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배민 등 플랫폼, ‘자체배달’ 점유율 대폭 높이고 운임은 내려
대행사는 “건수 반토막” 위축…거부감에 ‘저가 콜’ 패스하기도
신규 라이더 유입 줄어…요식업주들 “1시간 지연 다반사” 답답


“길면 배차가 한 시간 반 넘게 걸릴 때도 있어요.” 서울 서대문구에서 디저트 가게를 운영하는 윤모씨(30)가 13일 말했다. 먹기 좋은 시간 내에 손님에게 가야 할 음식이 배달할 사람이 없어 가게에서 오래 대기해야 하는 일이 자주 벌어진다고 했다. 디저트류의 특성상 제시간에 배달되지 못하면 녹거나 식거나 심하면 형태가 무너진다. 윤씨는 가게 한쪽에 있는 포장된 제품을 가리켰다. “이것도 지금 40분째 기다리고 있는 거예요.”

최근 배달의민족(배민) 등 배달플랫폼의 배차 지연이 빈번해지고 있다. 온라인 자영업자 커뮤니티 ‘아프니까 사장이다’에는 자영업자들의 불만이 쏟아진 지 오래다. “배민 배달 배차가 30분씩 지연되더니 갑자기 500m 내 거리도 주문이 안 되게 (시스템을) 다 닫아버렸다”거나 “울며 겨자 먹기로 배달을 하는데 너무 힘이 든다”는 불만이다.

이는 소비자 불편으로 이어진다. 서울 영등포구에 사는 김모씨(36)는 “퇴근하고 시킨 닭강정이 두 시간이 걸려도 오지 않았다”며 “항의하려고 가게에 전화했더니 ‘배달이 잡히지 않는다’고 하니 어찌할 도리가 없었다”고 말했다. ‘배달비 무료’에 혹해 주문을 했다는 사람은 온라인 커뮤니티에 “배달 시간이 한 시간도 넘어 ‘눅눅한 치킨’을 먹었다”며 “최근에만 벌써 두 번째”라고 사연을 적었다.

요식업주와 배달대행업체, 라이더들은 이런 현상이 배달플랫폼사가 ‘자체배달’을 과도하게 늘리고 저가배달을 도입한 부작용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할인쿠폰·무료배달 등으로 자체배달 수요를 늘려놓고 배달 운임은 떨어뜨려 배달 지연을 낳았다는 것이다. 자체배달은 배달플랫폼이 배달대행업체를 거치지 않고 라이더를 직접 모집·계약해 운영하는 제도다.

배달플랫폼들은 의욕적으로 자체배달 점유율을 높여왔다.

윤씨는 “지난해 초만 해도 전체 주문의 20% 정도였던 플랫폼 자체배달 비중이 최근엔 90%에 육박한다”며 “플랫폼 업체가 경쟁적으로 할인쿠폰을 나눠주면서 상황이 바뀌었다”고 말했다. 배달대행업체 사장 A씨는 “앱 구성만 봐도 ‘가게배달’이 아니라 ‘배민1’(자체배달)을 더 쉽게 사용할 수 있게 돼 있다”고 했다. 가게배달은 배달대행업체와 요식업체를 단순 중개하는 서비스로, 배민이 기존에 하던 서비스 방식이다.

배달플랫폼의 자체배달이 늘면 배달대행업계는 위축될 수밖에 없다. A씨는 “가게배달로 콜을 받는 배달대행업체는 이제 사양산업”이라며 “올해 들어 배달 건수가 지난해 대비 절반 이하로 떨어졌다”고 말했다. 배달 수요가 배달플랫폼 쪽으로 넘어가면서 배달대행업체에 속한 라이더도 급감했다. 대행업체에서 일하는 유모씨는 “지난해보다 배달 건수가 3분의 1로 줄었고, 이에 비례해 라이더 숫자도 3분의 1 줄었다”며 “대부분 라이더들이 배달플랫폼 소속으로 갔다”고 말했다.

