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뉴스투데이]
◀ 앵커 ▶

4년 전 LG화학 인도공장 가스 누출 사고로 인근 마을 주민 12명이 숨지고 6백 명 가까운 부상자들이 발생했습니다.

많은 주민들이 여전히 후유증과 생활고로 큰 고통을 겪고 있다고 하는데요.

지난주 연속보도를 해드렸고, 오늘은 기후환경팀 차현진 기자와 더 깊은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차 기자, 참사 4년이 지난 뒤 현장을 다시 찾은 거로군요.

◀ 기자 ▶

네. 당시 사고는 외신도 크게 보도할 정도의 대형 참사였습니다.

하지만 4년이 지나도 LG화학이 피해자 배상을 하지 않고 있어서 주민들이 고통받고 있다는 제보를 받고 취재에 나서게 된 건데요.

인도 현지에서 사고 당시 마을 CCTV를 입수할 수 있었습니다.

한 여성이 몸을 뒤로 젖힌 채 휘청거리더니 그대로 쓰러져 버립니다.

어린 아이도 땅에 고꾸라지는데, 일어나려 안간힘을 쓰지만 결국 다시 쓰러집니다.

저희가 만난 유족들도 어린 자녀를 잃은 부모들이었습니다.

10살 그리스마 양.

노래 부르기를 참 좋아하는 밝은 소녀였다고 합니다.

[故 그리스마 양 어머니]
"저도 의식을 잃어 혼수상태로 병원에 갔고, 3일 뒤에야 깨어났는데 이때 딸이 숨졌다는 소식을 듣게 됐습니다."

갓 의과 대학에 입학한 17살 챈들러 군도 희생자 중 한 명이었습니다.

챈들러 군 어머니는 영영 입지 못하게 될 아들의 의사가운을 꺼내 보이며 흐느꼈습니다.

◀ 앵커 ▶

참 마음이 아픕니다.

고통받고 있는 피해자들도 만났다고요.

◀ 기자 ▶

네, 당시 참사로 12명의 사망자와 6백 명의 부상자가 발생했는데요.

큰 화상을 입은 칸나지 씨는 두 차례 피부 이식 수술을 받았지만 지금도 상처 부위가 무척 가렵다고 하고요.

숨쉬기도 힘들다고 합니다.

얼굴이 까맣게 변해버린 여성이 있는가 하면 평생 호흡기를 들어야하는 주민도 있습니다.

후유증 사망이 의심되는 경우도 있었는데요.

국내 한 환경단체가 현지에서 후유증 조사를 벌인 결과 최소 11명이 추가 사망한 걸로 집계됐습니다.

스티렌 가스는 백혈병과 폐암을 일으킬 수 있는 세계보건기구 지정 '2a 발암물질'입니다.

LG화학은 사고 이후 지정병원을 통해 부상자들에게 의료지원을 하고 있는데요.

하지만 해당 병원에선 간단한 진료와 약 처방만 가능할 뿐, 폐 질환 치료나 수술 등은 다른 병원에서 자기 돈을 내고 받아야 하는 실정이었습니다.

◀ 앵커 ▶

참사 피해를 오롯이 마을 주민들만 감내하고 있군요.

그런데 LG화학은 왜 배상을 하지 않는 겁니까?

참사에 대한 책임이 작지 않을텐데요?

◀ 기자 ▶

네, 참사 직후 인도 주 정부는 9명의 전문가로 구성된 특별조사위원회를 꾸렸는데요.

두 달 만에 4천 쪽 분량의 보고서를 내고 LG 화학의 책임을 분명히 했습니다.

보고서엔 가스 누출 원인이 자세히 나오는데요.

당시 스티렌 가스가 누출된 탱크는 사용수명을 이미 3년 넘겼었고요.

사고 몇 달 전 당국의 허가 없이 설계를 변경해 탱크 과열을 초래한 걸로 드러났습니다.

또 탱크 온도를 낮춰주는 억제제는 한 달 전부터 다 떨어져 있었습니다.

이 때문에 20도 이하로 유지돼야 할 탱크 온도가 무려 153.7도까지 치솟았습니다.

심지어 가스가 퍼질 때엔 아무도 사이렌을 누르지 않아 주민들의 대피가 늦어지기도 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LG화학이 피해자 배상에 나서지 않고 있는 이유는 배상 범위와 금액 등을 놓고 아직 재판이 진행 중이라는 이유 때문인데요.

