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둘째 딸인 카타리나 티코노바가 6일(현지시간)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열린 국제경제포럼(SPIEF)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AFP=뉴스1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두 딸이 최근 상트페테르부르크 국제경제포럼(SPIEF)에서 연사로 나섰다. 그간 공식 석상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던 터라 이들의 행보는 이례적인 일로 판단된다.

8일(현지시간) CNN, AFP 통신 등 각종 외신에 따르면 푸틴 대통령의 딸로 알려진 마리아 보론초바(39)와 카테리나 티코노바(37)는 이달 5∼8일 열린 SPIEF에서 잇따라 연설했다.

우선 현재 모스크바 주립 대학에서 인공 지능 이니셔티브를 운영하는 티코노바는 지난 6일 군산복합체의 기술 주권 보장과 관련한 영상 강연을 했다. 그는 국가지적개발재단의 총책임자로, 포럼 연사 목록에 이름을 올렸다.

티코노바는 영상 강연에서 "국가의 주권은 최근 몇 년 새 중요한 논제 중 하나이며 러시아 안보의 기초"라며 기술 주권을 증진하기 위해 국방 부문이 해야 할 일에 대해서도 언급한 것으로 알려졌다.
푸틴 대통령의 큰 딸로 알려진 마리아 보론초바 러시아 과학진흥협회 상임위원장이 7일(현지시간)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열린 상트페테르부르크 국제경제포럼(SPIEF) 세션에 참석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러시아 과학진흥협회 회원인 내분비학자인 보론초바는 소아 내분비학 전문가로 러시아 과학진흥협회를 대표해 지난 7일 생명공학 혁신 등에 대해 연설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푸틴 대통령과 전 부인인 류드밀라 사이에서 태어난 딸들로 알려져 있다. 푸틴 대통령은 1983년 승무원 출신인 류드밀라와 결혼해 두 딸을 낳았지만 2013년 이혼했다. 다만 푸틴 대통령은 지금까지 자신의 딸들이 과학과 교육 분야에서 일하고 있고 손주들이 있다고 말했지만, 딸의 이름을 확인한 적은 없다.

푸틴 대통령의 두 딸이 공식 석상에 모습을 거의 드러내지 않았던 만큼 이번 행보의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두 사람 모두 과거 SPIEF에 참석한 적은 있지만, 그간티코노바만 연설한 이력이 있고, 두 사람 모두 연사로 나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들은 지난 2022년부터 우크라이나 사태로 미국과 영국의 제재 대상에 올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전문가들은 푸틴 대통령의 재산 중 일부가 가족들의 이름으로 숨겨져 있다고 추정하고 있다. 지난 2월 옥중에서 사망한 러시아 야권 지도자 알렉세이 나발니의 반(反)부패 재단은 보론초바가 2019년부터 2022년까지 1000만 달러(약 138억 원)를 벌었다고 밝혔다.

일각에선 최근 건강 악화설에 시달린 푸틴 대통령이 자신의 죽음 이후에도 크렘린 궁 결속을 공고히 하기 위해 두 딸을 공개 석상에 세운 것 아니냐는 평가가 나온다. 영국 데일리메일은 "러시아 엘리트들이 푸틴 이후의 세계를 준비하고 있다는 지표로 여겨지는 움직임"이라며 "푸틴 대통령의 사망 또는 그가 권력을 포기해야 하는 사건이 발생하기 전에 그들(가족)을 보호하기 위해 고안된 족벌주의적 전술"이라고 평가했다. 더타임스는 "푸틴 대통령이 엘리트 구성원들에게 자신들이 보살핌을 받고 있고, 그들의 자녀도 보살핌을 받고 있다는 사실을 확실히 함으로써 이들의 정권 충성을 보장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보도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1417 끝난 줄 알았던 IS, 러시아에 잔인한 복수극 벌인 이유는 랭크뉴스 2024.03.25
41416 이주호 "의대증원 계기로 세계 최고수준 의학교육 만들 것" 랭크뉴스 2024.03.25
41415 1등 삼성 아니었어?…로봇청소기·가전·폴더블폰 점령한 중국[하이엔드 중국의 습격②] 랭크뉴스 2024.03.25
41414 중대본 “전공의에 대한 유연한 처분 당과 협의”…이르면 오늘부터 교수 사직 시작 랭크뉴스 2024.03.25
41413 “전공의 없는데, 교수 떠나면 진짜 의료 대란…병원 나간다고 국민 이기는 것 아냐” 랭크뉴스 2024.03.25
41412 지구 2500바퀴 돌았다… 아시아나 ‘보잉 747’ 여객기 마지막 비행 랭크뉴스 2024.03.25
41411 '무더기 사직' 시작되나 고대의대 교수들 사직서 제출 랭크뉴스 2024.03.25
41410 112 전화해 "대통령 죽이겠다"‥60대 남성 징역 2개월 랭크뉴스 2024.03.25
41409 전공의 공백 메우던 부산대병원 안과 의사, 자택서 돌연사 랭크뉴스 2024.03.25
41408 에코프로, 인니 니켈 제련소에 1100만달러 투자… 지분 9% 취득 랭크뉴스 2024.03.25
41407 경찰, '전공의 블랙리스트' 메디스태프 대표 소환 조사 랭크뉴스 2024.03.25
41406 20대 그룹, 임원-직원 간 평균 연봉 격차 11배 랭크뉴스 2024.03.25
41405 "'주차 뺑소니' 꼼짝 마"‥이젠 AI로 잡는다 랭크뉴스 2024.03.25
41404 산업부 “韓·루마니아 원전·방산 협력 강화 논의” 랭크뉴스 2024.03.25
41403 [단독] '셀프 성과급'에 교직원 기사로 부린 휘문 이사장... 교육청 경고 받았다 랭크뉴스 2024.03.25
41402 의대교수단체 “사직서 예정대로…증원 철회 없인 해결없다” 랭크뉴스 2024.03.25
41401 [속보] 尹 “용인·수원·고양·창원 ‘특례시 지원 특별법’ 제정... 고층 건물 건축허가 등 市 권한 확대” 랭크뉴스 2024.03.25
41400 [속보] 윤 대통령 “특례시지원특별법 제정…각종 인허가 권한 특례시로 이양” 랭크뉴스 2024.03.25
41399 반발짝 물러선 봄…오늘 전국에 비, 강원도 최대 15㎝ 폭설 랭크뉴스 2024.03.25
41398 “아픈 환자 버려두고 병원 나서는 순간…” 사직 반대 교수의 글 랭크뉴스 2024.0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