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서울경제]

애플이 아이폰과 맥북에 엣지(온디바이스)·클라우드 인공지능(AI) ‘애플 인텔리전스’를 도입한다. 소문처럼 오픈AI 챗GPT와 애플 생태계 통합 방안도 제시했다. 애플은 하드웨어·소프트웨어를 함께 만든다는 이점을 활용해 유연한 연결성을 보여줬으나 안드로이드·윈도우 등 경쟁 운영체제(OS)에 일찌감치 도입 된 생성형 AI와 차별점을 내세우지는 못했다. 도입 시기도 올 하반기로 늦어 애플이 AI ‘패스트 팔로워’가 됐다는 비관적 관측에 주가는 2%가량 내렸다.

10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 쿠퍼티노에서 열린 WWDC 2024에서 팀쿡 애플 CEO가 영상을 통해 인사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10일(현지 시간) 애플은 세계개발자회의(WWDC) 2024를 열고 애플 인텔리전스와 iOS·맥OS18 ‘세콰이어’ 등을 공개했다. 애플 인텔리전스는 아이폰과 아이패드·맥북 등 애플 기기 전반에 도입되는 생성형 AI다.

애플 인텔리전스는 애플 앱과 통합돼 챗GPT 등 거대언어모델(LLM)과 같이 자동 문장 생성, 요약 등을 제공한다. 이메일과 휴대전화 알림을 정리해주고, 메시지에서는 적당한 답변을 추천해줄 뿐 아니라 이모티콘을 즉각 생성할 수도 있다. 메모 앱은 필기를 정돈해주는 한편 붙여넣은 문장도 사용자 필체와 유사하게 만들어준다. 첫 도입된 아이패드 계산기는 수식과 그래프를 이해해 계산 결과를 내놓고 수식을 그래프로 그려주기도 한다.

음성비서 시리는 보다 이해도가 높아졌고 강력한 개인화로 사용자 행동 기반 결과를 내놓는다. “어머니 도착 시간을 알려줘”라는 명령을 내리면 어머니가 보낸 문자·이메일에서 비행 시각을 찾은 후 연착 여부 등을 검색해 정확한 도착 시간을 알려준다. 이어 “어머니와 점심 장소가 어디었지?”라고 질문하면 메시지에서 점심 장소를 찾아 지도앱을 통해 도착시간까지 제공해준다.

샘 올트먼 오픈AI CEO가 10일(현지 시간) 미국 캘리포니아 쿠퍼티노에서 열린 애플 WWDC 2024에 참석해 발표를 지켜보고 있다. 사진제공=AFP연합뉴스


간단한 AI 기능은 엣지로 구동되지만 복잡한 처리는 클라우드가 사용된다. 시리가 감당하기 힘든 요구에는 챗GPT를 불러올 수 있다. 사용자에게 ‘챗GPT를 사용하겠느냐’고 물어보고 승낙할 시 GPT-4o 처리 결과를 제공한다. 챗GPT 사용은 무료고 기존 유료 구독자는 계정을 등록해 더 강력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무료 사용시 입력 제한이 있는지는 밝히지 않았다. 애플은 “챗GPT 사용시에도 오픈AI에 정보가 남지 않는다”며 “클라우드 AI 처리시에도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고 애플도 개인정보를 들여다볼 수 없다”고 강조했다.

◇ 윈도우·안드로이드 ‘기본’ 기능 뒤늦게 도입


기대했던 ‘애플 AI’ 공개지만 세상에 없던 기능을 찾아볼 수는 없었다. PC 환경 내 생성형 AI는 마이크로소프트(MS) 윈도우 코파일럿과 구글 제미나이 워크스페이스에 일찌감치 적용된 것이어서 놀라움이 적다. 스마트폰 내 엣지 AI와 맥락을 이해하는 챗봇도 삼성전자 갤럭시AI와 안드로이드 제미나이가 이미 선보인 기능이다.

OS 업데이트에서도 새로운 점은 드물었다. 아이폰은 드디어 통화녹음을 지원한다. 녹음되고 있음을 상대에게 공지하는 방식이다. 녹취록 요약도 가능하다. 설정 메뉴를 사용자가 편집할 수 있게 됐고, 게임 성능을 높여주는 게임모드도 추가됐다. 사진 앱에는 AI 지우개와 인물·장소·시기별 카테고리화가 지원된다. 맥OS는 아이폰 화면을 미러링할 수 있고 창을 화면 구석으로 붙이면 적절히 정리해준다. 모두 안드로이드와 윈도우에서 기본화된 기능이다.

흥미로운 신기능은 비전프로와 에어팟에서 찾아볼 수 있었다. 에어팟은 착용시 음성 명령 없이 고개를 흔들어 알람 확인과 거절이 가능하다. 비전프로는 일반 사진도 심도를 지닌 ‘스페이셜 포토’로 만들어준다. 손을 내밀고 탭하는 새로운 조작방식도 추가됐다. 비전프로 한국 출시는 이뤄지지 않았다. 6~7월 중 중국·일본·영국·독일 등 8개국에 추가 출시한다.

◇ 미국·영어 외 확장은 내년에야… 아이폰15 프로 미만은 사용 못해


애플 인텔리전스는 코파일럿과 제미나이, 갤럭시AI 대비 공개 시점 뿐만 아니라 적용 시기도 늦다. 애플은 올 가을 미국 내에서 애플 인텔리전스 영어 버전 공개 베타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미국 외 타국과 타 언어 지원은 내년부터다. 윈도우·안드로이드보다 1년가량 늦은 셈이다.

아이패드에 도입된 수식 계산과 아이콘 테마 기능. 사진제공=애플


AI 지원 기기도 한정했다. 스마트폰은 아이폰15 프로 이상, 아이패드와 맥북은 M1 이상 칩셋을 사용해야 한다. 하위 모델 지원 계획은 밝히지 않았다. 현 시점 최신 모델인 아이폰15 중에서도 프로가 아닌 한 AI 기능을 사용할 수 없는 것이다. 애플 A 시리즈가 안드로이드 진영 플래그십 칩셋인 스냅드래곤8 시리즈보다 성능이 높다는 점을 떠올릴 때 의아한 결과다. IT 업계는 낮은 D램 탑재량이 엣지AI 구현의 장애물이 됐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아이폰15는 6GB(기가바이트), 아이폰15 프로는 8GB D램을 보유하고 있다. 갤럭시S 시리즈를 비롯한 안드로이드 플래그십은 8GB 이상 D램을 사용한다. 실제 삼성전자는 갤럭시S22까지 갤럭시AI를 도입해놨다.

엣지·클라우드 겸용 AI 전략에 따른 수익성 악화 우려도 나온다. 클라우드 AI 가동을 위해서는 데이터센터 운영 비용이 지속적으로 누수된다. 이에 애플은 자체 제조하는 M 시리즈 칩셋 기반 데이터센터를 구축했다. 고성능 그래픽처리장치(GPU)가 필요한 초거대 AI 학습 대신 AI ‘추론(inference)’에 집중하겠다는 전략이다. 추론에 치중한 데이터센터 구축과 오픈AI와 연합은 애플이 자체 초거대 AI 개발을 포기했음을 의미한다는 평가가 따른다. 시장은 애플 AI 대전략에 대한 우려를 지우지 못하고 있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애플 주가는 1.91% 내린 후 시간외거래에서도 소폭 하락 중이다. MS가 0.95%, 구글(알파벳)이 0.5% 상승 마감한 점과 대비된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등록된 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