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국립수산과학원의 동중국해 발원 노무라입깃해파리 조사에서 포획된 해파리. 사진 국립수산과학원
“100㎏ 넘는 해파리가 여러 마리 걸려들면 아찔합니다.”
부산 연안에서 조업하는 기장어촌계 관계자는 지난 10일 통화에서 “무게 150㎏, 길이 2m까지 자라는 노무라입깃해파리는 끌어 올리기도 어렵고, 그물이 찢어지는 일도 잦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해파리가 그물에 섞이면 분류 작업에 두배 넘는 시간이 든다. 그런데 해파리에게 짓눌리거나 쏘여서 비늘이 상한 물고기는 상품 가치가 떨어져 팔지도 못한다”며 “갈수록 해파리가 늘어 골치”라고 덧붙였다.



뜨거워진 바다, 해파리 일찍 키웠다
무더위가 일찍 찾아오면서 해파리도 덩달아 기승을 부리고 있다. 11일 국립수산과학원과 부산시 등에 따르면 지난달 27일 경남과 전남 등 남해안에는 올해 들어 첫 해파리 주의보가 내려졌다. 이 해역에서 독성이 약한 보름달물해파리가 수중 100㎡당 5마리 넘게 관측되면서다.
크기 2m, 무게 150gk까지 자라는 노무라입깃해파리는 그물을 찢거나 어획물 품질을 떨어린다. 사진 연합뉴스
국립수산과학에 따르면 이 주의보는 통상 6월 말, 7월 초에 발령된다. 지난해보다는 열흘 이상 앞당겨져 역대 경남과 전남 남해안에 내려진 해파리주의보 가운데 가장 이른 시기에 발령됐다. 윤석현 국립수산과학원 연구관은 “보름달물해파리는 우리 연안에 자생한다. 유생인 폴립 형태로 있다가 매년 2월쯤 깨어나는데, 기후 변화로 인한 수온 상승이 해파리의 빠른 성장과 증식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독성 강하고 천적도 없어… 쏘임 사고 증가세
노무라입깃해파리 주의보도 이달 말쯤 남해 연안과 서해 남부 연안에 내려질 것으로 보인다. 보름달물해파리와 노무라입깃해파리는 모두 해양생태계법이 규정하는 유해해양생물에 해당한다. 보름달물해파리는 경북과 전남 연안에서, 노무라입깃해파리는 경북과 강원에서 주로 기승을 부린다. 독성이 강한 노무라입깃해파리에게 쏘이면 통증과 두드러기 등 증세가 나타나며, 심하면 사망할 수도 있다.
부산 해운대해수욕장 부분 개장후 첫 휴일인 지난 2일 해수욕장을 찾은 관광객과 시민들이 물놀이와 선텐을 하며 더위를 식히고 있다. 송봉근 기자
국립수산과학원에 따르면 노무라입깃해파리는 동중국해에서 발원해 제주를 거쳐 국내 해안에 유입된 뒤 동해를 통해 빠져나간다. 국립수산과학원이 노무라입깃해파리 유입량 등을 모니터하지만, 중국에서 발원하는 만큼 발생량 증감과 원인 등을 정확히 파악하기는 어렵다. 올해 조사에서 국립수산과학원은 중국발(發) 노무라입깃해파리 개체 수가 많은 것으로 파악했다. 한국 연안으로 유입되는 해파리가 늘어날 수 있다는 의미다. 하지만 뚜렷한 통제 방안을 찾기 어렵다. 윤 연구관은 “유입에 영향을 주는 해류 흐름 등은 인력으로 통제할 수 없다”며 “거북이나 쥐치 등 일부 어종이 해파리를 먹는 장면이 목격된 적 있다. 하지만 이들도 다른 먹이가 풍부하면 해파리를 먹지 않는다. 생태계에서 천적이 없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해수욕장 개장 코앞인데” 대책 골몰