하지만 아직 1심 결과도 나오지 않을 정도로 재판이 지연되고 있습니다.

[칸나지/참사 피해자]
"재판이 10년, 15년 이상 걸릴 정도로 길어질 수 있는데, 만약 그 10년, 15년 사이 누군가 후유증으로 숨지면 누가 책임을 지겠습니까."

◀ 앵커 ▶

재판이 언제 끝날지 모르는 상황인데 이 긴 시간을 아무런 직접적인 배상 없이 피해자들이 버티는 게 좀 가혹해 보입니다.

LG화학은 입장 변화가 없습니까?

◀ 기자 ▶

LG화학 측은 "판결 전이라도 검진 센터 운영 등 피해 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추가 지원 방안을 적극적으로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직접적인 배상에 대해선 선을 그었는데요.

재판을 핑계대는 기업들의 이같은 모습은 낯설지 않습니다.

가습기 살균제 참사 역시 기업들이 '재판 진행 중'이라며 수년간 책임을 지지 않다가 검찰 수사가 본격화되자 부랴부랴 피해 배상안을 발표한 바 있습니다.

이번 사건으로 말미암아 환경 참사나 산업 재해에 안일하게 대처하는 한국 기업들의 민낯이 국제사회에 여실히 드러났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어 보입니다.

◀ 앵커 ▶

네, 차 기자, 잘 들었습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mbc제보

MBC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35585 서울대 의대 4개 병원 교수들 “17일부터 무기한 전체 휴진” 랭크뉴스 2024.06.06
35584 "동무는 남조선 혁명하시오"...18세 김동식, 인간병기 되다 랭크뉴스 2024.06.06
35583 "성심당 줄 좀 서주세요" 40분에 3만원…'당근'서 성사된 거래 랭크뉴스 2024.06.06
35582 “아파트 하자 투성이였다” 준공 임박 23개 단지서 1000건 적발 랭크뉴스 2024.06.06
35581 삼성 반도체 연구분야, 주64시간 근무...위기 돌파 비상경영 랭크뉴스 2024.06.06
35580 싱가포르전 손흥민·이강인 동시 출격… 최전방에 주민규 랭크뉴스 2024.06.06
35579 서울대병원 “17일부터 무기한 전체휴진” 랭크뉴스 2024.06.06
35578 [2보] 日 "사도광산 세계유산 보류…추가자료 제출 요구" 랭크뉴스 2024.06.06
35577 다짜고짜 욕설에 보복 위협까지…감정노동자보호법 시행에도 왜? 랭크뉴스 2024.06.06
35576 [속보] 유네스코 전문가 "日사도광산 세계유산 보류"…추가 정보요구 랭크뉴스 2024.06.06
35575 서울대병원 "전공의 범법자 취급…해결 안 되면 17일부터 휴진" 랭크뉴스 2024.06.06
35574 [단독] "기아 EV3 나와"… '1900만원대' 중국산 전기차에 국내 車업계 긴장 랭크뉴스 2024.06.06
35573 현충일에 욱일기 게양…부산 아파트 논란 랭크뉴스 2024.06.06
35572 서울대병원, 17일부터 무기한 휴진…응급·중환자실 뺀 진료 ‘스톱’ 랭크뉴스 2024.06.06
35571 이재명 "나도 수박이라고...이간질은 이적행위" 내부결속 강조 랭크뉴스 2024.06.06
35570 고3에 N수생에 휴일 대입설명회 '북적'‥"의대 증원·무전공 확대 변수" 랭크뉴스 2024.06.06
35569 포스코, 임원 대상 주5일제 근무 전환… 비상경영 취지 랭크뉴스 2024.06.06
35568 아동 비만·정신건강 고위험군↑…“신체활동·노는 시간 필요” 랭크뉴스 2024.06.06
35567 [르포] “우린 양양군에 속았다” 설악 오색케이블카 놓고 지역 민심 ‘술렁’ 랭크뉴스 2024.06.06
35566 푸틴, “우크라에 무기공급 않는 한국 높이 평가”…“서방에 더 가깝게 미사일 배치할 수도” 랭크뉴스 2024.06.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