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원자재 등의 수입이 늘면서 상품수지 흑자 폭이 줄고, 대규모 외국인 배당 등 배당소득이 적자를 내면서 4월 경상수지가 적자로 돌아섰습니다.

한국은행이 오늘(11일) 발표한 '2024년 4월 국제수지(잠정)'를 보면, 4월 경상수지는 2억 9,000만 달러 적자로 집계됐습니다.

지난해 5월부터 올해 3월까지 11개월 연속 흑자를 나타내다가, 적자로 전환했는데 지난해 4월 이후 1년 만입니다.

4월 경상수지를 항목별로 보면 수출액에서 수입액을 뺀 상품수지는 51억 1,000만 달러 흑자로 집계됐습니다.

한 달 전(80억 9,000만 달러)보다 흑자 폭이 축소됐고, 지난해 같은 달(6억 1,000만 달러)과 비교하면 개선됐습니다.

반도체 등 IT 품목과 석유제품 등 주요 비IT 품목을 중심으로 수출 증가세가 이어지고, 원자재와 자본재, 소비재 수입이 모두 늘어난 영향입니다.

수출(581억 7,000만 달러)만 보면, 1년 전 같은 달보다 18% 늘었습니다.

품목별로는 반도체(+54.5%), 석유제품(+18.7%), 정보통신기기(+16.7%), 승용차(+11.4%), 기계류·정밀기기(+7.9%), 화공품(+1.9%) 등을 중심으로 수출이 늘었지만, 철강제품(-4.9%)의 수출은 감소했습니다.

지역별로는 동남아(+26.1%)와 미국(+24.3%), 일본(+18.4%), 중국(+9.9%)으로의 수출은 증가했고, EU로의 수출은 7.1% 감소했습니다.

4월 수입은 530억 6,000만 달러로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9% 증가했습니다.

한국은행은 "원자재와 자본재, 소비재가 모두 증가하며 14개월 만에 증가 전환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원자재는 석유제품(+23.3%), 가스(+21.9%), 원유(+17.8%) 등을 중심으로 5.5% 늘었고, 자본재는 반도체(+20.2%), 정보통신기기(+11.8%), 수송장비(+15.4%) 등을 중심으로 3.7% 늘었습니다.

소비재도 가전제품(+26.3%)과 직접소비재(+5.0%) 등을 중심으로 8.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상품수지와 달리 서비스수지는 16억 6,000만 달러 적자를 기록했는데, 전달보다 적자폭은 감소했습니다.

여행수지 적자(-8억 2,000만 달러)가 이어지는 가운데, 국내로 여행 오는 동남아·중국인 관광객을 중심으로 여행 수입이 늘면서 적자 폭은 줄었습니다.

특허권 사용료 수입이 늘어난 반면 지급은 줄면서 지재권 수지 적자폭이 전달 8억 달러에서 4월 3억 1,000만 달러 감소한 것도 서비스수지 적자폭 축소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본원소득수지는 배당소득을 중심으로 33억 7,000만 달러 적자로 집계됐습니다.

한국은행은 대규모 외국인 배당 지급에 따른 계절적 요인으로 배당소득수지가 35억 8,000만 달러 적자 전환한 영향이라고 설명했습니다.

4월 금융계정 순자산(자산-부채)은 66억 달러 적자로, 지난해 4월 이후 1년 만에 감소로 전환했습니다.

특히 증권투자가 21억 2,000만 달러 적자로 전달(+97억 2,000만 달러) 대비 적자 전환했습니다.

직접투자는 16억 6,000만 달러를 적자를 기록하며 전달(42억 2,000만 달러 적자)보다 적자 폭이 줄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등록된 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