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이기헌 의원, 국가유산청 자료 분석
서식 개체 중 절반 가량 떼죽음 추정
환경부·국가유산청, 소통 조차 안돼
지난겨울 설악산국립공원 도로 옆에 탈진해 있는 산양. 국립공원을지키는시민의모임 제공


지난겨울
멸종위기종이자 천연기념물인 산양
사망 수가 1,000마리
를 넘은 것으로 확인됐다. 죽은 산양 10마리 중 3마리는 강원 인제군, 고성군 등
설악산 국립공원
에서 발견됐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이기헌 더불어민주당 의원
국가유산청(옛 문화재청)
으로부터 받은 산양 멸실(사망)신고서를 보면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5월까지 사망한 산양 수는
1,022마리
였다. 국가유산청과 환경부가 추정하는 국내 서식 산양 수가 1,000~2,000마리임을 감안하면, 절반 이상이 떼죽음을 당했을 가능성이 있는 셈이다.

지난겨울 산양 사망 수는 지난 3월 본보를 포함한 언론사들이 국가유산청으로부터 받은 멸실신고서를 기반으로 집계 보도하면서 알려지기 시작했다. 2월 기준 277마리에서 3월 537마리, 4월 747마리로 늘어나다 5월 기준 1,000마리를 넘은 게 확인된 것이다.

산양 멸실(사망)신고 추이. 송정근 기자


지난겨울 설악산국립공원 미시령옛길에서 눈 속에서 힘들게 버티고 있는 산양. 국립공원을지키는시민의모임 제공


시민단체
국립공원을지키는시민의모임
과 멸실 신고서를 지역별로 분석한 결과 비무장지대(DMZ)가 속한
강원 화천군과 양구군
에서 죽은 산양 수는 각각 264마리, 316마리로 도합
56.7%
에 달했다. 이곳은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방역을 위해 설치한 방역 울타리
와 농가가 친 울타리가 집중돼 있는 곳(
본보 3월 7일 보도
)이다. 산양이 울타리에 가로막혀 먹이를 구하지 못한 채 고립됐을 가능성을 시사하는 대목으로 생태적 단절을 초래하는 ASF 방역 울타리를 철거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본격적으로 제기됐다.

연관기사
• 화천·양구에서만 80%가 죽었다… 멸종위기종 산양이 보내는 SOS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4030615230005712)• 산양 10마리 중 6마리 탈진해 굶어 죽었는데... 원인 규명조차 못하는 정부 [위기의 도심동물들]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4041714550002697)• 말 못하는 산양이 남긴 1090개 죽음의 기록 [고은경의 반려배려]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4050310240002043)

설악산 국립공원
이 있는 강원 고성군과 인제군, 양양군, 속초시에서만
346마리(33.8%)
가 죽은 점도 눈에 띈다.
정인철 국립공원을지키는시민의모임 사무국장
은 "3월 말까지 산불통제기간으로 수색하지 못했던 국립공원에서 기존에 죽은 산양들이 대규모로 발견된 결과"라고 분석했다.

강원 양구군 방산면 오미리 도로 옆 울타리에 갇힌 산양. 국립공원을지키는시민의모임 제공


산양이 1,000마리가 넘도록 떼죽음을 당하는 동안에도 관할부처인
국가유산청과 환경부
는 제대로 된 원인규명은커녕
부처 간 협업도 진행하지 않은 것
으로 드러났다. 이 의원에 따르면 국가유산청이 환경부에 보낸 협조 공문은 '천연기념물 산양 폐사 관련 협조 요청' 한 건뿐이었다. 공문에는 "ASF 차단 울타리가 산양 폐사의 한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언론보도가 잇따르고 있다"며 "환경부 차원의 관련 조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기 시행 중인 조치가 있으면 청에 알려주길 바란다"고 돼 있다.

이 의원은 "천연기념물 보호관리 주무부처인 국가유산청이 마땅히 해야 할 고심의 흔적조차 보이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이어 "국가유산청이 환경부만 쳐다보고 있다간
돌아오는 겨울에도 산양의 떼죽음은 되풀이
될 수밖에 없다"며 "조사를 통해 원인을 규명하고 재발 방지를 위한 특단의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실제 환경부가 지난 4월 개최한 멸종위기 포유류 산양 보호를 위한 전문가 자문회의에 국가유산청은 참석하지 않았다.

