭크뉴스 2024.06.25
43647 중국서 이번엔 일본인 모자 피습…외국인 불안감 커져 new 랭크뉴스 2024.06.25
43646 러닝머신 타던 여성, 미끄러져 창문 밖으로 추락사…대체 어떻게 된일? new 랭크뉴스 2024.06.25
43645 연세의대·세브란스병원장들 “우리는 사람 살리는 의사, 집단 휴진 안돼” new 랭크뉴스 2024.06.25
43644 "전공의 이달까지 미복귀땐 사직처리"…7월 모집공고 앞두고 최후통첩 랭크뉴스 2024.06.25
43643 러 "북러 조약, 더 긴밀한 협력 시사…군사협력 배제 안 해" 랭크뉴스 2024.06.25
43642 중국 "화성 화재 사망자 애도‥한국에 원인규명·유족지원 요구" 랭크뉴스 2024.06.25
43641 여당 상임위 복귀 첫날, 반말·파행·보이콧…‘방송3법’ 처리에 집단 퇴장도 랭크뉴스 2024.06.25
43640 [단독] 초등 여학생 앞 '음란행위' 뒤 도망친 남성‥긴급체포 랭크뉴스 2024.06.25
43639 ‘치킨 3만원 시대’ 부른 BBQ, 국세청 특별 세무조사 랭크뉴스 2024.06.25
43638 [속보]서울 이문동 아파트 건축현장 화재에 20여명 대피 소동 랭크뉴스 2024.06.25
43637 ‘성 비위’ 논란 박정현 교총 회장, 제자에게 “나의 여신님” “당신 오는 시간 늘 떨렸다” 랭크뉴스 2024.06.25
43636 “마스크만 씌우고 사지로”…화성 현장서 무슨 일이 랭크뉴스 2024.06.25
43635 화성시청에 화재사고 사망자 첫 분향소 설치…“합동분향소, 유족 동의 아직 못 얻어” 랭크뉴스 2024.06.25
43634 '허위 인터뷰 의혹' 신학림 구속적부심 청구…"상식과 달라"(종합) 랭크뉴스 2024.0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