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작년 12월 유명인 자살 직후 급증…"모방자살 경향"
정부,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강화·청년층 치료지원
가공육 보존제 '아질산나륨' 자살위해물건 신규 지정


서울 마포 대교에 설치된 '한 번만 더' 동상 모습.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오진송 기자 = 올해 1월 자살 사망자가 작년보다 33.8% 늘어나는 등 1분기 자살 사망자가 많이 증가했다.

정부는 작년 말 유명인의 자살 소식이 자살자 급증에 영향을 미쳤다고 보고, 언론과 유튜브 등 뉴미디어 매체에 자살 보도 권고기준을 준수해달라고 요청했다.

자살 위험이 큰 자살 재시도자 관리를 강화하는 한편, 청년층 자살 시도자에게는 소득에 상관없이 100만원 한도로 치료비를 지원하기로 했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정부는 1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제8차 '자살예방정책위원회'를 열고 '최근 자살 동향 및 대응 방안'을 발표했다.

작년 자살 사망자는 1만3천770명으로 전년(1만2천906명)보다 6.7% 늘었고, 2020년 이후 가장 많았다.

성별로는 남성 자살자는 9천626명으로 전년(9천19명)보다 6.7%, 여성은 4천144명으로 전년(3천887명)보다 6.6% 각각 늘었다.

특히 올해 1분기 자살 사망자가 눈에 띄게 늘었다.

올해 1월 자살 사망자는 작년 동월보다 334명(33.8%) 증가한 1천321명이다. 남성은 303명(44.0%), 여성은 31명(10.4%) 늘었다.

2월에는 작년 동월보다 123명(11.6%) 증가한 1천185명이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남성은 97명(12.5%), 여성은 26명(9.2%) 증가했다.

3월에는 작년 동월보다 21명(1.7%) 증가한 1천288명이 자살했다. 남성은 33명(3.6%) 늘어났지만, 여성은 12명(3.4%) 감소했다.

이에 정부는 4월 26일과 5월 8일 두 차례 '자살 예방 전문가 자문회의'를 열고 최근 자살 사망 증가 원인을 분석했다.

2022년∼2024년 월별 자살사망자 수
[보건복지부 제공]


그 결과 전문가들은 작년 12월 유명인 사망 사건 직후 7∼8주간 자살이 증가해 '모방 자살 경향'이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정부는 자살 방법과 도구, 장소와 동기를 구체적으로 밝힌 보도가 모방 자살을 부추긴다고 보고, 언론에 '자살 보도 권고기준'에 따라 신중히 보도해달라고 당부했다.

특히 '극단적 선택' 등 자살을 암시하는 표현 사용을 자제해달라고 요청했다.

최근 유튜브 등에서 유명인의 자살 소식을 알리는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고 보고, 뉴미디어에 대한 지침을 담은 '자살 보도 권고기준 4.0'을 마련해 연내 발간할 예정이다.

생명사랑위기대응센터에 내원한 자살 시도자 중 반복 자살 시도로 응급실을 찾은 환자의 비율이 올해 1∼3월 27.0%로 작년(17.0%)보다 10%포인트 늘어났다는 것을 고려해 자살 시도자에 대한 사후 관리도 강화한다.

다른 연령층보다 자살 시도율이 높은 청년층을 관리하기 위해, 소득 수준에 상관없이 '정신건강 사례관리 서비스'에 동의한 모든 청년(19∼34세)에게 자살 시도로 인한 신체 손상이나 정신건강의학과 치료비를 100만원 한도 내에서 지원한다.

자살 예방 상담전화 109
[보건복지부 제공]


지역별 자살 예방 대응도 강화한다.

최근 자살 사망자가 급증한 지역을 대상으로 알림 체계를 구축하는 등 서비스 지원을 강화하고, 지방자치단체를 통해 지역 맞춤형 대책을 마련한다.

코로나19로 사회적 고립과 경제난을 겪어 정신질환 진료를 받는 국민에게 '심리상담 바우처'를 제공해 전문 심리상담을 지원한다. 대상은 정신의료기관과 정신건강복지센터 등에서 의뢰되거나, 국가건강검진에서 우울증이 확인된 국민이다.

