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한국은행 ‘4월 국제수지(잠정)’ 발표
상품수지 외 대부분 항목 수지 ‘적자’
상품수지 13개월째 흑자, 폭은 줄어
외국인 배당 늘며 소득수지 적자 전환

올해 4월 우리나라 경상수지가 2억9000만달러의 적자를 기록했다. 그간 흑자 행진을 이어오던 경상수지는 지난해 4월 이후 1년 만에 ‘마이너스’로 전환했다. 상품수지가 유일하게 흑자를 유지했지만 그마저 수입이 대폭 늘면서 흑자 폭이 축소했고, 해외 외국인 배당 지급에 따라 본원소득수지 등 대부분 항목의 수지가 적자 전환한 영향이다.

경상수지란 국가 간 상품, 서비스의 수출입과 함께 자본, 노동 등 모든 경제적 거래를 합산한 통계다. 크게 상품수지, 서비스수지, 본원소득수지, 이전소득수지로 구성된다.

한국은행이 11일 발표한 ‘국제수지(잠정)’에 따르면 지난 4월 경상수지는 2억9000만달러 적자로 집계됐다. 지난해 5월~지난 3월 11개월 연속 기록했던 흑자 흐름이 끊기고, 지난해 4월(-13억7000만달러) 이후 1년 만에 적자를 기록했다.

뉴스1

수출에서 수입을 뺀 상품수지는 13개월째 흑자다. 하지만 흑자 폭은 51억1000만달러로 전달(80억9000만달러)에 비해 줄었다. 반도체 등 정보·기술(IT) 품목뿐 아니라 석유 제품 등 비(非) IT 품목의 수출이 대부분 증가하면서, 전체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18% 늘었다.

반도체가 54.5%, 석유제품이 18.7%, 정보통신기기가 16.7%, 승용차가 11.4% 증가한 것이다. 국가별로는 동남아로의 수출이 26.1%로 가장 많이 증가했고, 미국, 일본, 중국으로의 수출은 각각 24.3%, 18.4%, 9.9% 확대됐다.

같은 기간 수입도 크게 늘면서 전체 상품수지 흑자 폭을 좁혔다. 그달 수입액은 전년 동월 대비 9% 증가했다. 14개월 만의 ‘플러스’ 전환이다. 석유제품(+23.3%)·가스(21.9%)·원유(+17.8%) 등 에너지가 포함된 원자재 수입이 5.5% 증가했고, 반도체(+20.2%)·정보통신기기(+11.8%) 등 자본재가 3.7%, 가전제품(+26.3%)·직접소비재(+5.0%) 등 소비재가 8.4% 증가했다.

여행·운송·지적재산권 사용료 등의 거래를 포괄한 서비스 수지는 16억6000만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적자 폭은 한달 전(-24억3000만달러)보다 축소했다. 여행수지 규모는 8억2000만달러 적자로, 동남아·중국 관광객을 중심으로 여행 수입이 확대되면서 전달(-10억7000만달러)보다 적자 폭이 축소했다. 지적재산권수지는 3억1000만달러 적자로 특허권 사용료 수입은 늘고 지급은 줄면서 적자 폭이 줄었다.

4월 잠정 경상수지. /한국은행 제공

임금·배당·이자 흐름을 반영한 본원소득수지는 33억7000만달러 적자로 나타났다. 지난해 11월(-1억1660만달러) 이후 5개월 만에 적자 전환했다. 배당소득 적자 전환의 영향이 컸다. 통상 4월엔 대규모 외국인 배당 지급이 이뤄져 배당소득수지가 줄어드는 것이 일반적인데 올해 4월엔 35억8000만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거주자와 비거주자 사이에 대가 없이 주고받은 무상원조, 증여성 송금 등의 차이를 의미하는 이전소득수지는 3억6000만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자본 유출입을 나타내는 금융계정 순자산은 66억달러 감소했다. 지난해 4월(-52억2000만달러) 이후 1년 만에 감소 전환했다. 직접투자는 내국인의 해외투자가 39억3000만달러 증가하고, 외국인의 국내투자가 23억6000만달러 증가했다. 증권투자는 내국인의 해외투자가 주식을 중심으로 35억1000만달러 증가했고, 외국인의 국내투자가 채권을 중심으로 56억2000만달러 증가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2013 서울대병원 교수 74%가 휴진 중단 찬성… "환자 피해 놔둘 수 없다" 랭크뉴스 2024.06.21
2012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들 “무기한 휴진 중단” 랭크뉴스 2024.06.21
2011 동급생·교사 얼굴 사진으로 음란물 제작 중학생들…경찰 조사 랭크뉴스 2024.06.21
2010 서울대병원 교수들, '무기한 휴진' 철회‥"정부 정책 받아들여서는 아냐" 랭크뉴스 2024.06.21
2009 ‘얼차려 사망’ 중대장·부중대장 구속…심문 3시간 만에 랭크뉴스 2024.06.21
2008 서울의대 교수들, 24일부터 병원 복귀... "환자 피해 두고 볼 수 없어" 랭크뉴스 2024.06.21
2007 배 10개에 6만 원 훌쩍... 정부, 농수산물 수급 관리 나선다 랭크뉴스 2024.06.21
2006 해병대원 특검 입법청문회…박정훈 “한 사람 격노로 모든 것이 꼬여” 랭크뉴스 2024.06.21
2005 의료계에 분노한 환자들 거리로···내달 환자단체 최초 궐기대회 랭크뉴스 2024.06.21
2004 ‘한동훈 러닝메이트’ 박정훈, 최고위원 출사표 랭크뉴스 2024.06.21
2003 ‘52도 더위’ 메카 순례 사망 1000명 넘어···“미등록자 냉방시설 못 가” 랭크뉴스 2024.06.21
2002 홍준표, 또 한동훈 저격… "이재명 못지않게 뻔뻔" 랭크뉴스 2024.06.21
2001 가수 션 “기부왕 답네”…韓 최초 루게릭요양병원 짓는다 랭크뉴스 2024.06.21
2000 탈북민단체, 대북 전단 30만장 살포...김여정 ‘오물 풍선’ 대응 시사 랭크뉴스 2024.06.21
1999 박성재, 김건희 여사 출금 질문에 "알지 못하고 확인한 적 없어" 랭크뉴스 2024.06.21
1998 얼차려 받다 숨진 훈련병… 중대장·부중대장 구속 랭크뉴스 2024.06.21
1997 "한 사람의 격노로 모든 게 꼬였다" 尹 직격한 박대령 [현장영상] 랭크뉴스 2024.06.21
1996 홍준표 "참패 석고대죄도 모자랄 판에 정치적 미숙아들이‥" 랭크뉴스 2024.06.21
1995 '한동훈-尹 통화' 파장에…용산 "모든 전대 후보에 똑같은 격려" 랭크뉴스 2024.06.21
1994 [속보] 노소영 측, 이혼소송 상고 안한다 랭크뉴스 2024.0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