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우크라 무기 지원 관련 “레드라인 넘으면 한-러 관계 영구적 손상”
게오르기 지노비예프 주한러시아 대사가 지난 2월14일 오후 서울 중구 주한러시아대사관에서 한겨레와 인터뷰를 했을 때의 모습. 김혜윤 기자 [email protected]

게오르기 지노비예프 주한 러시아 대사가 러시아 현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한국은 러시아와의 관계를 회복할 준비가 됐다는 신호를 보내고 있다”고 말했다.

지노비예프 대사는 10일(현지시각) 러시아 언론 알티브이아이(RTVI)와의 인터뷰에서 우크라이나 위기가 끝난 뒤 얼마나 빠르게 한-러 관계가 정상화될 수 있는지 묻는 말에 이렇게 답했다. 다만, 그는 “한국은 미국의 신호에 면밀히 귀를 기울일 수밖에 없기 때문에 나의 낙관론은 제한적”이라고 선을 그었다. 지노비예프 대사는 한 예로 “한국이 러시아에 제재를 가할 때 (한국은) 국제 사회의 입장을 준수해야 한다고 말한다”며 “여기서 ‘국제 사회’는 미국과 서방 동맹들로만 구성된다. (이들이) 러시아에 적대적인 노선을 유지한다면 한국은 운신의 폭이 넓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도 지노비예프 대사는 “한국은 더 큰 독립성을 보여주고, 러시아와의 생산적이고 상호 호혜적이었던 관계를 회복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방법을 모색하길 바란다”고 했다.

우크라이나에 대한 한국의 무기 지원에 대해서는 “우크라이나에 무기를 공급하는 것은 (한국이) 자제해야 할 사항”이라며 “한국은 우크라이나에 무기를 공급한다 해도 전장 상황이 바뀌지 않을 거란 점알 잘 알고 있다. 오히려 (무기 지원은) 한-러 양자 관계에 상당한 부정적 영향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만약 이 레드라인을 넘으면 양국 관계는 심각하고, 영구적으로 손상될 것”이라고 했다.

지노비예프 대사는 한국과 러시아 관계 회복을 위한 직항 노선 복원과 문화 교류, 제재 압력 완화 등도 언급했다. 그는 “한국은 (여기서) 제재를 더 늘릴 순 없을 것”이라며 “이제는 서로에게 해를 끼치는 일을 멈춰야 한다. 문화와 인도주의, 인적 교류는 여전히 유망한 분야이다. 특히 한국은 러시아 국민의 무비자 입국이 가능한 나라이기 때문에 직항 노선 복원도 지지한다”고 말했다. 또 한국 기업의 러시아 지출에 대해서도 “우리의 무역, 경제, 투자 등 실질적 관계의 인프라가 동결됐지만 파괴되지는 않았다”며 복원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그는 한반도 문제에 관해선 미국의 군사적 행동이 강화된 데 따라 “현재 상황은 전보다 더 불안하다. 한반도 상황은 점점 더 악화하고 있다”고 봤다. 지노비예프 대사는 남북은 서로 우호적으로 상호작용을 하는 기간이 있었지만, 미국과 일본 등의 강력한 개입으로 “대결과 긴장의 기간으로 대체됐다”는 인식을 보이기도 했다. 그는 “(남북) 당사자 중 한 쪽이 잘못된 결정을 내리면 사소한 사건이 가혹한 대응을 유발할 수 있다”며 한미 군사 훈련에서 핵무기를 탑재할 수 있는 폭격기 등이 동원되는 점 등을 우려했다.

이어 그는 북한의 핵 능력 개발 등을 두고 “북한의 자기방어 능력 개발은 자신의 영토와 사회 경제 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지 남한을 점령하기 위한 것은 아니”라고 덧붙였다.

또 공고해진 북-러 관계를 두고는 “북한은 국제 무대에서 러시아에 가장 우호적인 국가 중 한 곳”이라며 “(우크라이나 전쟁이 시작된) 2022년 2월이후 북한은 우리를 전폭 지지하고, 한국을 포함한 다른 국가들은 우리에게 제재를 부과하는 상황에서 북한과 협력을 발전시키지 않는 건 이상한 일일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과거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해 한국, 북한, 미국, 러시아, 중국, 일본이 참여한 6자회담에 대해선 “새로운 생명을 불어넣기 어렵다”고 봤다. 그는 “미국, 한국, 일본은 군사·정치적 동맹을 발전시키고 있지만 러시아, 북한, 중국은 외부 세력을 겨냥하지 않는 우호 관계를 발전시키고 있다”며 6자회담은 “과거의 일이 됐다”고 했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38693 키오스크 배우니 이젠 테이블링?… 어르신들 ‘한숨’ 랭크뉴스 2024.06.14
38692 진짜 58세 맞아? 싱가포르 동안남, 아침마다 챙겨 먹는 '이것' 랭크뉴스 2024.06.14
38691 젤렌스키 "유럽 '마셜플랜' 같은 우크라 복구계획 필요" 랭크뉴스 2024.06.14
38690 '머스크 성과 보상안' 표결 앞두고 테슬라 주가 장중 4% 상승 랭크뉴스 2024.06.14
38689 尹 “700만 재외 동포는 소중한 자산…우즈벡과 파트너십 강화” 랭크뉴스 2024.06.14
38688 윤 대통령 “우즈벡 청년들 한국 많이 오시라···적극 지원” 랭크뉴스 2024.06.14
38687 나이 들수록 단순 업무…중장년층, 퇴직 후 육체 노동에 몰린다 랭크뉴스 2024.06.14
38686 "한국 망했네요" 머리 부여잡은 美교수, 또 뼈 때린 말 남겼다 랭크뉴스 2024.06.14
38685 “2030년 직업 85% 교체… BTS·손흥민처럼 즐겨야 가치 상승” 랭크뉴스 2024.06.14
38684 트럼프, 의회폭동후 3년여만에 워싱턴 의사당 '화려한 컴백' 랭크뉴스 2024.06.14
38683 뉴욕증시 혼조세 출발…기준금리 인하 “2회도 가능” 랭크뉴스 2024.06.14
38682 尹 "우즈벡 전략적 가치 많이 달라져…동포와 소통하며 파트너십 강화" 랭크뉴스 2024.06.14
38681 신발 안 신으면 화상 입는 수준…타들어가는 중국의 비명 랭크뉴스 2024.06.14
38680 망치로 연인 머리 내리친 20대 男…이유 알고 보니 랭크뉴스 2024.06.14
38679 중앙亞 순방서 '고려인 동포'부터 챙긴 尹…"양국 협력 강화하는 주체" 랭크뉴스 2024.06.14
38678 한국 ‘ILO 의장국’ 유력…“윤 정부 노동권 신장 덕” 낯뜨거운 자찬 랭크뉴스 2024.06.14
38677 새 대법관 후보 9명 모두 전·현직 판사···여성 비율 줄고, 재야 출신은 0명 랭크뉴스 2024.06.14
38676 청약통장 월납 인정액 한도 41년 만에 25만원으로 상향 랭크뉴스 2024.06.14
38675 딸 휴대전화 수거한 교사에 수업 중 욕설한 학부모의 최후 랭크뉴스 2024.06.14
38674 부안 지진 피해 신고 계속 늘어…시설물 피해 400건 넘어 랭크뉴스 2024.0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