자체배달로 라이더를 쓸어간 플랫폼사가 배달 운임은 깎으면서 배달 지연을 더 악화시켰다는 주장이 나온다. 운임 하락으로 신규 인력의 배달노동시장 유입이 줄었고, 기존 라이더들은 운임이 낮은 콜은 받지 않는 등 선택적으로 배달 주문에 응한다는 것이다.

구교현 라이더유니온 위원장은 “라이더들 사이에 거부감이 퍼져 2000원짜리 콜은 안 잡는다”며 “이젠 배민을 안 탄다는 라이더도 생겼다”고 했다.

배민 측은 “무료배달 프로모션을 할 뿐, 저가 경쟁은 하고 있지 않다”고 부인했다. 배민 관계자는 기자와 통화하면서 “라이더를 대상으로 배달료를 낮춘 적이 없고, 배달료는 협약에 따라 거리할증·기사할증을 준수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코로나19 엔데믹 이후 배달 수요가 줄면서 공급도 줄어 배달시장 자체가 작아지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39899 양육비 떼먹는 아빠의 직업은 ‘아동 학대’ 전문 인권변호사 [창+] 랭크뉴스 2024.06.17
39898 ‘50도 육박’ 사우디 메카 성지순례서 요르단인 14명 숨져 랭크뉴스 2024.06.17
39897 "직접 벌어 해결해라" 아들을 거리로 내몬 이유는? 랭크뉴스 2024.06.17
39896 박세리 집 강제 경매 넘어갔다…직접 설계한 '나혼산' 그 건물 랭크뉴스 2024.06.17
39895 엔비디아 못지 않네…Z세대 사로잡은 K컬처 ETF 수익률 '쑥쑥' 랭크뉴스 2024.06.17
39894 “도우미, 가정부, 파출부, 식모 아닌 근로자입니다”…법 시행 2년 휴·폐업 왜? 랭크뉴스 2024.06.17
39893 서울대병원, 오늘부터 휴진…정부 “진료거부 방치 엄정 대응” 랭크뉴스 2024.06.17
39892 법사위, 소위 열어 채 상병 특검법 심사…여당 불참할 듯 랭크뉴스 2024.06.17
39891 [최훈 칼럼] 여의도에 공룡이 산다 랭크뉴스 2024.06.17
39890 김 여사 도움으로 韓서 수술…누워만 있던 아이, 이젠 뛴다 랭크뉴스 2024.06.17
39889 "제발 승진시키지 마세요"…가늘고 길게 가고 싶은 '임포족'을 아시나요? 랭크뉴스 2024.06.17
39888 "홍대병의 고장, 마포구 상권이 오래가는 이유" 도보마포 신현오 인터뷰 [마포구의 비밀④] 랭크뉴스 2024.06.17
39887 [무너지는 제주 부동산] ③카페·민박 수요 넘치던 빈집… 이제는 마을마다 흉물로 방치 랭크뉴스 2024.06.17
39886 [단독] “군장학생·3사 출신 장교, 육아휴직 불허”…출신 차별하는 국방부[이현호 기자의 밀리터리!톡] 랭크뉴스 2024.06.17
39885 李 ‘애완견’ 후폭풍… 여권“희대의 망언” 친명 “그것도 높임말” 랭크뉴스 2024.06.17
39884 다가오는 채상병 순직 1년…밝혀진 것과 밝혀야 할 것들 [뉴스AS] 랭크뉴스 2024.06.17
39883 '휴진 불참' 신경과 교수 "10년 후 의사 수 때문에 지금 환자 죽어도 되나" 랭크뉴스 2024.06.17
39882 직장인 10명 중 7명 "최저임금 230만 원은 돼야" 랭크뉴스 2024.06.17
39881 정종범 메모 '○○수사 언동 안됨' 누가 말했나…어긋나는 진술 랭크뉴스 2024.06.17
39880 아프리카돼지열병 영천서 발생…긴급 방역 추진 랭크뉴스 2024.0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