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경기 침체에 소비 꺾인 중국 시장, 中 매출 높은 명품 업계 대폭 타격

세일이나 할인은 기대할 수도 없던 콧대 높은 명품업체들조차 ‘세계의 큰 손’ 중국 시장에서는 결국 꼬리를 내렸다. 애플의 아이폰, 테슬라의 차량 할인에 이어 최근엔 명품업체들까지 중국 시장에서 할인을 시작했다. 중국의 소비자 시장이 글로벌 기업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지 보여주는 사례라고 외신들은 해석한다. 동시에 이는 과거 명품을 쓸어담던 중국의 소비자들마저도 지갑을 닫을 만큼 중국의 경기가 여전히 회복되지 않았음을 시사하는 대목이기도 하다.

13일(현지 시각)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최근 중국 알리바바의 T몰에서 중국 쇼핑객들은 발렌시아가의 대표 상품인 아워글라스 핸드백을 1947달러(약 268만원)에 구매할 수 있다. 이는 브랜드의 공식 웹사이트 및 주요 럭셔리 플랫폼 대비 무려 35%나 할인된 가격이다. 프랑스 명품 대기업 케링 산하의 발렌시아가는 올해 들어 3개월 동안 중국에서 할인을 지속하고 있는데 평균 할인 폭은 무려 40%에 달한다.

중국 베이징의 발렌시아가 매장. /연합뉴스

발렌시아가는 또한 해당 쇼핑몰에서 할인 제품의 수를 두 배 이상 늘렸으며, 올해 4월까지 플랫폼에서 재고의 10% 이상을 할인하는 정책을 펼쳤다. 이는 과거 같은 기간과 비교해보면 상당히 파격적인 행사다. 지난해 같은 기간 중 발렌시아가는 1월 한 달 동안만 최고 30%의 할인율로 세일품목을 지정해 할인했으며, 그 전 해인 2022년에는 4월까지 할인이 전혀 없었다.

명품 브랜드가 중국에서 대폭 할인에 나선 사례는 발렌시아가만이 아니다. 카프리의 베르사체, LVMH의 지방시, 버버리 그룹 PLC도 Tmall 및 기타 국내 플랫폼에서 가격을 50% 이상 낮췄다. 베르사체의 평균 할인율은 2023년 초의 약 40%에서 올해는 50% 이상으로 증가했다. 베르사체와 여러 프리미엄 브랜드들은 올해 할인 기간도 2023년보다 더 길게 늘렸으며, 할인 품목 수는 작년의 몇 개에서 올해는 수백 개로 증가했다.

이러한 가격 전쟁은 몇 년 전만 해도 상상할 수 없던 일이었다. 럭셔리 브랜드는 보통 아울렛 몰이나 비공개 세일을 통해 재고를 처분해 왔다. 그러나 이번에는 플래그십 플랫폼에서 대대적인 할인을 공개적으로 홍보하고 있다. 디지털 럭셔리 그룹의 중국 컨설팅 매니징 디렉터인 자크 로이젠은 “놀랍지만 사실 우려스러운 점은 이러한 할인이 세계에서 가장 눈에 잘 띄는 소비자 접점인 티몰에서 제공되고 있다는 것”이라며 “마치 뉴욕 5번가나 파리 샹젤리제에서 공개 세일을 하는 것과 같다”고 말했다.

중국 시장에서 명품업계의 대폭 할인 전략은 중국의 경기침체로 인해 세계 명품업계가 그만큼 위태로운 상황이라는 뜻이라고 블룸버그는 해석했다. 중국 정부의 경기 부흥책에 따라 명품 아닌 브랜드들이 중국에서 수익을 늘리고 실적을 개선할 것으로 기대되는 반면 중국 소비자들은 명품 소비에 점점 더 검소해지고, 아예 지갑을 닫는 현상까지 벌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 베이징의 루이비통 매장. /연합뉴스

중국은 그동안 명품 업계 수익의 대부분을 차지하던 시장이다. 그러나 최근 증가한 중국 내 실업률과 부동산 경기의 침체로 디플레이션 압력이 커졌고, 이에 따라 소비심리가 위축되면서 명품 소비는 큰 타격을 입었다. 구찌의 경우 중국 시장 매출 비중이 전체의 약 35%가량인데, 이 매출이 줄어들자 회사 전체 매출도 휘청이고 있으며 중국에서의 수요 부진으로 버버리의 주가는 지난 1년간 절반 이상 하락했다.

