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육군 훈련병 사망 사건 진상규명 촉구
4일 오전 서울 용산구 국방부 앞에서 군인권센터와 현역 장병 부모들로 구성된 ‘아프지 말고 다치지 말고 무사귀환 부모연대’가 육군 12사단 훈련병 가혹행위 사망 사건을 규탄하고 진상규명을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고나린 기자

“제발 지켜주세요. 내 자식이라 생각하고 돌봐주세요. 꽃같이 예쁜 청춘을 피우지 못하게 만들고 왜 가족들을 평생 어둠 속에서 살도록 했는지 알고 싶습니다. 가해자는 떳떳하게 살고 왜 피해자는 여기저기 도와달라고 항의하고 부탁하는 삶을 살아야 하는지 부모들은 정말 알고 싶을 뿐입니다. ”(현역 장병 어머니 ㄱ씨)

지난달 25일 발생한 육군 훈련병 사망과 관련해 현역 장병 부모들이 국방부에 철저한 진상규명을 요구하고 나섰다. 군 규정을 어긴 군기훈련(얼차려)이 벌어진 정황, 건강 이상 징후를 보고받은 현장 간부가 이를 무시한 정황 등이 드러난 가운데, 진상을 밝히는 데 있어 과거 수차례 발생했던 군대 내 사망 사고의 은폐·축소가 반복돼선 안된다는 취지다.

4일 오전 군인권센터와 ‘아프지 말고 다치지 말고 무사귀환 부모연대(무사귀환 부모연대)’는 서울 용산구 국방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무사귀환 부모연대는 현역 장병 부모 200여 명이 온라인에서 자발적으로 모여 만든 단체다. 이날 참석한 현역 장병 부모 50여명은 검은 옷을 입고 국방부를 향해 ‘반복되는 사망사건 국방부를 규탄한다’, ‘은폐축소 어림없다 진상규명 착수하라’고 구호를 외쳤다. ‘꺼지지 않는 촛불로 동참한다’며 촛불이 그려진 손팻말을 든 이들도 있었다.

2022년 육군 12사단에서 집단 괴롭힘을 당하다 스스로 목숨을 끊은 김상현 이병의 유가족도 기자회견에 참석했다. 아버지 김기철씨는 “우리 상현이를 죽음으로 내몰았던 12사단에서 아들 1명이 또 가혹한 얼차려를 받다가 사망했다는 소식을 듣고 가만히 있을 수 없어 나왔다”면서 “일 터질 때마다 (군에서) 매뉴얼 만들고 조사하고 교육하고 맨날 똑같다. 사건 터질 때마다 진실을 제대로 밝히지 않고 넘어가니까 사람 목숨 귀한 줄 모르는 걸 당연하게 여기는 것이다. 있는 그대로 수사해서 아이들 좀 그만 죽여달라”고 말했다.

익명을 요구한 현역 장병 어머니 ㄱ씨는 “이런 일이 있을 때마다 사건을 은폐하고 축소하고 조작하는 국방부를 어떻게 믿겠나. 왜 지금도 부대에서는 아프면 남들에게 피해 준다고 생각해야 하고, 선임들이 봤던 피해를 고스란히 되받아야 하고, 이런 일을 얘기하면서 피해자가 힘들어해야 하는지, 군은 왜 관리를 못 하고 있는지 알고 싶다”고 말하며 흐느꼈다. 사망한 훈련병 동기의 아버지라는 ㄴ씨는 군인권센터에 보낸 편지에서 “아이를 키워 군대에 보냈더니 고문 같은 가혹 행위에 동지가 죽은 고통의 기억을 평생 안고 살게 됐다”며 “이런 사회에서 살게 해서 미안하다는 말밖에 할 수 없다”고 전했다.

임태훈 군인권센터 소장은 “사망한 훈련병은 ‘완전군장 선착순 뺑뺑이 훈련’을 받았다. 최대한 전력 질주해서 먼저 들어온 사람을 제외하고 또다시 뛰게 하고, 다시 뛰게 하는 굉장히 나쁜 전근대적인 가혹 행위”라며 “군기훈련 규정에 없는 훈련을 사적으로 시키는 것은 명백한 가혹 행위, 즉 고문이다”라고 말했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35702 일본 사도광산 심사서 ‘보류’…“다음 달 등재될 수도” 랭크뉴스 2024.06.07
35701 "김건희 여사가 덫에 걸렸다"는 여권... 대법원 "그렇게 받아도 위법" 랭크뉴스 2024.06.07
35700 라인야후 사태에도 한국 스타트업 빠르게 품는 일본, 왜? 랭크뉴스 2024.06.07
35699 총장 선거 앞둔 숙명여대…다시 소환된 ‘표절 의혹 김건희 논문’ 랭크뉴스 2024.06.07
35698 [삶] "공기업 퇴직후 아파트경비 취업…아내가 도시락 싸주며 좋아해" 랭크뉴스 2024.06.07
35697 [영상]포장주문인데도 배달과 똑같은 수수료 부과를?…대체 왜[수사Q] 랭크뉴스 2024.06.07
35696 피해자 동의 없는데…누구를 위한 ‘정의 구현’인가 랭크뉴스 2024.06.07
35695 [단독] 오세훈표 '강남 대개조' 작업 착수… "녹지 만들어 보행자 친화 도시로" 랭크뉴스 2024.06.07
35694 “한국, 우크라에 무기 안 줘”…‘관계 회복’ 손 내미는 푸틴 랭크뉴스 2024.06.07
35693 스페이스X 우주선, 지구궤도비행 후 귀환 성공…"새로운 이정표"(종합2보) 랭크뉴스 2024.06.07
35692 챗GPT 품은 아이폰…애플, 비용 부담 커지나 랭크뉴스 2024.06.07
35691 장애연금 평균액 월 50만4천원…1인 가구 최저생계비의 40% 불과 랭크뉴스 2024.06.07
35690 서울대병원 "전공의 사태 해결 안되면 17일부터 전체휴진"…의료계 동반 휴진 영향줄까 랭크뉴스 2024.06.07
35689 "김일성에 불려가 피아노 친 엄마…딸인 날 엄마라 불렀다" 랭크뉴스 2024.06.07
35688 삼성전자 노조 오늘 첫 연가 투쟁…생산 차질은 없을 듯 랭크뉴스 2024.06.07
35687 55년 임무 끝내는 '도깨비' 팬텀…1호 조종사는 눈물 흘렸다 랭크뉴스 2024.06.07
35686 노들섬 바꾸는 '21세기 다빈치' "전염병 같은 아파트 지루하다" [더 인터뷰] 랭크뉴스 2024.06.07
35685 영일만 석유, "장래성 없다" 호주 업체 철수했는데…액트지오 분석 왜 달랐나 랭크뉴스 2024.06.07
35684 우주에서 만든 전기 우리 집에서 받아 쓰는 세상 올까 [창간기획: 초인류테크, 삶을 바꾼다] 랭크뉴스 2024.06.07
35683 野 원구성 압박에 與는 '버티기' 전략뿐 랭크뉴스 2024.06.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