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가수 김호중. 오른쪽 사진은 김호중 공식 팬카페 기부 내역. 뉴시스. 온라인 커뮤니티 캡처

음주 뺑소니 혐의로 구속 송치된 가수 김호중(33)씨의 일부 팬들이 그동안 김씨의 선한 영향력 덕에 100억원을 기부했다며 선처를 호소했으나 그중 75억원 상당이 기부한 앨범을 환산한 금액이었던 것으로 알려져 뭇매를 맞으면서 가수 팬들의 ‘앨범 기부’가 도마 위에 올랐다.

8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부산의 한 장애인 단체 관계자는 최근 앨범 기부 현황에 대해 “가수 김호중씨 앨범이 많이 들어왔는데 음주 뺑소니 사건 이후에는 달라는 분이 없으니 다 남아 있다”며 “우리가 함부로 처분할 수는 없어 난처하다”고 말했다.

팬들 사이에서는 응원하는 가수의 앨범을 여러 장씩 산 뒤 이를 복지기관 등에 기부하는 ‘앨범 기부’ 문화가 있다. 예컨대 김씨 팬덤의 경우 공식 팬카페 기부 내역을 보면 2020년 4월부터 지난해 12월 21일까지 약 97억원을 기부했는데 그중 김씨 정규 2집 앨범 ‘파노라마’ 53만8427장 구매액이 75억원 상당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음주 뺑소니 혐의를 받는 가수 김호중이 지난달 24일 오후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을 마친 뒤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법에서 나와 호송차로 향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 같은 ‘앨범 기부’를 두고 일각에서는 좋아하는 가수의 음반 발매 첫 주 판매량(초동) 기록을 올리기 위해서 또는 팬 사인회 등 행사 참석 확률을 높이거나 앨범 속 다양한 포토카드를 모으기 위한 목적으로 앨범을 다량 구매하고 이를 다른 기관에 보내는 것을 ‘기부’라는 이름으로 포장하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실제로 SNS나 온라인 팬 커뮤니티 등에는 특정 가수의 앨범 기부를 위한 공동구매를 안내하거나 이에 동참했다고 인증하는 게시물이 적지 않다. 과거 너무 많은 양의 앨범을 무작정 기관에 떠넘기는 문제가 제기되기도 했던 만큼 최근에는 팬들이 기관의 수요를 미리 파악하고 필요한 만큼만 모아 전달하는 분위기도 있다.

대구의 한 복지관이 최근 기부받은 가수 이찬원씨 앨범은 순식간에 동났다고 한다. 이 복지관 관계자는 “마니아들의 경우에는 CD를 좋아하셔서 기부된 앨범을 달라고 요청하는 등 긍정적인 부분도 있다”며 “사전에 수량을 조율해서 받기도 하고 팬들의 의식 수준도 높아져서 쓸데없는 양을 보내는 경우는 드물다”고 전했다.

하지만 여전히 일방적인 기부에 ‘처치 곤란’을 호소하는 곳들도 있다. 한 서울의 한 아동지원 재단 관계자는 “한동안 앨범 기부가 많이 들어왔는데 아이들도 호불호가 있어 남은 앨범은 처분이 잘 안 되는 경우가 있었다”며 “기부받은 앨범을 다시 팔 수도 없고 창고에 쌓여서 최근 몇 백 장을 싹 폐기해야 했다”고 토로했다.

버려지는 앨범들. 엑스(X·옛 트위터) 캡처, 연합뉴스

필요 이상의 앨범을 구매하는 행위는 환경에 해를 끼친다는 비판도 나온다. 지난해 환경부 자료에 따르면 국내 기획사가 앨범 제작에 사용한 플라스틱은 2017년 55.8t에서 급증해 2022년 801.5t으로 집계됐다. 5년 만에 14배 이상 폭증한 것이다. 이 플라스틱은 폐기물 부담금 부과 대상이다.

음반 판매량 집계 사이트 써클차트에 따르면 지난해 톱400 기준 1~12월 앨범 누적 판매량은 약 1억2000만장으로 전년(약 8000만장)보다 약 50% 늘었다.

K팝 팬들로 구성된 기후환경단체 ‘케이팝포플래닛’ 관계자는 “앨범 기부가 앨범이 출고된 뒤 바로 버려지는 것은 막을 수 있을지 몰라도 근본적 해결책이 될 수는 없다”면서 “버리는 시기를 늦추고 주체가 바뀔 뿐 그 많은 플라스틱 앨범이 원래 용도대로 쓰이는 것이 아니기에 기부 옵션은 마치 ‘폭탄 돌리기’를 보는 것과 같다. 기획사가 중복 구매를 조장하는 상술을 중단하는 것만이 기형적이고 환경 파괴적 문화를 뿌리 뽑을 수 있는 방법”이라고 강조했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1284 귀 붕대 감고 휠체어 신세…법정 선 모스크바 테러범 '만신창이' 랭크뉴스 2024.03.25
41283 한동훈 "세 자녀 이상 대학등록금 면제"…이재명 "정신 차린 듯" 랭크뉴스 2024.03.25
41282 법정 선 모스크바 테러범, 고문에 '만신창이'...10대도 있다 랭크뉴스 2024.03.25
41281 “심판하자” “3년은 길다”···총선 메인 슬로건에 담긴 각 당 전략 랭크뉴스 2024.03.25
41280 20분 사투 끝에 잡은 '괴물'…제주서 1m 초대형 광어 낚았다 랭크뉴스 2024.03.25
41279 [MBC여론조사] 서초을 신동욱 50%·홍익표 37%‥종로 곽상언 47%·최재형 38% 랭크뉴스 2024.03.25
41278 "군인은 3000원 더 내라" 논란의 무한리필집, 결국 문닫았다 랭크뉴스 2024.03.25
41277 ‘뽀뽀하고 엉덩이 툭’… 직원 성추행 양산시의원 결국 사퇴 랭크뉴스 2024.03.25
41276 김여정 “일본 수상이 ‘만나자’ 또 전해와”…북-일 수싸움 랭크뉴스 2024.03.25
41275 의협 회장 후보들 "2천명 증원 안 돼"…"정부와 대화 필요없다" 랭크뉴스 2024.03.25
41274 낙동강 벨트 간 이재명 “경남 산업 쇠퇴하고 청년 빠져나가···못 살겠다 심판하자” 랭크뉴스 2024.03.25
41273 이마트, 창립이래 첫 전사적 희망퇴직 받는다 랭크뉴스 2024.03.25
41272 [속보]한미그룹, 임종윤·종훈 한미약품 사장 전격 해임 랭크뉴스 2024.03.25
41271 辭表(사표)낸 교수들, 死表 받아든 환자들 랭크뉴스 2024.03.25
41270 노동부 "동료 전공의 복귀 방해는 직장내 괴롭힘…엄정 조치" 랭크뉴스 2024.03.25
41269 이마트, 근속 15년 이상 전사적 희망퇴직…"경쟁력 확보"(종합) 랭크뉴스 2024.03.25
41268 미 연구소 “한국, 에너지 안보 취약”…경고 이유는? 랭크뉴스 2024.03.25
41267 실적 꺾인 ‘1위’ 이마트, 창사 이래 첫 희망퇴직 받는다 랭크뉴스 2024.03.25
41266 서울 소재 여고 칼부림 예고 글 또 올라와…작성자 특정 중 랭크뉴스 2024.03.25
41265 '고압산소치료' 받던 환자 숨지고, 간호사는 중태…무슨 일 랭크뉴스 2024.0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