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정부 "심각한 우려"···총리, 9일 담화문 발표
환자단체 "생명권 박탈···교수 즉각 해직해야"
의협 강경투쟁 찬반투표는 투표율 절반 넘어
서울의대 교수들이 17일부터 무기한 집단 휴진을 결의한 가운데 7일 서울대병원에서 한 의료 관계자가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경제]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 비상대책위원회가 이달 17일부터 무기한 집단 휴진을 결의한 가운데 서울대병원장이 “허가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개원의 단체인 대한의사협회는 대정부 강경 투쟁 찬반 투표 결과를 9일 전국의사대표자대회에서 발표하고 집단행동 시기를 조율할 방침이다.

2025학년도 의대 정원 증원이 마무리되고 전공의에 대한 사직서 수리 및 행정명령 철회를 발표했던 정부는 의료계의 집단행동이 다시 본격화될 조짐을 보이자 9일 한덕수 총리 주재로 회의를 열고 대국민 담화문을 발표할 예정이다.

김영태 서울대병원장은 7일 서울대병원 전체 교수들에게 보낸 e메일에서 “무기한 진료를 중단하겠다는 결정에 대해 다시 한번 깊이 생각해주기를 부탁한다”며 “이번 결정이 심각하고 중대한 문제에서 비롯된 것임을 충분히 이해하지만 그럼에도 환자 진료가 중단되지 않기를 간곡히 요청한다”고 당부했다. 김 병원장은 “특히 중증 환자와 암 환자 등 심각한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들이 대다수인 우리 병원의 진료 중단은 환자들에게 치명적일 수 있다”며 “국민들의 신뢰를 바탕으로 서울대병원이 이뤄낸 성과를 한순간에 무너뜨리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그는 이어 “서울대병원장으로서 비대위의 결정을 존중해왔지만 이번 결정은 동의하기 어렵고 집단 휴진은 허가하지 않겠다”며 “휴진을 통한 투쟁보다는 대화를 통한 중재자의 역할을 해주실 것을 부탁한다. 이러한 형태의 투쟁은 국민과 의료계와의 반목을 심화시키고 우리가 원하는 진정한 의료에서 멀어지게 되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부도 이날 의사 집단행동 중앙사고수습본부 회의를 열고 입장문에서 “국민과 환자의 고통이 커지는 상황에서 깊은 유감과 심각한 우려를 표한다”며 “교수들이 환자의 곁을 지켜줄 것이라 생각하고 복귀를 희망하는 전공의가 돌아올 수 있도록 힘을 함께 모아주기 바란다”고 밝혔다. 한국중증질환연합회도 입장문에서 “환자 생명권을 박탈하는 비인도적 결정”이라며 “의료 현장을 떠난 의대 교수들을 즉각 해직하고 양심적인 의사들로 새롭게 교수진을 꾸려야 한다”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하지만 이 같은 우려와는 별개로 의료계의 강경 투쟁은 카운트다운에 들어갔다. 의협은 4일부터 이날 자정까지 회원 12만 9200명을 대상으로 대정부 강경 투쟁 찬반 투표를 진행한 가운데 이날 정오 기준 투표율이 50%를 넘어섰다. 올 3월 임현택 회장이 당선될 당시 투표율이 33% 선이었음을 고려하면 이례적으로 높은 수준이다. 투표에 참여한 의사들 대부분이 강경 투쟁에 찬성한 것으로 파악된다.

서울대 이외 다른 의대 교수들도 집단행동에 참여할지 관심이다. 전국 20개 의대 소속 교수들이 참여한 전국의과대학교수비상대책위원회는 의협 투표 결과에 따라 전체 휴진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채동영 의협 홍보이사는 “개원가에서는 ‘날짜만 달라’는 분들도 많고 어떻게든 선배들이 도와줘야 한다고 생각들을 하고 계신다. 각 대학도 분위기가 심상치 않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0149 유산취득세 도입하는 상속세제 ‘대개편’… 과표구간·세율·공제 등 ‘디테일’ 남아 랭크뉴스 2024.06.17
40148 의사들 '집단휴진' 강행…정부는 '집단행동 금지 교사명령' 강공(종합) 랭크뉴스 2024.06.17
40147 국민의힘 7월23일 당대표 뽑는다···윤곽 갖춰가는 전당대회 대진표 랭크뉴스 2024.06.17
40146 ‘을과 을의 싸움’ 아니다···배민에 맞서 손잡은 자영업자·라이더들 랭크뉴스 2024.06.17
40145 의협, 집단휴진 전날 "밥그릇 지키기 아냐… 의료체계 붕괴 막으려는 몸부림" 랭크뉴스 2024.06.17
40144 도끼 휘두르고, 팬들 유혈 충돌… '유로2024 개최' 독일, 사건사고 '몸살' 랭크뉴스 2024.06.17
40143 "이화영이 바보냐" 또 직접 등판한 이재명, '사법리스크' 분리 전략 흐트러지나 랭크뉴스 2024.06.17
40142 기자협회·언론노조 “이재명·양문석, 언론인 상대 망언 사과하라” 랭크뉴스 2024.06.17
40141 국민의힘 23일 당대표 뽑는다···윤곽 갖춰가는 전당대회 대진표 랭크뉴스 2024.06.17
40140 엘베 천장서 '낼름'‥"으악! 진짜 미쳐" 아파트 발칵 랭크뉴스 2024.06.17
40139 “인생 사진에 목숨 걸지 마세요” 제주해경의 호소 랭크뉴스 2024.06.17
40138 상속세 개편 두고 대통령실·기재부 엇박자?…최상목 “필요성은 공감, 검토는 필요” 랭크뉴스 2024.06.17
40137 "인내의 한계" 김정숙 고소에, 배현진 "애닳긴 하나보다" 랭크뉴스 2024.06.17
40136 韓남성 결혼 힘든 이유 있었다…"특히 지방이 위험" 무슨일 랭크뉴스 2024.06.17
40135 한·중 차관급 외교안보대화 내일 개최…북·러 정상회담과 같은 날 랭크뉴스 2024.06.17
40134 푸틴 이르면 18일 ‘24년 만에 방북’…무기협력 넘어 전략적 파트너십 가나 랭크뉴스 2024.06.17
40133 갑자기 등장한 최태원 회장, 고개 숙였지만 ‘일부일처제’는? [이런뉴스] 랭크뉴스 2024.06.17
40132 투숙객 성폭행 혐의로 체포된 호텔 직원…검찰이 석방? 랭크뉴스 2024.06.17
40131 "'140억 배럴' 브리핑은 윤 대통령이 매장 가능성 듣고 직접 결정" 랭크뉴스 2024.06.17
40130 푸틴 이르면 내일 ‘24년 만에 방북’…무기협력 넘어 전략적 파트너십 가나 랭크뉴스 2024.0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