어민은 물론 해수욕장을 둔 지자체도 해파리 증가세에 촉각을 곤두세운다. 해파리가 해수욕장까지 흘러들어 피서객을 쏘는 사고가 늘고 있어서다. 부산 해수욕장 7곳에서 일어난 해파리 쏘임 피해 신고는 2019년 109건에서 이듬해 680건으로 크게 뛰었다. 2022년엔 742건까지 늘었다. 이에 개장 기간 해변에 상주하는 부산소방재난본부 대원 등이 해파리에게 쏘인 환자에게 처치하고, 쏘임 사고 예방을 위해 해파리를 잡아들이기도 한다. 쏘임 사고 신고 건수는 지난해 452건으로 줄었는데, 부산 해수욕장 방문객이 2022년과 비교해 15%가량 줄어든 게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부산소방재난본부 대원이 부산 기장군의 한 해수욕장에서 대형 노무라입깃해파리를 걷어내고 있다. 사진 부산소방재난본부
다음 달 해수욕장 본격 개장을 앞두고 부산시는 방지책 마련에 골몰하고 있다. 해운대ㆍ송정해수욕장과 송도해수욕장에는 개장에 앞서 수중에 해파리 차단막이 설치될 예정이다. 다대포해수욕장 등에서는 해파리 주의보 때 포획 그물을 단 제거 선박이 출동해 해파리를 수거하기로 했다. 일광ㆍ임랑해수욕장이 있는 기장군은 어민이 잡아 온 해파리를 사들이는 사업을 진행해 포획을 독려한다. 부산시 관계자는 “관공선 10척과 어선 7척을 비롯해 절단망ㆍ뜰채 등 해파리 구제 장비를 투입할 예정”이라며 “모니터를 강화하고 해수욕장 해파리 피해 예방에 각별히 신경 쓸 것”이라고 밝혔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3255 정부 “러 테러 희생자 애도… 조사 통해 배후 명백히 밝혀지길” 랭크뉴스 2024.03.23
3254 [속보]국민의미래, 총선 선대위 꾸려…선대위원장에 인요한 랭크뉴스 2024.03.23
3253 엘리베이터에 목줄 낀 반려견 구하려다 70대 추락사 랭크뉴스 2024.03.23
3252 [속보] 국민의미래, 선대위 구성…선대위원장에 인요한 랭크뉴스 2024.03.23
3251 자신감 붙은 조국 "한동훈, 우리당 비방 말고 수사 받을 준비나 하라" 랭크뉴스 2024.03.23
3250 밖에 나가자…기온 24도까지, 봄이 만나자고 한다 랭크뉴스 2024.03.23
3249 제주 찾은 조국 “표현의 자유 가면 쓴 4·3 폄훼 멈추게 할 것” 랭크뉴스 2024.03.23
3248 일본 중학교 교과서 ‘처리 마친 오염수’→‘오염수 처리한 물’ 변경 랭크뉴스 2024.03.23
3247 세상을 빛낸 두 '셀럽' 돼지의 죽음 [고은경의 반려배려] 랭크뉴스 2024.03.23
3246 대파‘쇼’…875원도 국민세금으로 만들어진 값인 걸 대통령만 몰라 랭크뉴스 2024.03.23
3245 영상 유출, 불법촬영, 2차가해... '집안 싸움' 넘어선 황의조 사건 [사건 플러스] 랭크뉴스 2024.03.23
3244 미국 "모스크바 테러 정보, 러시아에 사전 공유했다" 랭크뉴스 2024.03.23
3243 조국 "한동훈, 비방에 헛심 쓰지말고 수사받을 준비해야" 랭크뉴스 2024.03.23
3242 與 “이재명, 中에 굴종적 자세… 저급한 수준 한심” 랭크뉴스 2024.03.23
3241 이범수 부인 또 폭로 "남편, 양말에 휴대전화 숨겨…기괴해" 랭크뉴스 2024.03.23
3240 한국에 부는 ‘오타니 현상’…그 중심에 선 이유 랭크뉴스 2024.03.23
3239 조국혁신당 "조국이 극단주의자? 한동훈, 색깔론 이외에는 기댈 게 없나" 랭크뉴스 2024.03.23
3238 류현진 선발부터 프로 농구까지…이번 주말, 잠실 나들이는 대중교통 랭크뉴스 2024.03.23
3237 푸틴 압승 4일 만에 총 맞은 ‘러시아의 심장’…미국, 2주 전 테러 경고 랭크뉴스 2024.03.23
3236 제주 찾은 조국 "4·3 진실 알리고 왜곡 멈추게 할 것" 랭크뉴스 2024.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