다른 명품들도 상황은 비슷하다. 스위스 시계 산업협회는 지난 2월 중국과 홍콩으로의 수출이 작년 같은 기간보다 각각 25%, 19% 줄었다고 발표했다. 스위스의 고가 시계는 중국의 소비 심리에 따라 매출이 오르락내리락하는 대표적 상품이다. 닉 하이에크 스와치그룹 CEO는 “중국 소비자들이 큰 돈이 드는 소비를 주저하고 있다”고 했다. 이밖에 샤넬, 루이비통, 롤렉스 등 다른 브랜드들도 작년부터 중국에서 성장세가 둔화한 것으로 전해진다.

지속되는 경기 침체에 중국은 당국은 물론 지방정부까지 소비 회복을 위한 각종 정책을 밀어붙이고 있다. 중국 당국은 1조위안(약 188조원) 규모의 ‘초장기 특별 국채’를 지난달 정식 발행해 자국 내 대형 프로젝트 및 핵심 전략 사업에 대해 지원한다. 또한 기존 제품을 새 것으로 바꾸도록 유도하는 ‘이구환신’ 정책을 통해 자동차, 가전제품, 가구 등의 구매 시 보조금을 비롯한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중국 정부의 노력으로 지난달까지 중국의 소비자 물가는 넉 달 째 상승 곡선을 그리고 있지만 기대치에는 여전히 미치지 못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앞으로 중국 시장에서 고급 사치재 수요가 더욱 낮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컨설팅기업 베인앤드컴퍼니는 작년 12%였던 중국 내 럭셔리 매출 증가율이 올해는 한 자릿수대로 떨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063 아이스크림 가격 5년새 40% 올랐다···올 여름 더 오를 수도 new 랭크뉴스 2024.06.24
43062 5번 도전 끝에 ‘세계에서 가장 못생긴 개’ 등극한 개가 있다 new 랭크뉴스 2024.06.24
43061 '극악의 난도' 시험 만점자가 수십명?… 의대 입시부정 스캔들에 인도 발칵 new 랭크뉴스 2024.06.24
43060 "밀양 가해자 아니라니까요!" 20년째 외치던 9명 결국‥ new 랭크뉴스 2024.06.24
43059 [속보] “화성 공장 화재 실종자 23명…추후 변동 가능성” new 랭크뉴스 2024.06.24
43058 [속보] 소방 "화성 화재 23명 실종…20명은 외국인" new 랭크뉴스 2024.06.24
43057 화성 일차전지 공장 화재… ‘직원 21명 연락두절’ 고립 추정 new 랭크뉴스 2024.06.24
43056 소방당국 "화성 아리셀공장 화재 현장 근로자 중 21명 연락두절" new 랭크뉴스 2024.06.24
43055 작년에 인기였던 탕후루…올핸 매출 하락에 줄폐업 new 랭크뉴스 2024.06.24
43054 육군 51사단서 일병 숨진 채 발견‥군 "경찰과 함께 조사 중" new 랭크뉴스 2024.06.24
43053 "병원 하나라도 무너져야"... 집단휴진 압박하는 의대 학부모들 new 랭크뉴스 2024.06.24
43052 [단독] 공정위, 하이브 현장조사… 대기업집단 지정 자료 누락·허위 혐의 new 랭크뉴스 2024.06.24
43051 곧 올림픽인데…센강에 똥이 둥둥·똥 뒤집어 쓴 마크롱 대체 무슨 일? new 랭크뉴스 2024.06.24
43050 경찰, 서울대병원 교수들 수사…‘진료 거부’ 혐의 new 랭크뉴스 2024.06.24
43049 "와, 여름이다"…제철 바다여행지 5곳 살펴보니 new 랭크뉴스 2024.06.24
43048 대북전단 살포 직접 막은 파주시장 “스패너로 위협 당했다” new 랭크뉴스 2024.06.24
43047 北 '오물 풍선'에 기생충 바글바글… '인분' 흔적도 나왔다 new 랭크뉴스 2024.06.24
43046 “SK 이대로는 망한다”..최태원, 임원들과 1박 2일 ‘끝장토론’ new 랭크뉴스 2024.06.24
43045 화성 일차전지 공장 큰 불 "1명 사망, 21명 연락두절… 추가 폭발 가능성" new 랭크뉴스 2024.06.24
43044 김동연, 화성 리튬전지 공장 화재 현장 찾아 “인명 구조 최선” 당부 new 랭크뉴스 2024.06.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