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앵커]

최근 배달비 부담을 떠안게 된 식당들이 배달 주문 음식값을 올려 받는 경우가 늘고 있습니다.

이른바 '이중 가격'으로 소비자들의 부담이 늘고 있는데 문제점은 없는지 친절한 뉴스에서 전해드립니다.

김세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같은 음식이어도 매장에서 먹을 때보다 배달했을 때 가격이 더 높은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상황을 이른바 '이중 가격'이라고 하는데요.

실제 패스트푸드 업체인 파파이스 매장에서 가격표를 살펴 봤습니다.

치킨 4조각이 만 2,200원.

배달앱에서 같은 상품을 보면 700원 더 비쌉니다.

치킨 샌드위치 가격도 매장에선 5,900원 배달앱에선 6,500원입니다.

파파이스는 지난 4월부터 배달 주문은 음식값을 5% 더 받겠다고 발표했고 맥도날드, KFC 등도 이러한 이중 가격을 공식화했습니다.

이 김밥집도 최근 배달 메뉴 가격을 매장보다 500원씩 올렸습니다.

[김밥집 운영/음성변조 : "배달 부분이 너무 부담이 돼요. 오히려 이제 배달앱을 안 쓰려고 하는 분들이 더 많아요."]

소비자들이 반기지 않는 이중 가격을 매긴 이유는 배달비 때문입니다.

원래 배달앱 주문에서 업주 몫의 배달비를 식당이 조정할 수 있었는데, 점차 이런 재량권이 사라졌습니다.

특히 배달앱에서 '무료 배달' 가게가 되려면 배달의 민족은 판매가의 6.8% 수수료에 더해 건당 배달비를 2,500원 이상 내야 하고 쿠팡이츠 역시 9.8% 수수료에 배달비 2,900원을, 요기요는 수수료 12.5%를 부담해야 합니다.

무료 배달이 업주 부담을 키우고 음식 가격 인상으로 이어져 소비자에게 전가되는 구조입니다.

한국소비자원 조사 결과 서울 시내 식당 열 곳 중 여섯 곳 가까이는 이중 가격을 책정하고 있었고, 배달앱이 수수료 등을 인상할 경우 절반 정도는 음식 가격을 올리거나 양을 줄였다고 답했습니다.

문제는 이런 이중 가격으로 통계 착시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겁니다.

통계청은 외식물가를 조사할 때 배달이 더 많은 매장인지, 매장 식사가 더 많은 곳인지를 따집니다.

배달이 더 많으면 배달 가격을 기준으로 가격을 반영하고 매장 이용이 많으면 매장 가격을 반영합니다.

이 때문에 매장 손님이 더 많은 식당에서 배달 가격을 올린 경우는 물가 조사에 반영되지 않습니다.

[최철/숙명여대 소비자경제학과 교수 : "물가는 되게 중요한 거시 경제 지표가 되고 있죠. 배달앱을 이용해서 외식 소비를 하는 거는 (통계에) 완전히 반영되기는 어려울 수 있는 부분이 있죠. 괴리감이 느껴지는 경우가 사실 있죠."]

배달 위주의 식당에서도 이런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음식 가격에 배달비를 포함해 물가 조사를 하기 때문입니다.

음식 가격은 그대로인데 무료 배달 행사 등으로 배달비를 낮추면 가격이 내려간 것으로 잡힙니다.

이런 식당의 매장 이용자들은 물가가 내렸다는 통계와 달리 여전한 가격 부담을 체감하게 됩니다.

[윤채은/경기도 화성시 : "(치킨이랑 피자 가격이 별로 안 올랐다고 나오거든요. 체감하시나요?) 체감으로는 못 느끼는 것 같아요. 조금 덜 찾게 되는 거 같아요, 그래서."]

외식물가는 기준금리 결정에 주요 지표로 쓰이는 근원물가 구성 항목입니다.

올해 초 4.3%던 외식물가 상승률은 매달 둔화 돼 4월에는 3%로 조사됐습니다.

KBS 뉴스 김세희입니다.

영상편집:신선미/그래픽:민세홍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35696 피해자 동의 없는데…누구를 위한 ‘정의 구현’인가 랭크뉴스 2024.06.07
35695 [단독] 오세훈표 '강남 대개조' 작업 착수… "녹지 만들어 보행자 친화 도시로" 랭크뉴스 2024.06.07
35694 “한국, 우크라에 무기 안 줘”…‘관계 회복’ 손 내미는 푸틴 랭크뉴스 2024.06.07
35693 스페이스X 우주선, 지구궤도비행 후 귀환 성공…"새로운 이정표"(종합2보) 랭크뉴스 2024.06.07
35692 챗GPT 품은 아이폰…애플, 비용 부담 커지나 랭크뉴스 2024.06.07
35691 장애연금 평균액 월 50만4천원…1인 가구 최저생계비의 40% 불과 랭크뉴스 2024.06.07
35690 서울대병원 "전공의 사태 해결 안되면 17일부터 전체휴진"…의료계 동반 휴진 영향줄까 랭크뉴스 2024.06.07
35689 "김일성에 불려가 피아노 친 엄마…딸인 날 엄마라 불렀다" 랭크뉴스 2024.06.07
35688 삼성전자 노조 오늘 첫 연가 투쟁…생산 차질은 없을 듯 랭크뉴스 2024.06.07
35687 55년 임무 끝내는 '도깨비' 팬텀…1호 조종사는 눈물 흘렸다 랭크뉴스 2024.06.07
35686 노들섬 바꾸는 '21세기 다빈치' "전염병 같은 아파트 지루하다" [더 인터뷰] 랭크뉴스 2024.06.07
35685 영일만 석유, "장래성 없다" 호주 업체 철수했는데…액트지오 분석 왜 달랐나 랭크뉴스 2024.06.07
35684 우주에서 만든 전기 우리 집에서 받아 쓰는 세상 올까 [창간기획: 초인류테크, 삶을 바꾼다] 랭크뉴스 2024.06.07
35683 野 원구성 압박에 與는 '버티기' 전략뿐 랭크뉴스 2024.06.07
35682 서울대병원 '전체휴진' 결의…의협도 오늘 '총파업' 투표 마감 랭크뉴스 2024.06.07
35681 美 보잉 우주캡슐 '스타라이너' 국제우주정거장에 도킹 성공 랭크뉴스 2024.06.07
35680 트럼프 유죄 평결 후 트럼프·바이든 지지율 격차 3%p→1%p 랭크뉴스 2024.06.07
35679 로마 유적에 매직펜 '찍찍'…무개념 관광객 6000만원 '벌금 폭탄' 랭크뉴스 2024.06.07
35678 "이스라엘, 어린이 사망 가자 학교 공습에 미국산 폭탄 사용" 랭크뉴스 2024.06.07
35677 옷에 붙이는 'AI 핀' 스타트업 휴메인 "HP와 매각 협상" 랭크뉴스 2024.06.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