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고금리·고물가에 매출 줄어…1분기 실질소득 1.6% 감소
부실채권 비중도↑…자영업 ‘한계’ 개인회생·폐업 증가


경북에서 5년여간 양식 프랜차이즈 식당을 했던 A씨는 지난 3월 가게 문을 닫았다. 코로나19 때도 버텼지만 재료비 회수도 어려운 저조한 매출 앞에서는 사업을 이어갈 여력이 없었다. 폐업은 했지만 빚은 남아 있다. 신용보증기금 정책자금대출, 캐피털사 담보대출, 은행권 신용대출로 빌린 돈이 총 1억원가량이다. A씨는 “채무조정 프로그램 등을 통해 어떻게든 이자를 낮출 방법을 모색 중”이라며 “아직 연체한 적은 없지만 그날이 다가오는 건 시간문제”라고 말했다.

‘골목 사장님’들이 위태로워지고 있다. 고금리·고물가가 장기화되면서 이자 부담이 커지고 있다. 자영업자의 대출 연체율이 11년여 만에 최고 수준으로 상승했다. 가계의 실질소득이 줄어들어 매출이 늘어나지 않는 상황에서 한계에 부닥친 자영업자들이 늘고 있다.

9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말 기준 은행권의 개인사업자(자영업자) 대출 연체율은 지난해 말 대비 0.06%포인트 오른 0.54%로 집계됐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가 지속했던 2012년 12월(0.64%)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개인사업자 연체율이 저점이었던 2021년 말(0.16%)과 비교하면 2년여 만에 3배 이상으로 뛰어오른 상황이다.

자영업자의 부채 질도 빠르게 나빠지고 있다. 올 1분기 개인사업자 전체 여신에서 부실채권(3개월 이상 연체)이 차지하는 비중은 0.41%로 직전 분기(0.34%)보다 0.07%포인트 증가했다. 대기업 대상 여신의 부실률이 0.48%로 전 분기보다 0.2%포인트 감소한 것과 대조적이다.

자영업자들의 연체율은 한동안 계속 오를 가능성이 높다. 고금리 기조가 이어지는 가운데 대출액 자체가 많이 늘어나면서 이자 부담이 갈수록 커진 상황이기 때문이다.

신용평가회사 나이스평가정보의 자료를 보면 올해 3월 말 기준 개인사업자 335만9590명의 대출잔액은 1112조7397억원에 달했다. 오로지 사업자 명의 대출인 이 숫자는 2019년 말(738조641억원)과 비교해 50.8% 늘었다.

전체 자영업자 중 대출이 있는 사람의 비중도 60%로, 2019년 약 37%에서 껑충 뛰었다.

A씨처럼 사업자 대출은 물론 신용, 담보 대출까지 끌어모은 경우가 많다는 점을 고려할 때 빚에 허덕이는 자영업자는 더 많을 수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의 이자 비용은 전년 동기 대비 62%가량 늘었다.

문제는 매출이 곤두박질치고 있다는 점이다. IBK기업은행 분석에 따르면 개인사업자 카드매출 증가율은 지난해 4월 이후 계속 마이너스에 머물러 12월 기준 -6.4%를 기록했다.

올해 1분기 물가 상승률을 반영한 가계 실질소득은 1년 전보다 1.6% 감소해 2017년 1분기(-2.5%) 이후 7년 만에 가장 높은 감소율을 기록했다. 금융당국은 영세한 개인사업자일수록 매출 감소폭이 더욱 커지고 있다고 본다.

한계상황에 놓인 자영업자들에게 남겨진 선택은 폐업이나 개인회생이다. 지난해 개인회생을 신청한 영업소득자(자영업자)는 5859명으로 전년 대비 61% 증가했다. 자영업자 폐업률은 지난해 9.5%로 1년 전보다 0.8%포인트 늘었다. 폐업자 수도 전년 대비 11만1000명 늘어난 91만1000명에 달했다.

금융당국은 지난달 28일 ‘서민·자영업자 지원방안 마련 TF’ 첫 회의를 열고 자영업자 대책 마련에 돌입했다.

당국은 3~4차례 회의를 통해 서민금융 공급, 사업단계별 자영업자 지원, 맞춤형 채무조정안 등을 내놓을 방침이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1509 [속보] 의대교수 “의대정원·배정 대화 안해…오늘부터 사직” 랭크뉴스 2024.03.25
41508 영장심사 후 구치소에서 대기... 인권침해일까요?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랭크뉴스 2024.03.25
41507 트럼프 6천억 원 공탁금 시한 임박‥자산 압류되나? 랭크뉴스 2024.03.25
41506 “올해 코스피 3000 간다”…고점 찍는 시기는 언제? 랭크뉴스 2024.03.25
41505 [속보] 정부 “의료계 대화 환영…전공의 행정처분 유연히” 랭크뉴스 2024.03.25
41504 허경영, 3년새 재산 400억 늘었다…비례후보 중 자산 최다 랭크뉴스 2024.03.25
41503 尹 부정평가 60% 넘겨…정당지지율은 국힘 37.1% vs 민주 42.8%[리얼미터] 랭크뉴스 2024.03.25
41502 내부 협업이 잘돼야 외부 협업도 성공한다[이용수의 경영 전략] 랭크뉴스 2024.03.25
41501 가정통신문에 등장한 '피라미드 게임' 랭크뉴스 2024.03.25
41500 전의교협 “의대정원·배정 대화 안해… 오늘부터 사직” 랭크뉴스 2024.03.25
41499 장동건·고소영 산다는 '최고가' 아파트…보유세 절반 뚝, 왜? 랭크뉴스 2024.03.25
41498 전의교협 "의대 증원 철회 없이 해결 불가…예정대로 오늘 사직" 랭크뉴스 2024.03.25
41497 尹지지율 36.5%…'비례투표' 조국혁신당 27.7%·'與비례정당' 29.8% 랭크뉴스 2024.03.25
41496 배움의 시스템 고장난 한국, 중국의 추격이 두려운 이유[EDITOR's LETTER] 랭크뉴스 2024.03.25
41495 ‘낙동강 벨트’ 양산을, 김두관 47.2%·김태호 40.9%[리서치앤리서치] 랭크뉴스 2024.03.25
41494 IS, ‘모스크바 테러’ 현장 영상 공개…사망자 137명으로 늘어 랭크뉴스 2024.03.25
41493 '이범수 폭로' 이윤진, 이번엔 "10살 아들 소식 아는 분 연락달라" 랭크뉴스 2024.03.25
41492 정부 "의대 정원 확대 개혁 완수"… 의대교수들 사직 강행 랭크뉴스 2024.03.25
41491 장동건·고소영 산다는 가장 비싼 ‘그 아파트’…올 부동산 보유세 절반으로 떨어진 이유 랭크뉴스 2024.03.25
41490 정부 "의료계 대화 환영…의대정원 확대 기반 의료개혁 완수" 랭크뉴스 2024.0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