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12일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수도권기상청에서 지진 담당 주무관이 전북 부안에서 발생한 4.8 규모의 지진 관련 정보를 보여주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 12일 발생한 전북 부안 지진을 계기로 호남권 단층조사를 일부 지역에서 조기에 시행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부안 지역을 중심으로 단층조사가 시급하다는 지적에 따른 것으로, 빠르면 기존 일정보다 3년 이른 연내 조사가 시작될 수 있다.

행정안전부 관계자는 14일 “부안 지역은 올해라도 조사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면서 “연구진 확보와 예산 문제만 해결된다면 방안을 마련해 충청·수도권을 조사하는 연구진의 일부를 조기에 투입할 수 있도록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2016년 경주, 2017년 포항 지진을 계기로 행안부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함께 2017년부터 신생대 제4기(약 258만년 전) 이후 현재까지 지표에 파열을 초래한 ‘지표단층’을 조사하고 있다. 이 조사는 건축물의 내진설계 등 지진방재 정책 수립에 중요한 참고 자료가 된다.

권역별로 5년 동안 조사하는데 1단계 영남권 조사에서 제4기 단층 16개를 확인했다. 2022년부터 2단계 수도권·충청권 단층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3단계 호남권 조사는 2027년, 4단계 강원권 조사는 2032년 시작한다.

지표단층 조사에는 박사급 50명을 포함해 110여 명의 연구진이 참여해 매년 40억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행안부에 따르면 지표단층 조사에 특화된 국내 연구인력이 거의 모두 투입되기 때문에 물리적으로 두 권역을 동시에 진행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또한 행안부는 빠르면 2단계 조사를 마친 후 수집된 데이터를 종합해 디지털 지진지도를 제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전문가 협의를 거쳐 정보 공개 수준이 결정될 예정이다. 지도에는 단층의 위치를 비롯해 단층의 변이, (지진의) 재현주기에 대한 정보 등이 담길 것으로 보인다.

행안부 관계자는 “향후 디지털 지진지도가 완성되면 단층이 있는 곳을 피해 가스관을 매립하는 등 산업적으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한반도 단층조사는 5개 부처에서 지표단층·심부단층·해저단층 등 3종류로 나눠 진행하고 있다.

지진의 위치를 예상하고, 지진발생의 원인 분석에 유용한 ‘심부단층’은 기상청과 원자력안전위가 조사를 맡고 있다. 2018년 수도권·영남권을 조사했고, 2단계인 강원권은 현재 연구 중이다. 충청권은 3단계, 전라권은 4단계 조사 지역이다.

이밖에 해수부는 해양에서의 지진 발생 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해 ‘해저단층’을 조사한다.

한편 기상청은 부안 지진의 원인을 분석하기 위해 지진 발생 당일인 12일부터 발생지 10㎞ 반경 내에 임시 지진관측계를 설치해 운영하고 있다.

조은영 기상청 지진화산연구과 사무관은 “아직 지진발생 사흘째라 여진 감시와 신속통보에 중점을 두고 있다”면서 “향후 단층 조사를 통해 단층의 크기와 형태 등을 알게 되면 이 지역에서 발생가능한 최대 규모와 위험성을 구체적으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0065 [속보] 민주, 중앙위서 ‘대표 임기 예외규정’ 등 당헌 개정안 확정 랭크뉴스 2024.06.17
40064 재점화되는 ‘사법 리스크’, 날카로워진 이재명의 입 랭크뉴스 2024.06.17
40063 '90도' 고개 숙이면서도‥"자존심 상한다" 왜? [현장영상] 랭크뉴스 2024.06.17
40062 尹 “의료계 불법 진료거부 비상대책” 지시 랭크뉴스 2024.06.17
40061 90도 고개 숙인 최태원 회장 "재판부, 재산 분할에 명백한 오류…상고 결심했다" 랭크뉴스 2024.06.17
40060 노소영 측 “회사 차원 대응 부적절…차라리 판결문 전체 공개를” 랭크뉴스 2024.06.17
40059 尹대통령 "의료계 불법 진료거부 비상대책에 만전 기하라" 랭크뉴스 2024.06.17
40058 [르포] 4兆 규모 제주 개발사업 재개…'유령도시'에서 헬스케어 중심 첨단도시로 탈바꿈 랭크뉴스 2024.06.17
40057 ‘제주 거문오름’ 40~50살 삼나무 10만 그루 베어내는 이유 랭크뉴스 2024.06.17
40056 노소영 측 “개인 송사에 회사 차원 대응 부적절…침소봉대 유감” 랭크뉴스 2024.06.17
40055 서울대병원 휴진 첫날, 환자도 울고 교수도 울었다… "히포크라테스의 통곡" 랭크뉴스 2024.06.17
40054 최태원 “2심 재산분할서 주식가치 100배 왜곡… 상고한다” 랭크뉴스 2024.06.17
40053 SK “재판부, 계산 틀려 판결문 오류”…노소영 측 “일부 침소봉대” 랭크뉴스 2024.06.17
40052 테이저건 맞은 뒤 숨진 50대 '급성 심장사'…관련자 문책 않는다 랭크뉴스 2024.06.17
40051 "여기 검찰의 애완견 계십니까"‥'기XX' 발언에 정치권 발칵 [현장영상] 랭크뉴스 2024.06.17
40050 최태원 “6공 후광으로 SK 키웠다는 판결, 사실 아니다” 랭크뉴스 2024.06.17
40049 '사문서 위조' 부친 채무?... 박세리, 37억 원짜리 집 경매 넘어갔다 랭크뉴스 2024.06.17
40048 박정훈 의원, 이재명 대표 위증교사 주장 녹취 공개 랭크뉴스 2024.06.17
40047 [속보] 尹 “의료계 불법 진료거부 비상대책” 지시 랭크뉴스 2024.06.17
40046 "베테랑 죽인 지하철의 민낯"...연신내역 감전 사망 노동자 동료들, 서울시 규탄 랭크뉴스 2024.0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