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문재인 전 대통령이 김정숙 여사의 인도 방문에 대해 "청와대는 해외순방 경비의 편성이나 집행에 관여하지 않았다"며 논란에 대해 첫 입장을 밝혔습니다.

문 전 대통령은 오늘(5일) 오후 자신의 페이스북에 "최근의 논란에 대해 국정을 안다면 있을 수 없는 치졸한 시비여서 그러다 말겠거니 했다. 하지만 점입가경으로 논란이 커지는 것을 보면서 가만히 있을 수가 없어서 몇 가지 기본적인 사실을 밝힌다"며 글을 올렸습니다.

■ "해외순방 경비, 소관 부처에서 편성·집행…청와대는 일체 관여 안 해"

문 전 대통령은 먼저 "대통령 부부의 해외순방 경비는 소관 부처에서 예산을 편성하고 집행하며, 청와대는 예산의 편성이나 집행에 일체 관여하지 않는다"고 밝혔습니다.

"예산이나 경비에 의문이 있다면 소관 부처에 물어볼 일"이라며 "당시 소관 부처는 행사의 성격에 따라 문체부로 결정됐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논란이 된 기내식 비용에 대해선 "해외순방 시 전용기 기내식은 일반 여객기와 마찬가지로 세트로 제공된다"며 "그러니 제공되는 세트 음식 외에 더 고급의 음식을 주문할 수도, 먹을 수도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초호화 기내식이란 원천적으로 불가능한 일"이라며 "순방에 소요된 기내식 총경비가 많아 보인다면 그 연유 역시 소관 부처나 기내식을 제공한 대한항공 측에 물어볼 일"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수행기자들도 수행원들과 같은 기내식을 제공받으니 전용기 기내식의 시스템을 잘 알 것"이라며 "'한식 세트냐 양식 세트냐', '밥이냐 빵이냐' 정도의 선택의 여지 밖에 없이 제공되는 기내식을 먹었을 뿐인 사람에게 기내식 총경비가 많아 보이니 '너 초호화 기내식 먹었지?'라며 들이대는 것은 도대체 무슨 경우이냐"고 했습니다.

■ "해외순방 기내식 비용, 일반 항공기 기내식 비용과 다를 수밖에 없어"

문 전 대통령은 "참고로 해외순방의 전용기 기내식 비용은 일반 항공기의 기내식 비용과 다를 수 밖에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같은 구성의 기내식을 반복적으로 다량 준비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구성의 기내식을 일회적으로 준비하는 것이어서 인건비 등 추가비용이 발생하고, 서울공항에서 출발하기 때문에 인원수와 무관하게 기내식 운반과 탑재 등에 소요되는 고정비용이 증가하기 때문일 것"이라고 부연했습니다.

문 전 대통령은 "따라서 기내식 총경비가 통상보다 많았는지 여부는 현 정부의 순방 비용과 비교하면 알 수 있는 일"이라고 지적했습니다.

■ "아내, 인도 순방 원한 것 아니야…'버킷리스트 관광' 모욕, 부끄럽지 않은가"

문 전 대통령은 김정숙 여사가 인도 순방을 원해서 간 게 아니라고 강조했습니다.

"세상에 어느 아내가 외교나 외국인을 만나는 일에 익숙하지도 않은 터에 멀고 먼 낯선 나라, 낯선 지역의 낯선 행사에 주빈으로 참석해 군중 앞에서 축사까지 해야 하는 일정을 대통령인 남편 없이 혼자서 수행하고 싶겠냐"며 "생전 처음 해보는 일인데"라고 덧붙였습니다.

문 전 대통령은 "인도 측의 요청에도 불구하고 내가 갈 형편이 안 되어 일단 문체부 장관이 방문단을 이끌고 가는 것으로 결정해두었지만, 인도 측에서 지속적으로 나의 방문을 희망하니 한-인도 관계의 발전을 위해 아내라도 대신 가는 것이 좋겠다는 외교 당국의 거듭된 건의에 따라 인도 측과 협의한 후, 나를 비롯한 여러 사람이 아내를 설득하여 등 떠밀 듯이 가게 한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문 전 대통령은 "아내의 순방을 건의했던 부처와 아내와 함께 갔던 부처가 멀쩡하게 있는데도 이제 와서 아내에게 '초호화 기내식'이니, '버킷리스트 관광'이니 라며 모욕하는 것은 도대체 무슨 경우인가. 부끄럽지 않은가"라고 비판했습니다.

이어 "양국 관계 발전을 위해 성의를 다했던 인도 측은 또 어떻게 생각하겠냐. 참 민망하고 한심한 일"이라고 밝혔습니다.

