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의협, 18일 집단 휴진·의사 총궐기대회 예고
실제 개원의 휴진 신고율은 4% 수준


서울의대·서울대학교병원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 강희경 위원장(가운데)이 14일 오후 서울 종로구 연건동 서울의대 융합관 양윤선홀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중증·희소질환 환자 진료 방침 등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뉴스1


오는 18일 병의원 집단 휴진과 의사 총궐기대회를 앞두고 의료대란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반면 실제 휴진 참여율이 저조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대정부 투쟁을 이끌고 있는 대한의사협회(의협)가 의료계의 여러 목소리를 하나로 모을 수 있을 지가 관건이다.

16일 정부와 의료계에 따르면, 의협이 집단 휴진과 총궐기대회를 열겠다고 한 18일이 이틀 앞으로 다가왔지만, 정작 개원의들의 동참률은 저조한 상황이다. 의협은 지난 9일 대정부 투쟁에 대한 전체 회원 투표 결과를 공개했다.

의협 의사 회원 11만1861명을 대상으로 한 집단행동 찬반 투표에 7만800명이 참여했고, 투표자의 90.6%가 투쟁을 지지했다. 73.5%는 휴진을 포함한 집단행동에 참여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하지만 실제 휴진에 나서겠다고 밝힌 개원의는 4% 수준이다. 정부가 진료명령을 내린 뒤 지난 13일까지 개원가의 신고를 받은 결과 18일 휴진하겠다고 한 곳은 3만6371개 의료기관 중 4.02%에 불과하다. 정부에 신고하지 않고 당일 쉴 수도 있지만, 실제 휴진율은 높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2020년 의협이 의대 정원 증원을 막기 위해 집단 행동을 했을 때도 개원의 휴진율은 10%가 안 됐다.

의협의 집단 행동 하루 전인 17일 무기한 휴진에 나서는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 비상대책위원회도 진료가 완전히 멈추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비대위는 중증·희소질환 환자에 대한 진료와 응급실, 중환자실, 신장투석실, 분만 진료 등은 유지한다는 뜻을 밝혔다. 강희경 비대위원장은 “저희가 말씀드린 전체 휴진이란 다른 병의원에서도 진료가 가능하거나, 진료를 미뤄도 당분간 큰 영향을 받지 않는 환자들의 외래 진료와 수술 중단을 뜻하는 것”이라며 “신장투석실도 열고 분만도 당연히 한다”고 말했다.

비대위가 서울대병원 교수 1475명을 대상으로 전체 휴진에 참여할 지 여부를 물었을 때, 응답자 801명 중 549명이 참여하겠다고 했다. 전체 교수 1475명 중 37.2%가 참여 의사를 밝힌 셈이다.

임현택 대한의사협회장이 14일 오전 서울 서초구 양재동 더케이호텔에서 '소통과 공감, 그리고 한마음으로' 를 주제로 열린 2024 대한의학회 학술대회에 참석해 국민의례를 하고 있다./뉴스1

의료계 곳곳에서도 집단행동 불참을 선언하거나 의협과 다른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분만병의원협회와 대한아동병원협회, 뇌전증지원병원 협의체는 의협의 집단 휴진에 불참하겠다고 공식 선언했다. 대한응급의학회와 대한마취통증의학회는 의협을 지지하지만 의료현장에서 필요한 진료는 이어가겠다는 뜻을 밝혔다.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비상대책위원장은 최근 자신의 페이스북에 임현택 의협 회장을 비판하는 글을 올리기도 했다. 이에 임 회장이 “의협이 전공의 문제에 신경 끄고 손 뗄까요? 그거 바란다면 의협도 더 이상 개입하고 싶지 않습니다”라며 “원하지 않으면 의협은 정부와의 대화, 투쟁 전부 대전협에 맡기고 손 떼고 싶습니다”라는 글을 남기기도 햇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363 “해외 교수 마다하고 30대에 들어왔는데, 연구비 0원"... 성장 체계 흔들리는 이공계 [이공계 성장 사다리 끊어진다] new 랭크뉴스 2024.06.25
43362 "최태원 SK주식 처분 막아달라"던 노소영, 가처분 항고 취하 new 랭크뉴스 2024.06.25
43361 법무부, 태국인 K-ETA 한시면제 요구 사실상 '거부' new 랭크뉴스 2024.06.25
43360 ‘방송3법’ 두고 법사위 여야 격돌···과방위·국토위도 열려 new 랭크뉴스 2024.06.25
43359 낸드플래시 생산량 확대에… 반도체 소재 업계 “바쁘다 바빠” new 랭크뉴스 2024.06.25
43358 푸틴 “김정은은 언제나 기다리는 귀빈”···끈끈한 관계 강조 new 랭크뉴스 2024.06.25
43357 가상화폐 대장주 비트코인 6%대 급락…마운트곡스 물량 쏟아지나 new 랭크뉴스 2024.06.25
43356 아이스크림 사다 '기겁'…슬금슬금 이렇게 올랐다니 '충격' new 랭크뉴스 2024.06.25
43355 거짓말? 과장 화법?…트럼프 "머그샷 찍은 날, 고문당했다" new 랭크뉴스 2024.06.25
43354 여수서 갯바위 낚시하던 70대 바다에 빠져 숨져 new 랭크뉴스 2024.06.25
43353 경찰 "서울서 밤사이 대남 오물풍선 10여개 발견" new 랭크뉴스 2024.06.25
43352 일가족 가스라이팅한 무속인, 다른 가족에게도 고소당했다 new 랭크뉴스 2024.06.25
43351 편의점에 '쓰레기 폭탄' 안겼다…중국 관광객 또 제주 추태 new 랭크뉴스 2024.06.25
43350 "윤 대통령 탄핵안 발의해야" 국민청원 10만 명 돌파 new 랭크뉴스 2024.06.25
43349 실종자 수색 재개‥이 시각 화재 현장 new 랭크뉴스 2024.06.25
43348 기재위 기피하는 與, 힘센 野… 국회 구성 미적댈수록 쌓여가는 경제 과제들 new 랭크뉴스 2024.06.25
43347 [단독] ‘라인사태’ 불러온 네이버 보안, 일본 업체가 담당했다 new 랭크뉴스 2024.06.25
43346 기대인플레이션 하락…소비심리 한 달 만에 회복 new 랭크뉴스 2024.06.25
43345 화성 화재 실종자 1명 이틀째 수색…소방당국, 구조견 2마리 투입 new 랭크뉴스 2024.06.25
43344 부동산 바닥 지났나… “집값 1년 후 오른다” 응답 8개월만에 최고 new 랭크뉴스 2024.0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