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이재명 일극체제’라는 말이 나오는 더불어민주당 내부에서 최근 김동연 경기지사의 행보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수도권의 유일한 민주당 소속 광역단체장인 김 지사가 전임자인 이재명 민주당 대표와 공공연히 각을 세우고 있어서다.

김동연 경기지사가 11일 경기도청에서 ‘긴급 유관기관 대책회의’를 열고 “한반도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도민, 국민 보호를 위한 공조가 시급한 상황”이라며 대북전단 살포 예상 지역에 특별사법경찰관들을 투입하겠다고 밝혔다. 사진 경기도청
김 지사는 지난 11일 자신의 SNS에 “민주당 당헌·당규 개정안에 이의 있습니다”며 당 지도부에 반기를 들었다. 그는 국회의장·원내대표 선출에 당원 투표를 20% 반영하는 방안에 “과유불급이다. 당원 중심 정당에는 찬성하지만, 국민정당·원내정당에서 멀어져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대선 1년 전 당권·대권 분리 원칙에 예외를 두는 조항 신설에 대해서도 김 지사는 “불신을 자초하는 일”이라며 “특정인 맞춤 개정이라는 오해를 사기에 충분하다”고 꼬집었다. 김 지사는 “‘그 누구의 민주당’이 아닌 ‘국민의 민주당’이 되어야 한다. 정도(正道)를 걸어야 한다”는 말로 자신의 글을 끝맺었다.

그간 민주당에서 정성호·박지원(이상 5선)·김영진(3선) 의원이 라디오 인터뷰를 통해 반대 의견을 나타낸 적은 있으나, 입장문 형태로 반대 의견을 낸 건 김 지사가 유일하다. 당내에선 “점잖은 말투로 이재명 사당화(私黨化)를 직격한 것”(수도권 재선)이라는 평가가 나왔다.

그렇다고 김 지사가 민주당 내부만을 겨냥하는 건 아니다. 그는 같은 날 경기도청에서 군·경·소방 등과 긴급 유관기관 공조회의를 열고 “경기도는 대북전단 살포 예상 지역에 즉시 특별사법 경찰관을 출동시켜서 순찰하고 감시를 강화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는 북한발 ‘오물 풍선’ 소동의 원인이 대북 전단 살포에 있다고 보는 것으로, ‘표현의 자유’를 이유로 대북 전단 살포를 막지 않는 윤석열 정부 입장과 배치된다.

김동연 경기지사가 3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당대표를 만나 '경제 3법' 협조 관련 대화를 나누고 있다. 뉴스1
임기 반환점을 앞두고 ‘김동연표 정책’ 드라이브도 강화됐다. 그는 지난 12일 경기도의회 도정 질의에서 자신이 구상한 기회소득 정책에 대해 “전국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기회소득은 가치를 창출하지만 정당한 보상을 받지 못하는 대상을 선별해 일정 기간 소득을 보전해주는 정책이다. 경기도는 현재 ▶예술인 ▶장애인 기회소득을 실시 중이다. 한시적으로 선별 지급하는 기회소득 정책을 확대하면서, 자연스레 ‘이재명표 보편적 기본소득’ 정책은 폐지 수순을 밟게 됐다. 경기도는 2021년 하반기부터 실시한 농민 기본소득 폐지 수순에 돌입했다.

김 지사는 지난 3일엔 국회에서 박찬대 민주당 원내대표를 만나 ▶반도체 특별법 제정 ▶RE100 3법 제·개정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치 특별법 제정 등을 제안했다. 이 가운데 경기북도 분도(分道)는 이재명 대표가 총선 유세에서 “강원서(西)도로 전락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며 강하게 반대했던 정책이다.

민주당 내부에선 김 지사의 행보를 두고 “차기 ‘비명계 잠룡’으로서의 체급을 키우는 중”이란 해석이 나온다. 현재 당내에서 이 대표의 대항마가 눈에 띄지 않는 상황에서 빈 공간 선점에 나섰다는 의미다.

최근 김 지사의 참모진으로 외부 인사가 합류한 점도 눈에 띈다. 김 지사가 지난달 영입한 신봉훈 정책수석과 안정곤 비서실장은 각각 노무현 정부와 문재인 정부 청와대에서 근무한 이력이 있다. 김 지사와는 특별한 인연이 없었기에 ‘외연 확장’으로 해석된다.

여야의 견제도 시작됐다. 이애형 경기도의회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선 넘은 대권 행보를 이어가던 김동연 지사가 이제는 노골적으로 ‘정무’ 강화에 나섰다”고 비판했고, 민주당의 한 친명계 보좌관은 “김 지사는 사실 이 대표의 도움으로 경기지사가 됐는데, 이제는 서서히 발톱을 드러내는 듯하다”고 말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35014 멜로니 伊총리 "G7, 파리올림픽 휴전 만장일치 지지" 랭크뉴스 2024.06.16
35013 "후티 반군 공격받은 상선 불타 침몰 중…선원 대피" 랭크뉴스 2024.06.16
35012 '방탄' 진에 기습뽀뽀 일본女?… "굉장히 살결 부드러워" 발칵 랭크뉴스 2024.06.16
35011 '암 투병' 왕세자빈 돋보인 패션 센스…압권은 '챙이 넓은 모자' 랭크뉴스 2024.06.16
35010 ‘천연기념물’ 산양, 지난해 반년간 1022마리 숨졌다 랭크뉴스 2024.06.16
35009 이스라엘군의 비밀무기는 투석기와 불화살?‥21세기와 15세기의 공존 랭크뉴스 2024.06.16
35008 로또 1등 26억 터졌다…10명 무더기 1등 당첨 랭크뉴스 2024.06.16
35007 군산서 오토바이에 들이받힌 보행자 2명 사망 랭크뉴스 2024.06.16
35006 "담배 펴서 그래" 병원 실려가도 욕해…박하선 앓던 병, 무슨 병 랭크뉴스 2024.06.15
35005 비 그친 일요일, 구름 많다 맑아져…미세먼지 ‘좋음’ 랭크뉴스 2024.06.15
35004 서울의대 교수 비대위 "17~22일 교수 529명 휴진…54.7%" 랭크뉴스 2024.06.15
35003 '방탄' 진에 뽀뽀女는 일본인?… "입술 닿은 목, 살결 부드러워" 랭크뉴스 2024.06.15
35002 찰스3세 생일행사…'암투병' 왕세자빈, 반년만에 공식 석상에 랭크뉴스 2024.06.15
35001 십년 지나도록 방치…‘복구’가 더 문제 랭크뉴스 2024.06.15
35000 '당첨금 26억' 로또 1등 10명 나왔다…87명 당첨 2등은 얼마? 랭크뉴스 2024.06.15
34999 산이 무너진다…불법 토석 채취 ‘몸살’ 랭크뉴스 2024.06.15
34998 우크라 평화회의, 스위스서 개막…젤렌스키 "새 역사 만들 것" 랭크뉴스 2024.06.15
34997 전석 매진 이끄는 노장의 힘 "연기는 숙명" 랭크뉴스 2024.06.15
34996 어릴 적 탐진강 손맛, 이젠 집 근처 자연 낚시터에서 [ESC] 랭크뉴스 2024.06.15
34995 로또 1등 26.2억씩 10명… 또 무더기 당첨 랭크뉴스 2024.0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