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서울대병원 ‘17일부터 무기한 휴진’과 연계
“의대 증원 중단해야 정부 잘못 인정해야”
임현택 대한의사협회(의협) 회장이 9일 오후 서울 용산구 의협 회관에서 전국의사대표자대회에서 투쟁을 선포하고 있다. 연합뉴스

대한의사협회(의협)가 오는 18일 하루 동네병원을 운영하는 개원의, 의과대학 교수, 봉직의 등 의료계 각 직역이 참여하는 ‘집단휴진’에 돌입한다고 선포했다. 이미 집단휴진을 결의한 교수와 정부의 의대 정원 증원 발표 직후 사직한 전공의에 더해 개원의까지 집단 행동에 동참해 ‘의사 총파업’에 들어가겠단 취지다.

의협은 9일 서울 용산구 의협회관에서 ‘전국의사대표자대회’를 열어 지난 4∼7일 대정부 투쟁 방안을 두고 회원들이 투표한 결과를 공개했다. 결과를 보면 투표에 참여한 회원 7만800명 중 73.5%(5만2015명)가 ‘6월 중 계획된 휴진을 포함한 단체행동에 참여하겠다’고 답했다. 정부의 의료개혁 정책을 저지하기 위한 의협의 강경한 투쟁에 지지한다고 답한 회원은 90.6%(6만4139명)였다.

의협은 투표 결과를 바탕으로 오는 18일 하루 집단휴진을 실시한다. 집단휴진과 동시에 의대생·학부모 등이 참여하는 총궐기대회를 열 예정이다. 이번 투표엔 올해 1분기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신고된 의사 11만1861명 중 63.3%인 7만800명이 참여했다. 직역별로 보면 의대교수 9645명, 개원의 2만4969명, 봉직의 2만4028명, 전공의 5835명, 기타(공중보건의사·군의관 등) 6323명이다.

의협의 ‘총파업’ 결의는 2000년(의약분업), 2014년(원격진료), 2020년(의대증원)에 이어 네 번째다. 최안나 의협 대변인은 이날 “서울의대에서 무기한 휴진을 결정한 17일 바로 다음날 전국의사 집단휴진을 하는 것이 정부가 입장 변화를 보일 수 있게 하는 가장 최선의 방법”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들은 “전공의에 대한 행정처분 전면 취소”를 요구하며 오는 17일부터 응급실과 중환자실을 제외한 전체 무기한 휴진을 결의했는데, 이에 보조를 맞추겠다는 의미다.

의협의 요구 사항은 ‘2025년도 의대 정원 증원 전면 재검토’다. 내년도 입학정원 발표는 이미 지난달 마무리가 돼 정부가 받아들이기 어려운 조건이다. 최안나 대변인은 “현재 진행되고 있는 2025년도 의대정원 증원절차 중단과 함께 잘못된 정책을 (정부가) 인정하고, 책임있는 사람에 대해 책임을 지게 하고, 전공의들의 행정처분을 취소하는 것 등은 다 같은 이야기”라면서 “잘못된 정책을 일단 인정해야 저희가 더는 단체행동에 나서지 않고 정부와 이 사태를 수습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의협은 2025년도 의대 정원 증원 절차를 중단하면 이후에 다시 단체행동에 대해 논의해 발표하겠단 입장이다. 18일 이후의 집단휴진 여부도 정부의 입장변화를 지켜본 후 결정한단 계획이다.

다만, 실제 개원의의 집단휴진 참여율은 전공의·교수 등에 견줘 낮을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지난 2020년 의협 집단행동 당시에도 개원의 휴진율은 10%를 넘지 못했다. 이번 투표에서도 의협의 강경 투쟁을 지지한단 답변보다 단체행동에 참여하겠단 답변 비율이 17.1%포인트 적었다. 그러나 ‘역대급 투표율’ 등을 고려하면, 문을 닫는 동네병원이 적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 최안나 대변인은 “그동안 투쟁에 대해 회원들에게 참여 의사를 물은 모든 투표 중에서 가장 압도적인 결과”라고 평가했다.

환자단체는 의사단체가 환자들을 외면했다고 비판했다. 김성주 한국중증질환연합회 회장은 이날 입장문을 내 “의협을 비롯한 의사단체는 환자들의 절규를 외면하고 오직 집단이기주의를 위한 힘자랑만 되풀이하다 끝내 국민을 적으로 돌리는 불법 총파업선언을 하기에 이르렀다”고 했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0250 ‘통제 불능’ 최악 사태 막아라‘…AI 안전장치’ 내놓은 네이버 랭크뉴스 2024.06.17
40249 네이버웹툰, 뉴욕증시 상장 후 기업가치 최대 3조7000억 추산 랭크뉴스 2024.06.17
40248 [속보] 러 "푸틴, 김정은과 비공식 대화…민감사안 논의할 것" 랭크뉴스 2024.06.17
40247 전면 휴진 하루 앞두고‥서울경찰청장 "불법 리베이트 의사 1천 명 수사" 랭크뉴스 2024.06.17
40246 대구시, TK신공항 바로 옆에 4조원 ‘소형모듈원전’ 건설 추진 랭크뉴스 2024.06.17
40245 김정숙 여사 수사 착수한 날…"밭일에 진심" 文 올린 사진 4장 랭크뉴스 2024.06.17
40244 '윤 대통령 명예훼손' 구속영장‥"언론 입 막는 정치 수사" 랭크뉴스 2024.06.17
40243 서울대 이어 서울아산도… 7월 4일부터 일주일 휴진 랭크뉴스 2024.06.17
40242 이복현이 꺼내놓은 ‘배임죄 폐지론’, 폐지해야 할까? 랭크뉴스 2024.06.17
40241 서울대병원 휴진 첫날 환자들 분통 “몸 더 나빠질까 걱정” 랭크뉴스 2024.06.17
40240 김정숙 여사 수사 본격화된 날…文 올린 의미심장한 사진 4장 랭크뉴스 2024.06.17
40239 국민의힘 전당대회 돌입‥"어차피 대표는 한동훈" "참패 책임져야" 랭크뉴스 2024.06.17
40238 야6당, 윤 대통령 거부한 ‘노란봉투법’ 더 강화된 버전으로 발의 랭크뉴스 2024.06.17
40237 "구청 직원인데 망하게 해줘?" 갑질 의혹에... 대구 중구청 진상 조사 랭크뉴스 2024.06.17
40236 “중국, 핵탄두 500기 보유 추정…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늘려” 랭크뉴스 2024.06.17
40235 [푸틴 방북] 미리보는 푸틴의 평양 1박2일…카퍼레이드 등 극진대접 예상(종합) 랭크뉴스 2024.06.17
40234 평균 420억 상속하는 955명에게 세금 깎아주자는 대통령실 랭크뉴스 2024.06.17
40233 기자협·언론노조·방송기자聯 “이재명, ‘언론은 檢 애완견’ 망언 사과하라” 랭크뉴스 2024.06.17
40232 "군인이세요?" 케이크 건넨 시민…외박 나온 현역병 울컥한 사연 랭크뉴스 2024.06.17
40231 최 회장 "SK 명예 바로잡겠다"‥재계 2위인데 '자수성가'는 아니다? 랭크뉴스 2024.0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