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김여정, 확성기 재개에 “매우 위험한 상황의 전주곡”
군 “북 비열한 행위시 즉시 확성기 방송할 준비”
북, 대외 위기로 내부 결속 노리나…‘확전 기피’ 분석도
경기 파주시 등 수도권 곳곳에서 발견된 오물 풍선. 연합뉴스


북한이 전방 지역에 대남 방송용 확성기 설치에 나선 것으로 10일 확인됐다. 민간 단체들의 대북전단 살포를 이유로 대남풍선을 살포한 한 데 이어 대북 확성기 재개에 대남 확성기로 맞대응하겠다는 전략으로 보인다. 남북 강 대 강 대결의 악순환 속에 북한이 “새로운 대응”을 공언하면서 우발적 군사 충돌의 우려가 급속도로 커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합동참모본부(합참)는 이날 오후 입장문에서 “북한이 전방 지역에 대남 방송용 확성기를 설치하는 동향이 식별됐다”며 “현재까지 대남 방송은 없었다. 우리 군은 북한군 동향을 예의주시하면서 대비 태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군은 전날 오후 9시40분부터 이날 오전 8시30분까지 북한이 4차 살포한 대남 풍선 310여 개를 식별했다. 다만 북풍이 아닌 서풍이 불던 시간에 살포돼 한국 영토에 낙하한 것은 50여 개 수준으로 알려졌다.

앞서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은 전날 밤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발표한 담화에서 “한국이 국경 너머로 삐라(대북전단) 살포 행위와 확성기 방송 도발을 병행해 나선다면 의심할 바 없이 새로운 우리의 대응을 목격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 김 부부장은 오물 풍선 4차 살포는 대북 확성기 방송에 대한 “정당하고도 매우 낮은 단계의 반사적인 반응”이라며 대북 방송 재개를 “매우 위험한 상황의 전주곡”이라고 표현했다.

김 부부장은 “새로운 대응”의 구체적인 내용은 언급하지 않았다. 우선 ‘맞불’ 성격으로 대남 확성기를 가동하는 방안을 고려 중인 것으로 보인다. 북한의 확성기는 성능이 충분하지 않아 대남용보다는 북한군들이 대북 확성기 방송을 못 듣도록 하려는 의도일 수 있다. 다만 북한이 어떤 의도에서든 확성기 방송을 재개하면 군도 대북 확성기 방송으로 맞대응하며 긴장이 고조될 가능성이 크다.

전날 6년 만에 확성기 방송을 재개한 군은 아직 대남풍선 4차 살포에 대응하는 대북 방송은 진행하지 않고 있다. 합참은 이날 “대북 확성기 방송은 현재까지 실시하지 않았고 오늘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며 “북한이 비열한 행위를 할 경우에는 즉시라도 방송할 준비는 돼 있다”고 경고했다.

북한이 “새로운 대응”의 일환으로 군사 도발에 나설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된다. 북한이 서해 북방한계선(NLL) 일대 포격 도발이나 드론을 활용한 도발 등에 나서면 국지적 충돌로 번질 가능성이 커진다. 9·19 남북군사합의 효력이 전면 정지되고 남북 간 연락 채널도 지난해 4월부터 끊긴 상황이다. 충돌이 발생하면 사태가 방지턱 없이 확산할 우려가 있다. 북한 내 경제 상황이 좋지 않고 이달 말 노동당 중앙위원회 제8기 제10차 전원회의가 열린다는 점을 고려하면 북한이 외부 위협을 높여 내부 결속을 도모할 유인은 충분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정부는 강력 대응 방침을 밝혔다. 구병삼 통일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우리 국민의 불안과 사회 혼란을 야기하려는 어떠한 시도도 용납할 수 없다”며 “북한은 우리의 정당한 대응을 도발의 명분으로 삼는 오판을 하지 않아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성준 합참 공보실장은 “우리 군은 북한의 어떠한 도발에도 압도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고 북한군의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북한이 대북 확성기 관련 사항을 주민들에게 알리기 꺼리는 만큼 확전을 원치 않을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김 부부장의 담화는 북한 주민들이 볼 수 있는 노동신문 대신 대외 매체인 조선중앙통신에만 실렸다. “삐라 살포 행위와 확성기 방송 도발을 병행해 나선다면”이라는 전제를 단 데다 앞선 담화들보다 원색적 비난이 담긴 단어를 사용하지 않은 점도 눈에 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38709 [팩트체크]최대 140억 배럴 석유·가스 매장 가능성 높다?…전문가 7인 "매우 희박" 랭크뉴스 2024.06.14
38708 성북천에 버려진 '따릉이'…새벽 대여소 앞에서 한 남성이 던지고 도망 왜? 랭크뉴스 2024.06.14
38707 "이의 있다" 이재명에 각 세웠다…체급 키우는 김동연 행보 [who&why] 랭크뉴스 2024.06.14
38706 [단독] "이재명 모친상 때 '김성태 만날 것’ 말해"…검찰 파헤친다 랭크뉴스 2024.06.14
38705 尹대통령, 오늘 우즈베크 정상과 회담…공급망 협력 강화 랭크뉴스 2024.06.14
38704 다가오는 집단휴진 D데이…환자 한숨 속 정부는 "노쇼 엄정대응" 랭크뉴스 2024.06.14
38703 60세 넘은 '실버일꾼' 비중 급증…가장 늙은 일본도 뛰어넘었다 [고령근로 빛과 그림자] 랭크뉴스 2024.06.14
38702 [단독] 이재명이 '사인'한 또 다른 특혜 의혹... 검찰 ‘정자동 호텔’ 수사 재시동 랭크뉴스 2024.06.14
38701 트럼프 가택연금형으로 전대참석 불발되면?…공화 대책 마련 랭크뉴스 2024.06.14
38700 아주대의대 교수들 56% ‘18일 전면 휴진’ 참여 의사 랭크뉴스 2024.06.14
38699 ‘이스라엘 거리두기’ 시도한 코카콜라, 되려 ‘역풍’ 랭크뉴스 2024.06.14
38698 길 잃은 치매 여성 집에 데리고 가 감금·추행한 60대男 랭크뉴스 2024.06.14
38697 “33살인데, 앞으로 어떻게 살아야 할까요”[아살세] 랭크뉴스 2024.06.14
38696 쿠팡 제재하면 로켓배송 축소?…공정위 “여론 오도” 랭크뉴스 2024.06.14
38695 中 군사전문가들 “미 지옥도? 우린 드론 인해전술” 랭크뉴스 2024.06.14
38694 남편 '시한부' 판정에 충격받은 아내, 3일 먼저 사망…무슨일 랭크뉴스 2024.06.14
38693 키오스크 배우니 이젠 테이블링?… 어르신들 ‘한숨’ 랭크뉴스 2024.06.14
38692 진짜 58세 맞아? 싱가포르 동안남, 아침마다 챙겨 먹는 '이것' 랭크뉴스 2024.06.14
38691 젤렌스키 "유럽 '마셜플랜' 같은 우크라 복구계획 필요" 랭크뉴스 2024.06.14
38690 '머스크 성과 보상안' 표결 앞두고 테슬라 주가 장중 4% 상승 랭크뉴스 2024.0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