자살을 '선택'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높아진 점을 고려해 일정 규모 이상의 사업장에 자살 예방 교육을 의무화한다.

한편 위원회는 이날 회의에서 '자살위해물건에 관한 고시 개정계획(안)'을 심의해 아질산나트륨을 자살 위해 물건으로 신규 지정했다.

아질산나트륨은 흰색 분말 형태로 주로 가공육의 보존제와 발색제로 쓰이지만, 4∼6g만 섭취해도 사망에 이를 수 있어 최근 호주와 일본 등에서 신종 자살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

2017년 0명이었던 아질산나트륨으로 인한 자살 사망은 2018년 3명, 2019년 11명, 2020년 49명, 2021년 46명, 2022년 33명으로 보고됐다.

자살 위해 물건으로 지정된 물질을 자살 유발 목적으로 정보통신망을 통해 유통하면 2년 이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 벌금 등 형사처벌을 받는다.

온라인으로 자살 위해 물건을 사거나 구매 의사를 표현하는 등 자살 실행이 명백하다고 판단되면 경찰, 소방의 위치 파악을 통해 긴급 구조된다.

[그래픽] 자살 사망자 수 추이
(서울=연합뉴스) 원형민 기자 = [email protected]
페이스북 tuney.kr/LeYN1 X(트위터) @yonhap_graphics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0080 김정숙 여사, 배현진 고소…"허위사실 유포로 명예 훼손" 랭크뉴스 2024.06.17
40079 [속보] 최태원 재판부 "재산분할 수치, 치명적 오류" 판결문 수정 랭크뉴스 2024.06.17
40078 '민원실 대변' 검사 추태설에 "X검은 처음" 경악한 조국 랭크뉴스 2024.06.17
40077 민주, 중앙위서 ‘대표 임기 예외규정’ 등 당헌 개정안 확정 랭크뉴스 2024.06.17
40076 [속보]김정숙 여사, 배현진 의원 고소…“허위사실 유포로 명예훼손” 랭크뉴스 2024.06.17
40075 "김정은·푸틴 '위험한 브로맨스'…북한에 역대급 전략적 기회" 랭크뉴스 2024.06.17
40074 '래미안 원펜타스' 분양가 6736만원 확정…시세차익 20억 랭크뉴스 2024.06.17
40073 이 와중에… 이승기, ‘94억’ 주고 장충동 땅 190평 매입 랭크뉴스 2024.06.17
40072 [속보] "재산분할 기초 수치에 치명적 오류"... 최태원 재판부, 판결문 수정 랭크뉴스 2024.06.17
40071 환자들은 애타는데…서울의대 비대위원장 “휴진은 추석 연휴” 발언 재조명 랭크뉴스 2024.06.17
40070 파도 파도 끝 없다… ‘건축왕’ 전세사기 피해 102명 추가 랭크뉴스 2024.06.17
40069 유전 승인 요청 없는데 승인한 대통령, 대통령 승인 했는데 검토 중인 산업부 [기자메모] 랭크뉴스 2024.06.17
40068 [단독] 선관위, 바이러스 검사하려다 직원 3천 명 정보 인터넷에 노출 [탈탈털털] 랭크뉴스 2024.06.17
40067 "아디다스에 무슨 일이..." 중국 법인 대규모 뇌물수수 조사 랭크뉴스 2024.06.17
40066 [단독] 군, 9·19 효력정지로 ‘교전수칙’ 단계 축소 랭크뉴스 2024.06.17
40065 [속보] 민주, 중앙위서 ‘대표 임기 예외규정’ 등 당헌 개정안 확정 랭크뉴스 2024.06.17
40064 재점화되는 ‘사법 리스크’, 날카로워진 이재명의 입 랭크뉴스 2024.06.17
40063 '90도' 고개 숙이면서도‥"자존심 상한다" 왜? [현장영상] 랭크뉴스 2024.06.17
40062 尹 “의료계 불법 진료거부 비상대책” 지시 랭크뉴스 2024.06.17
40061 90도 고개 숙인 최태원 회장 "재판부, 재산 분할에 명백한 오류…상고 결심했다" 랭크뉴스 2024.0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