지난달 30일 설악산 국립공원 미시령옛길 부근에서 발견된 산양 사체. 다른 동물들이 이미 사체를 먹어 얼굴만 남아 있는 상태였다. 국립공원을지키는시민의모임 제공


환경부는 ASF 차단 울타리 일부를 개방하고 모니터링하는 시범사업을 내년 5월까지 진행하기로 했다. 하지만 개방 구간이 적은 데다 실제 산양이 사망하거나 구조된 위치, 원인 등을 제대로 분석하지 않은 가운데 정책이 수립(
본보 4월 18일 보도
)되고 있어 효과를 거두기 어렵다는 우려가 제기돼 왔다. 이런 가운데
강원도의회
에서도 ASF 울타리 철거와 개방을 요구하는 의견이 나왔다.

정 사무국장은 "산양 폐사 수가 1,000마리를 넘을 때까지 원인 규명과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하지 않은 것은 환경부와 국가유산청의 무능함을 넘은
직무유기
로 봐야 한다"며 "22대 국회가 개원한 만큼 각 상임위에서 관계부처를 상대로 철저한 감사와 조사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39893 서울대병원, 오늘부터 휴진…정부 “진료거부 방치 엄정 대응” 랭크뉴스 2024.06.17
39892 법사위, 소위 열어 채 상병 특검법 심사…여당 불참할 듯 랭크뉴스 2024.06.17
39891 [최훈 칼럼] 여의도에 공룡이 산다 랭크뉴스 2024.06.17
39890 김 여사 도움으로 韓서 수술…누워만 있던 아이, 이젠 뛴다 랭크뉴스 2024.06.17
39889 "제발 승진시키지 마세요"…가늘고 길게 가고 싶은 '임포족'을 아시나요? 랭크뉴스 2024.06.17
39888 "홍대병의 고장, 마포구 상권이 오래가는 이유" 도보마포 신현오 인터뷰 [마포구의 비밀④] 랭크뉴스 2024.06.17
39887 [무너지는 제주 부동산] ③카페·민박 수요 넘치던 빈집… 이제는 마을마다 흉물로 방치 랭크뉴스 2024.06.17
39886 [단독] “군장학생·3사 출신 장교, 육아휴직 불허”…출신 차별하는 국방부[이현호 기자의 밀리터리!톡] 랭크뉴스 2024.06.17
39885 李 ‘애완견’ 후폭풍… 여권“희대의 망언” 친명 “그것도 높임말” 랭크뉴스 2024.06.17
39884 다가오는 채상병 순직 1년…밝혀진 것과 밝혀야 할 것들 [뉴스AS] 랭크뉴스 2024.06.17
39883 '휴진 불참' 신경과 교수 "10년 후 의사 수 때문에 지금 환자 죽어도 되나" 랭크뉴스 2024.06.17
39882 직장인 10명 중 7명 "최저임금 230만 원은 돼야" 랭크뉴스 2024.06.17
39881 정종범 메모 '○○수사 언동 안됨' 누가 말했나…어긋나는 진술 랭크뉴스 2024.06.17
39880 아프리카돼지열병 영천서 발생…긴급 방역 추진 랭크뉴스 2024.06.17
39879 [뉴스AS] 다가오는 채 상병 순직 1년…밝혀진 것과 밝혀야 할 것들 랭크뉴스 2024.06.17
39878 [증시한담] 2년 만에 등장한 증권사 리포트… 애널리스트 선후배간 인연 덕분? 랭크뉴스 2024.06.17
39877 휴대전화 번호이동, 전환지원금 지급 후 되레 줄어 랭크뉴스 2024.06.17
39876 오늘도 덥다···최고기온 33도[날씨] 랭크뉴스 2024.06.17
39875 아이유도 130억 전액 현금…5가구만 빚내서 산 고급빌라 어디 랭크뉴스 2024.06.17
39874 “네 아들 학교 못 다니게 할 거다”… 캣맘 협박 ‘공포’ 랭크뉴스 2024.0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