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내달 ‘임대차 2법’ 시행 4년…고공행진 전셋값에 악영향 촉각


계약갱신청구권 첫 사용자 ‘2+2년’ 만기, 연말까지 3만건 육박

“한꺼번에 올릴 가능성 희박”…공급 부족 탓 상승세는 계속될 듯


다음달 ‘임대차 2법’ 시행 4주년을 앞두고 고공행진 중인 서울 아파트 전셋값이 또 한 번 크게 오를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법 시행 이후 계약갱신청구권을 처음 사용한 ‘2+2년 매물’들의 만기가 다가오고, 그동안 전월세상한제에 묶여 전셋값을 5% 넘게 올리지 못했던 집주인들이 신규계약으로 이를 만회하려 할 것이라는 논리다.

전문가들은 전셋값 상승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고 보면서도, 전셋값 상승에 대한 임대차 2법의 영향력은 과대평가됐다고 말했다. 2+2년 매물의 만기가 한 번에 돌아오지도 않거니와, 역전세 위험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은 상황에서 터무니없이 높은 가격을 부를 집주인은 많지 않을 것이라는 반론이다.

5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계약갱신청구권을 한 차례 행사해 다음달 만기가 도래하는 ‘2+2년’ 서울 아파트 전월세 계약은 4781건이다. 다음달 갱신과 신규를 합쳐 계약서를 새로 써야 하는 서울 아파트 전월세 계약(2만2002건)의 20%를 넘어선다. 올해 말까지 만기가 돌아오는 2+2년 매물은 총 2만2989건에 달한다. 전세 시장에 파급력을 미칠 수 있는 충분히 많은 물량이다.

일각에서는 전세 시장 불안을 심화시킬 요인으로 임대차 2법을 지목하고 나섰다. 지난달 30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주간 아파트 가격동향조사’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일주일 전보다 0.10% 상승하며 54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2022년 급락했던 전셋값은 지난해 5월부터 다시 오르고 있다. 전세사기·역전세를 피하려는 비아파트 전세 수요가 소형 아파트로 몰린 데다, 고금리 장기화·신축 아파트 공급 부족으로 매매 대신 전세로 눌러앉는 사람들이 늘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전세 수요에 비해 공급이 부족한 ‘수급 불균형’은 당분간 계속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부동산 빅데이터 업체 아실에 따르면 5일 기준 서울 아파트 전세매물은 2만8663건으로 1년 전(3만5709건)보다 19.3% 줄었다. 김지연 부동산R114 연구원은 “특히 서울은 신축 아파트 공급이 부족한 상황이라 전셋값 상승 기조가 당분간 계속 이어질 것”이라며 “임대차 2법도 일부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임대차 2법의 영향력 자체는 과장됐다는 게 대체적 평가다. 세입자들의 전세계약 만료 시점이 모두 동일한 것이 아닌 만큼 2+2년 매물의 가격이 특정 시점에 한꺼번에 올라갈 가능성은 희박하다는 것이다.

박원갑 KB국민은행 수석전문위원은 “집주인도 신규 세입자에게 터무니없는 가격을 요구하면 그만큼 공실 위험을 감당해야 한다”고 말했다.

강남 아파트를 중심으로 전셋값이 수억원씩 뛰었다는 보도가 나오지만, 이는 일부 사례일 뿐 서울 전체적으로는 역전세 위험도 아직 해소되지 않았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 4월 기준 서울 아파트 중위 전세가격은 4억6500만원이었다. 임대차 2법이 시행된 2020년 7월(4억3518만원)보다 6.85% 오르는 데 그쳤고, 계약갱신청구권을 사용할 때인 2022년 7월(5억5550만원)보다는 오히려 16.3% 떨어졌다.

임재만 세종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임대차 2법의 영향력을 정확히 파악하려면 전셋값이 지난달이 아니라 2년 전보다 얼마나 달라졌는지를 봐야 한다”면서 “2년 전은 전셋값이 지금보다 높은 수준이었기 때문에 지금도 서울 일부 지역에서는 역전세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38847 서울 낮 33도 등 더위 이어져…주말 비 소식 랭크뉴스 2024.06.14
38846 '모자이크' 벗어난 대대장 "죽는 날까지‥" 직진 예고 랭크뉴스 2024.06.14
38845 “규정 어긋난 얼차려, 병사가 거부할 수 있어야”…국민청원 5만명 넘어 랭크뉴스 2024.06.14
38844 '휴진 불참' 아동병원 향해 맹비난‥"당신도 소아과의 아니냐" 발칵 랭크뉴스 2024.06.14
38843 윤 대통령 직접 나서도…‘동해 석유’ 10명 중 6명은 안 믿는다 [갤럽] 랭크뉴스 2024.06.14
38842 '이별 통보' 사실혼 배우자 살해한 피고인, 징역 10년 확정 랭크뉴스 2024.06.14
38841 아, 부럽다···땅부자에 세금도 내는 ‘600살 석송령’[주말N] 랭크뉴스 2024.06.14
38840 민주 “김건희 여사 성형 보도한 카자흐 언론…대통령 부부 무시” 랭크뉴스 2024.06.14
38839 보건의료노조 “명분 없는 집단휴진 철회하라…진료 변경 업무 거부” 랭크뉴스 2024.06.14
38838 [무너지는 제주 부동산] ②관광객 몰리던 연동 곳곳에 ‘임대문의’… 중국인이 찾는 뼈해장국집만 늘어 랭크뉴스 2024.06.14
38837 3대장 코인이었는데 투자자 외면?… 올해 35% 급락한 리플 랭크뉴스 2024.06.14
38836 연말 귀국 예고하며 떠난 김경수 "정치가 국민들에게 희망 줘야" 랭크뉴스 2024.06.14
38835 385만원에 팔리는 디올 가방, 원가 ‘8만원’이었다 랭크뉴스 2024.06.14
38834 [단독] 메신저로 개인정보 보내지 말라더니…카톡으로 “신분증 보내달라”는 경찰, 왜? 랭크뉴스 2024.06.14
38833 10년새 반토막 난 10대 헌혈자…적십자사 "저출생 영향" 랭크뉴스 2024.06.14
38832 "망치로 폰 부수고 멱살 협박"‥'마약' 오재원, 폭행도 공방 랭크뉴스 2024.06.14
38831 “‘물다이어트’, 물중독 사망할 수도”… 보건당국 경고 랭크뉴스 2024.06.14
38830 '얼차려 사망' 중대장·부중대장 피의자 신분 첫 소환조사 랭크뉴스 2024.06.14
38829 이재명 "쌀·한웃값 폭락하면 안보 위기…즉각 안정 조치해야" 랭크뉴스 2024.06.14
38828 ‘김여사 명품가방 의혹’ 폭로 기자 “디올백 돌려달라” 랭크뉴스 2024.0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