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전세계 하수도 흐르는 의약품, 생태 위협
고통받는 물고기… 성전환·약물중독 증세 등
“폐수처리시설 정비·약물 설계 재고해야”
브라운송어.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 기사 내용과 직접 관련이 없습니다. pixabay

필로폰(메스암페타민)에 중독돼 금단 증세를 보이는 브라운송어. 항우울제 영향으로 천적에 대한 겁을 상실한 민물 농어. 피임약을 먹고 성전환을 일으킨 피라미. 지금 세계 곳곳 하천에서 벌어지는 일이다.

“우리가 먹는 유기체(물고기)와 전 세계 하수도에서 활성 의약품 성분이 발견됐다”는 연구 결과가 지난 5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 지속가능성’에 발표됐다. 최근 전 세계 104개국 1053개 하천 중 43.5%에서 인체에 해로운 수준의 약물이 한 가지 이상 검출됐다고 연구진은 밝혔다.

약물에 의한 하천 오염이 몇몇 지역에 한정된 문제가 아니라는 얘기다. 2019년 킹스 칼리지 런던 연구진은 영국 시골 지역 5개 하천에 사는 민물새우에서 코카인, 케타민 등 마약류 성분을 검출했다고 발표한 적이 있다.

세계 각지 하천에서 검출된 약물의 출처는 대부분 불법 약물과 의약품 폐기물이다. 연구에 참여한 마이클 버트럼 스웨덴 농업과학대학 교수는 “적절한 처리 과정을 거치지 않고 버려진 의약품, 체내에서 덜 분해된 채로 배출된 마약 성분 등이 환경으로 유입되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야생에 유출된 화학성분이 자연 생태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은 이미 수차례 반복된 연구를 통해 확인됐다. 캐나다 수산해양부가 2007년 진행한 연구에서는 미량의 피임약 성분 ‘합성 에스트로젠’에 장기간 노출된 수컷 피라미들이 성전환을 일으켜 해당 지역 호수에서 종 전체가 절멸 수준에 이르기도 했다.

파벨 호키 체코 생명과학대학 교수는 2021년 연구에서 하천 생태계가 심각한 위기 상황에 처해 있음을 증명했다.

당시 실험 대상이던 브라운송어는 체코 하천에서 검출된 것과 같은 농도의 필로폰에 한 차례 노출된 뒤 다시는 맑은 물로 돌아가려 하지 않았다. 마약이 섞인 물에 계속 머무르려 하는 일종의 중독 증상을 보인 것이다. 호키 교수는 논문에서 “해양 생태계에 작용하는 악영향은 틀림없이 인간에게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경고했다.

한국 사정은 어떨까. 지난 4년간 전국 하수처리장에서는 해마다 한 곳도 빠짐없이 필로폰 성분이 검출됐다.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하수 역학 기반 불법 마약류 사용행태’ 조사에 따르면 검출된 마약 성분의 농도는 지역별로 달랐다. 인천과 경기 시화에서는 필로폰이, 광주와 충북 청주에서는 암페타민이 주로 검출됐다. 엑스터시는 경기 시화와 전남 목포, 코카인은 서울 난지와 세종에서 상대적으로 검출량이 많았다.

4년간(2020∼2023년) 시도별 주요 마약류 검출 여부. 식품의약품안전처 제공

이런 약물이 국내 하천과 해양 생태계로 흘러 들어가면 어떤 일이 벌어질지는 미지수다.

오정은 부산대 환경공학과 교수는 15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마약류를 비롯한 의약물질이 생태계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해외에서 보고되고 있다”며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하천수 속 불법 마약류에 대한 모니터링이 수행된 바가 없다”고 말했다.

오 교수는 다만 “일부 하천수를 대상으로 분석했을 때는 (하수와 달리) 필로폰 성분이 검출되지 않았다”며 “향후 국내 마약 사용량이 더 늘면 하천수에서의 (마약) 검출 빈도와 농도가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추후 하천이나 해양에서의 불법 마약류 모니터링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현재 전 세계 하수처리장에 설치된 정화 장치는 대부분 마약 성분 유입 가능성을 고려하지 않고 만들어졌다. 적은 용량으로도 인체에 큰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의약품과 마약의 특성상 야생동물들은 더 취약할 수밖에 없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의약품 설계 단계에서부터 야생동물에 대한 잠재적 위험을 고려하고, 각종 화학성분을 걸러낼 수 있도록 폐수처리시설을 정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063 아이스크림 가격 5년새 40% 올랐다···올 여름 더 오를 수도 new 랭크뉴스 2024.06.24
43062 5번 도전 끝에 ‘세계에서 가장 못생긴 개’ 등극한 개가 있다 new 랭크뉴스 2024.06.24
43061 '극악의 난도' 시험 만점자가 수십명?… 의대 입시부정 스캔들에 인도 발칵 new 랭크뉴스 2024.06.24
43060 "밀양 가해자 아니라니까요!" 20년째 외치던 9명 결국‥ new 랭크뉴스 2024.06.24
43059 [속보] “화성 공장 화재 실종자 23명…추후 변동 가능성” new 랭크뉴스 2024.06.24
43058 [속보] 소방 "화성 화재 23명 실종…20명은 외국인" new 랭크뉴스 2024.06.24
43057 화성 일차전지 공장 화재… ‘직원 21명 연락두절’ 고립 추정 new 랭크뉴스 2024.06.24
43056 소방당국 "화성 아리셀공장 화재 현장 근로자 중 21명 연락두절" new 랭크뉴스 2024.06.24
43055 작년에 인기였던 탕후루…올핸 매출 하락에 줄폐업 new 랭크뉴스 2024.06.24
43054 육군 51사단서 일병 숨진 채 발견‥군 "경찰과 함께 조사 중" new 랭크뉴스 2024.06.24
43053 "병원 하나라도 무너져야"... 집단휴진 압박하는 의대 학부모들 new 랭크뉴스 2024.06.24
43052 [단독] 공정위, 하이브 현장조사… 대기업집단 지정 자료 누락·허위 혐의 new 랭크뉴스 2024.06.24
43051 곧 올림픽인데…센강에 똥이 둥둥·똥 뒤집어 쓴 마크롱 대체 무슨 일? new 랭크뉴스 2024.06.24
43050 경찰, 서울대병원 교수들 수사…‘진료 거부’ 혐의 new 랭크뉴스 2024.06.24
43049 "와, 여름이다"…제철 바다여행지 5곳 살펴보니 new 랭크뉴스 2024.06.24
43048 대북전단 살포 직접 막은 파주시장 “스패너로 위협 당했다” new 랭크뉴스 2024.06.24
43047 北 '오물 풍선'에 기생충 바글바글… '인분' 흔적도 나왔다 new 랭크뉴스 2024.06.24
43046 “SK 이대로는 망한다”..최태원, 임원들과 1박 2일 ‘끝장토론’ new 랭크뉴스 2024.06.24
43045 화성 일차전지 공장 큰 불 "1명 사망, 21명 연락두절… 추가 폭발 가능성" new 랭크뉴스 2024.06.24
43044 김동연, 화성 리튬전지 공장 화재 현장 찾아 “인명 구조 최선” 당부 new 랭크뉴스 2024.06.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