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젤렌스키의 강력한 요청에도 미국은 바이든 대신 부통령 보내
러 이어 中도 참석 안 해…회의 영향력 제한적일 듯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뷔르겐슈톡[스위스 니드발덴주] 로이터=연합뉴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15일(현지시간) 스위스 니드발덴주의 휴양지 뷔르겐슈톡에서 개막한 우크라이나 평화 회의를 맞아 비올라 암헤르트 스위스 대통령과 함께 공동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24.06.15 [email protected]


(로마=연합뉴스) 신창용 특파원 = 우크라이나의 지속적인 평화를 달성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할 평화 회의가 15일(현지시간) 스위스 니드발덴주의 휴양지 뷔르겐슈톡에서 개막했다.

이틀 일정으로 열리는 우크라이나 평화 회의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에 공세를 강화하고 서방이 우크라이나에 제공한 무기를 이용한 러시아 본토 타격을 허용하는 등 긴장이 고조된 가운데 막을 올렸다.

AP, 로이터 통신 등에 따르면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이날 개회사에서 "우리는 함께 노력하면 전쟁을 멈추고 정의로운 평화를 구축할 수 있다는 생각을 전 세계에 되살리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그는 "이번 회의는 전 세계 모든 지역, 모든 대륙, 그리고 지리적으로 크고 작은 다양한 국가를 대표한다"며 "이번 회의에서 새로운 역사가 만들어지는 것을 목격하게 될 것이라고 믿는다"고 강조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이번 평화 회의를 앞두고 싱가포르와 필리핀까지 순방하며 가급적 많은 국가가 참석할 수 있도록 외교적 노력을 기울였지만, 큰 성과를 내지는 못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의 강력한 요청에도 불구하고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이탈리아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13∼15일)에 참석한 뒤 대선 캠페인 모금 행사를 위해 미국으로 돌아갔다.

미국은 대신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과 제이크 설리번 국가안보보좌관을 파견했다.

전쟁 당사국인 러시아는 불참했고, 중국에선 시진핑 국가주석은 물론 고위급 당국자들도 참석하지 않으면서 이번 우크라이나 평화 회의의 영향력은 제한적일 것으로 우려된다.

기자회견하는 젤렌스키 대통령
(뷔르겐슈톡[스위스 니드발덴주] AFP=연합뉴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15일(현지시간) 스위스 니드발덴주의 휴양지 뷔르겐슈톡에서 개막한 우크라이나 평화 회의를 맞아 비올라 암헤르트 스위스 대통령과 함께 공동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24.06.15 [email protected]


국제위기그룹의 유엔 전문가인 리처드 고완은 "이번 회의가 우크라이나 외교의 한계를 보여줄 위험이 있다"고 지적했다.

스위스 정부는 총 100개 국가와 단체가 참가를 확정했다고 전날 밝혔다.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영국, 캐나다 일본 정상들은 물론 러시아와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튀르키예와 헝가리도 참석할 전망이다.

스위스 정부는 이번 회의가 앞으로 계속될 회의 중 첫 번째 회의에 불과하며 러시아가 이번에 불참하더라도 후속 논의에 동참할 가능성을 열어두겠다고 밝혔다.

이번 평화 회의는 젤렌스키 대통령이 2022년 11월 인도네시아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전 세계 지도자들에게 제시한 10개 항으로 된 평화 공식에 기초해 논의가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10개 항 가운데서도 특히 핵 안전과 식량 안보, 전쟁 포로 석방, 러시아에 납치된 자국의 어린이 귀환에 초점을 맞추고 싶다고 밝혔다.

회의 개막 전날에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점령지와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가입 포기를 조건으로 휴전을 제안했지만, 우크라이나는 항복과 다름없는 요구라며 즉각 거부했다.

푸틴 대통령의 제안은 러시아가 전쟁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다는 자신감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고 로이터 통신은 짚었다.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는 이를 진흙탕 싸움으로 몰아가려는 시도라고 비판했다.

숄츠 총리는 "이것은 진지한 제안이 아니라 스위스에서 열리는 평화 회의와 관련 있다는 것을 누구나 알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회의는 16일 최종 선언문 발표로 마무리될 예정이다. 최종 선언문 초안에는 러시아가 침략자로 명시돼 있다고 로이터 통신이 소식통을 인용해 전했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2642 한동훈 "與대표 되면 채상병특검법 발의…제삼자가 특검 골라야" 랭크뉴스 2024.06.23
42641 [단독] 수소 충전호스 시험결과 조작한 국책연구원…관련자 징계도 ‘솜방망이’ 랭크뉴스 2024.06.23
42640 [가족] 펫숍에서 분양됐다 수술비 500만 원 든다고 '반품'된 강아지 '테디' 랭크뉴스 2024.06.23
42639 ‘징그럽지만 익충’ 인식 사랑벌레, 살충제 대신 끈끈이 어때요? 랭크뉴스 2024.06.23
42638 한동훈, 與대표 출마… “총선 패배 경험, 정권 재창출 토양으로 삼겠다” 랭크뉴스 2024.06.23
42637 대마초를 대량으로 밀수입 후 수령하다 적발됐다면[법조새내기의 판사체험] 랭크뉴스 2024.06.23
42636 제지공장 노동자 출신 中생물학자, 식물 병해충 면역체계 규명 랭크뉴스 2024.06.23
42635 [가족] 펫숍에서 분양됐다 아프다고 '반품'된 강아지 '테디' 랭크뉴스 2024.06.23
42634 뒤늦게 '6.25 순직' 처리된 아버지… 아직도 보상못받는 전몰군경 유자녀 랭크뉴스 2024.06.23
42633 1년 만에 드러난 하나기술 대형 수주의 실체, CB 투자자만 노났다 랭크뉴스 2024.06.23
42632 테슬라 갑작스런 방전에 20개월 아기 갇혀…방전 시 안전사고 ‘주의’ 랭크뉴스 2024.06.23
42631 [속보] 원희룡 “저는 대통령과 신뢰 있다”…‘원팀’ 앞세운 당 대표 도전 랭크뉴스 2024.06.23
42630 "멍멍! 여기 사람이"…하루 실종자 두번 찾아낸 구조견 '고고' 랭크뉴스 2024.06.23
42629 '구하라 금고 도둑' 몽타주 공개…"턱 갸름, 170㎝ 후반 남성" 랭크뉴스 2024.06.23
42628 "길에 시신이"…폭염 속 사망자 속출한 성지 순례길 랭크뉴스 2024.06.23
42627 "에어컨 청소 때문에 쉰다는 병원?"…집단휴진 처벌 가능할까 랭크뉴스 2024.06.23
42626 푸틴 '핵 용인'에 자신감 얻은 북, 공세적 대외행보 나서나 랭크뉴스 2024.06.23
42625 "매너 좋아 중국인들 아닌줄" 제주 찾는 유커가 달라졌다, 왜 랭크뉴스 2024.06.23
42624 민주당, 여당 당권 주자 향해 "윤심 추종안 대신 국정 쇄신안 필요" 랭크뉴스 2024.06.23
42623 日 후쿠시마현에 규모 4.9 지진 발생… 원전 이상 없는 듯 랭크뉴스 2024.0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