문 전 대통령은 자신이 보고받은 아내의 일정이라며 다음과 같이 김 여사의 인도 일정을 올렸습니다.

o 11월 4일(일)
- 09:00~18:10 서울 공항에서 델리 공항 이동 (하노이 경유)

o 11월 5일(월)
- 10:30~11:00 인도 외교장관 접견
- 11:30~12:25 인도 스타트업 시연 현장 방문
- 12:30 인도 대통령 영부인 주최 오찬 참석
- 14:00 모디 총리 예방 및 환담
- 16:30~17:45 델리공항에서 러크나우 공항 이동
- 20:00 인도 UP주 총리 주최 만찬 및 환담

o 11월 6일(화)
- 09:45~10:00 치칸 자수법 시연 참관
- 10:00~12:00 아요디아로 이동
- 15:00~16:00 허황후 기념공원 착공식 참석 (축사는 문체부 장관)
- 16:30~17:30 디왈리 축제 개막식 참석 및 축사
- 18:00~19:00 디왈리 축제 점등행사 참석
- 19:00~21:00 러크나우로 이동

o 11월 7일(수)
- 09:00~10:00 러크나우 공항에서 아그라 공항 이동
- 10:30~11:30 타지마할 관람
- 11:50 아그라 공항 출발 (하노이 경유)

o 11월 8일(목)
- 01:40 서울공항 도착

한편 국민의힘은 김정숙 여사의 인도 방문에 관한 각종 의혹을 제기하며 공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배현진 국민의힘 의원은 김 여사가 인도 방문 당시 6,292만 원을 기내식 비용으로 사용했다고 밝혔고, 이후 윤상현 의원은 김 여사의 각종 비위 의혹을 수사해야 한다며 특검법을 발의했습니다.

김석기 의원은 오늘 기자회견을 열고, 김정숙 여사가 문 전 대통령과 2018년 7월 인도 방문 당시 인도 측에서 선물받아 착용한 블라우스를 현재 대통령기록관에서 보관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며 "대통령기록물을 무단으로 반출했다"고 주장하기도 했습니다.

더불어민주당은 여당의 이 같은 공세가 '김건희 여사 특검법'에 대한 '물타기용' 이라는 입장입니다.

문재인 정부 청와대 국정상황실장을 지낸 윤건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김 여사는 대통령 배우자의 정상 외교 활동과 관련해 근거 없는 악의적 공세를 하고 있는 관련자들을 정식으로 고소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3984 [속보] 정부 “의사 무제한 자유 허용될 수 없다” 랭크뉴스 2024.06.16
3983 배우 견미리 남편 ‘주가조작 혐의’ 무죄서 유죄로 뒤집혔다 랭크뉴스 2024.06.16
3982 영국 왕세자빈, ‘암 투병’ 사실 밝힌 후 대중 앞 첫 외출 랭크뉴스 2024.06.16
3981 "의료기관 10곳 중 6곳 '대리처방'…의사 부족해 불법의료 여전" 랭크뉴스 2024.06.16
3980 "조합장 성과급 10억" 결정에…래미안 원베일리 조합원 반발 확산 랭크뉴스 2024.06.16
3979 대통령실 "종부세, 초고가 1주택자 등에게 부과…상속세 30%까지 인하해야" 랭크뉴스 2024.06.16
3978 '대왕고래' 가스전 개발 본격화…시추 착수비 120억원 우선 확보(종합) 랭크뉴스 2024.06.16
3977 서울 아파트 상반기 거래량 3년 만에 최다… 실거래가도 고점 88% 회복 랭크뉴스 2024.06.16
3976 정부 “의사에게 혜택 보장… 무제한 자유 허용 안돼” 랭크뉴스 2024.06.16
3975 서울시 정책·사업에 ‘인구영향평가’ 도입…고령화·저출생 대응 랭크뉴스 2024.06.16
3974 유명폭포 사진 찍다가 날벼락…낙석 맞은女 그자리서 숨졌다 랭크뉴스 2024.06.16
3973 대통령실 "종부세, 사실상 전면폐지가 바람직‥상속세율도 낮춰야" 랭크뉴스 2024.06.16
3972 대통령실 “종부세 사실상 전면 폐지 必… 상속세도 낮춰야” 랭크뉴스 2024.06.16
3971 뭘 먹었길래…푸바오, 공개 사흘 만에 관람 일시 중단했다 재개 랭크뉴스 2024.06.16
3970 대기업 절반 이상 “ESG 공시 의무 2028년 이후가 적정” 랭크뉴스 2024.06.16
3969 1년에 100억 개 팔았다…일본 ‘100엔 숍’의 질주[글로벌 현장] 랭크뉴스 2024.06.16
3968 반도체, 디스플레이 호조에···두달 연속 ICT 수출 30%대 증가 랭크뉴스 2024.06.16
3967 오픈채팅방 주식 추천 사기 기승…금감원, 소비자경보 ‘주의’ 발령 랭크뉴스 2024.06.16
3966 서울의대비대위 "서울대교수 529명 휴진 참여…90.3% 휴진 지지" 랭크뉴스 2024.06.16
3965 서울대병원 내일(17일)부터 무기한 휴진…다음 주 의료계 휴진 본격화 랭크뉴스 2024.06.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