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전세계 하수도 흐르는 의약품, 생태 위협
고통받는 물고기… 성전환·약물중독 증세 등
“폐수처리시설 정비·약물 설계 재고해야”
브라운송어.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 기사 내용과 직접 관련이 없습니다. pixabay

필로폰(메스암페타민)에 중독돼 금단 증세를 보이는 브라운송어. 항우울제 영향으로 천적에 대한 겁을 상실한 민물 농어. 피임약을 먹고 성전환을 일으킨 피라미. 지금 세계 곳곳 하천에서 벌어지는 일이다.

“우리가 먹는 유기체(물고기)와 전 세계 하수도에서 활성 의약품 성분이 발견됐다”는 연구 결과가 지난 5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 지속가능성’에 발표됐다. 최근 전 세계 104개국 1053개 하천 중 43.5%에서 인체에 해로운 수준의 약물이 한 가지 이상 검출됐다고 연구진은 밝혔다.

약물에 의한 하천 오염이 몇몇 지역에 한정된 문제가 아니라는 얘기다. 2019년 킹스 칼리지 런던 연구진은 영국 시골 지역 5개 하천에 사는 민물새우에서 코카인, 케타민 등 마약류 성분을 검출했다고 발표한 적이 있다.

세계 각지 하천에서 검출된 약물의 출처는 대부분 불법 약물과 의약품 폐기물이다. 연구에 참여한 마이클 버트럼 스웨덴 농업과학대학 교수는 “적절한 처리 과정을 거치지 않고 버려진 의약품, 체내에서 덜 분해된 채로 배출된 마약 성분 등이 환경으로 유입되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야생에 유출된 화학성분이 자연 생태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은 이미 수차례 반복된 연구를 통해 확인됐다. 캐나다 수산해양부가 2007년 진행한 연구에서는 미량의 피임약 성분 ‘합성 에스트로젠’에 장기간 노출된 수컷 피라미들이 성전환을 일으켜 해당 지역 호수에서 종 전체가 절멸 수준에 이르기도 했다.

파벨 호키 체코 생명과학대학 교수는 2021년 연구에서 하천 생태계가 심각한 위기 상황에 처해 있음을 증명했다.

당시 실험 대상이던 브라운송어는 체코 하천에서 검출된 것과 같은 농도의 필로폰에 한 차례 노출된 뒤 다시는 맑은 물로 돌아가려 하지 않았다. 마약이 섞인 물에 계속 머무르려 하는 일종의 중독 증상을 보인 것이다. 호키 교수는 논문에서 “해양 생태계에 작용하는 악영향은 틀림없이 인간에게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경고했다.

한국 사정은 어떨까. 지난 4년간 전국 하수처리장에서는 해마다 한 곳도 빠짐없이 필로폰 성분이 검출됐다.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하수 역학 기반 불법 마약류 사용행태’ 조사에 따르면 검출된 마약 성분의 농도는 지역별로 달랐다. 인천과 경기 시화에서는 필로폰이, 광주와 충북 청주에서는 암페타민이 주로 검출됐다. 엑스터시는 경기 시화와 전남 목포, 코카인은 서울 난지와 세종에서 상대적으로 검출량이 많았다.

4년간(2020∼2023년) 시도별 주요 마약류 검출 여부. 식품의약품안전처 제공

이런 약물이 국내 하천과 해양 생태계로 흘러 들어가면 어떤 일이 벌어질지는 미지수다.

오정은 부산대 환경공학과 교수는 15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마약류를 비롯한 의약물질이 생태계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해외에서 보고되고 있다”며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하천수 속 불법 마약류에 대한 모니터링이 수행된 바가 없다”고 말했다.

오 교수는 다만 “일부 하천수를 대상으로 분석했을 때는 (하수와 달리) 필로폰 성분이 검출되지 않았다”며 “향후 국내 마약 사용량이 더 늘면 하천수에서의 (마약) 검출 빈도와 농도가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추후 하천이나 해양에서의 불법 마약류 모니터링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현재 전 세계 하수처리장에 설치된 정화 장치는 대부분 마약 성분 유입 가능성을 고려하지 않고 만들어졌다. 적은 용량으로도 인체에 큰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의약품과 마약의 특성상 야생동물들은 더 취약할 수밖에 없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의약품 설계 단계에서부터 야생동물에 대한 잠재적 위험을 고려하고, 각종 화학성분을 걸러낼 수 있도록 폐수처리시설을 정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0457 서울고법 "최태원 판결문 오류, 재산 분할 비율 영향 없어" 랭크뉴스 2024.06.18
40456 푸틴, 김정은과 단둘이 산책하고 차 마시며 대화할 듯 랭크뉴스 2024.06.18
40455 ‘다 튀겨버리겠다’···치맥의 성지 대구, 100만 축제 돌아온다 랭크뉴스 2024.06.18
40454 정부 “진료거부 교수에 손해배상 청구 검토 요청” 랭크뉴스 2024.06.18
40453 정부, 휴진 주도 의협 향해 설립목적 위배시 "해체도 가능"(종합2보) 랭크뉴스 2024.06.18
40452 ‘부산판 블랙리스트’ 오거돈 전 부산시장, 집행유예 확정 랭크뉴스 2024.06.18
40451 윤 대통령, 의사 집단휴진에 “불법행위 엄정 대처” 랭크뉴스 2024.06.18
40450 꼬치구이 고기에 '칙'‥스프레이 정체는? 랭크뉴스 2024.06.18
40449 “치매 치료제 수사한다는데”…고려제약 리베이트 조사에 마음 졸이는 의사들 랭크뉴스 2024.06.18
40448 [속보]정부 “의협, 극단적인 경우 법인 해산까지 가능” 랭크뉴스 2024.06.18
40447 21대 국회서도 3년 걸렸는데... 국회 원 구성 또 헌재로 들고 간 與 랭크뉴스 2024.06.18
40446 이화학당, '이대생 성상납 발언' 김준혁 의원 명예훼손 고소 랭크뉴스 2024.06.18
40445 “대형병원 못가는 것도 서러운데”… 동네 병·의원 ‘꼼수 휴진’에 우는 환자들 랭크뉴스 2024.06.18
40444 [속보]최태원 이혼 항소심 재판부 “대한텔레콤 주가 160배 상승” “1조3000억원 재산분할 유지돼야” 랭크뉴스 2024.06.18
40443 우크라 불법참전·뺑소니 혐의 유튜버 이근 2심도 유죄 랭크뉴스 2024.06.18
40442 정청래 "국민의힘 상임위 안 오면 김건희 증인 세울 것" 랭크뉴스 2024.06.18
40441 "월 100만 원도 못 벌어"... 백종원 '연돈볼카츠' 점주들 분노 랭크뉴스 2024.06.18
40440 합참 "북한군 수십 명 오늘 또 MDL 침범‥경고사격에 북상" 랭크뉴스 2024.06.18
40439 [속보] 합참 “북한군, 수십명 오전 8시30분경 군사분계선 침범…경고사격 받고 북상” 랭크뉴스 2024.06.18
40438 '남중생 11명 성추행' 男교사 징역 10년…전자발찌는 기각, 왜 랭크뉴스 2024.0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