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시추공 5개 뚫을 계획…“실패 책임 안 물어”
정부 “시추공이 석유·가스 만날 확률 20%”
3일 경북 포항 영일만 바다가 잔잔한 물결을 보이고 있다. 정부는 이날 포항 영일만 앞바다에 막대한 양의 석유와 가스가 매장돼 있을 가능성이 높다는 물리탐사 결과를 발표했다. 연합뉴스

(☞한겨레 뉴스레터 H:730 구독하기. 검색창에 ’h:730’을 쳐보세요.)

정부가 경북 포항 영일만 앞바다의 대규모 석유·가스 매장 가능성을 내놨지만, 실제 상업 생산으로 이어지는 데는 불확실성이 높다. 일단 첫 단계인 깊은 땅속을 파고 들어가는 시추공이 석유·가스와 만날 확률부터 정부는 20%로 내다본다. 통상 석유 탐사와 시추, 생산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은 기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고위험 고수익’ 양상을 띤다. ‘부존 가능성’만으로 장밋빛 미래를 그리긴 어렵다는 게 전문가들의 반응이다.

3일 정부 발표를 보면, 정부는 포항 앞바다인 동해 심해(영일만에서 38~100㎞ 떨어진 지역, 깊이 1㎞)에 최소 35억배럴에서 최대 140억배럴의 석유와 가스가 매장(탐사자원량 기준)되어 있을 수 있다는 판단을 내렸다. 탐사자원량은 물리탐사 자료 해석을 통해 산출한 추정 매장량으로 시추를 통해 아직 확인되지 않은 것을 말한다. 정부가 밝힌 가스와 석유의 탐사자원량은 각각 최대 12억9천만톤, 최대 42억2천만배럴이다. 이는 우리나라 전체 사용량과 견줘 가스는 최대 29년, 석유는 최대 4년을 쓸 수 있는 규모다.

정부는 이 지역에 석유·가스 부존 가능성이 탐지된 건 가스 고갈로 인해 생산을 종료한 동해 가스전 주변을 다시 확인하는 과정에서였다고 했다. 구체적으로 정부는 지난해 2월 심해 기술평가 전문 기업인 미국 액트지오사에 심층분석을 의뢰했고, 지난해 말께 부존 가능성이 있다는 검토 결과를 통보받았다. 그 이후 정부는 검토 결과를 국내외 전문가들로부터 5개월 동안 확인하는 절차를 거쳤다고 한다.


실제 부존 여부를 알기 위한 시추 작업은 올해 연말 시작한다. 심해에 구멍을 뚫는 시추 작업에는 1공에 1천억원 이상의 비용이 든다. 정부는 최소 5개의 시추공을 뚫을 계획이다. 개발 과정에서 필요한 비용은 정부 예산, 한국석유공사 자금, 다른 나라 기업으로부터도 끌어온다는 게 정부 계획이다. 최남호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은 “실패해도 (책임을) 묻지 않는다”고 말했다.

현 단계는 탐지에서 생산에 이르는 전체 석유·가스전 개발 사업 단계에서 극초기에 해당한다. 이런 까닭에 자원개발·에너지 업계에선 “땅 밑은 파봐야 알 수 있다”란 반응을 내놨다. 섣부른 기대는 금물이라는 뜻이다. 실제 생산·개발 원가와 판매가격 간 상관관계 등을 따지는 경제성 평가도 현 단계에선 진행되지 않는다. 또 연말 시작하는 시추 작업을 통해 매장량을 확인하더라도 실제 생산에 이르기까지 예기치 않은 장애물이 등장할 수도 있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실제 매장이 확인되면 2027년 내지 2028년쯤 공사를 시작해 상업적인 개발은 2035년쯤 시작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전망했다.

메리츠증권은 이날 보고서를 내어 “시추 이전까지는 결과를 예단하기 어렵다”며 “(정부가 발표한 탐사자원량과) 실제 매장량은 구별할 필요도 있다”고 말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자원 탐사는 오랜 시간을 들여 노력하지만 확률이 높지 않다. 오래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했다. 석유·가스 시추 기술력이 있는 국내 업체인 에스케이(SK)어스온과 포스코인터내셔널도 국외 해양 유전 개발의 경제성 평가에만 수년 이상의 시간을 들였다. 국내 기업이 상업 생산에 성공한 미얀마 가스전도 탐사부터 채굴까지 12년이 걸린 장기 프로젝트였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30613 골프채 ‘스윙’하며 보닛 ‘쾅쾅쾅’… 황당한 보복운전 랭크뉴스 2024.06.05
30612 미 폭격기 B-1B, 한반도 전개해 7년만에 JDAM 투하…대북 경고장 랭크뉴스 2024.06.05
30611 서울 상가·빌라 경매 매물 쏟아진다… “15번 유찰 2억5000만원에서 1200만원으로 뚝” 랭크뉴스 2024.06.05
30610 22대 국회, 헌정사상 첫 野 단독 개원…의장단 반쪽 선출(종합) 랭크뉴스 2024.06.05
30609 친윤 핵심 이용, 문체부 2차관 검토···장미란 교체되나 랭크뉴스 2024.06.05
30608 [고수다] "윤 대통령, '뻥통' 박정희 시즌2 될라" 랭크뉴스 2024.06.05
30607 황우여 "야당, 법사위 갖고 계속 입법 강행하면 수백 건 거부권 행사될 것" 랭크뉴스 2024.06.05
30606 밀양 성폭행사건 일파만파…가해자 해고부터 식당 영업중단까지 랭크뉴스 2024.06.05
30605 [속보] 미 폭격기 B-1B 한반도 전개…7년 만에 JDAM 투하 훈련 랭크뉴스 2024.06.05
30604 [속보] 우원식, 22대 국회 전반기 국회의장 선출... 야당 단독표결 랭크뉴스 2024.06.05
30603 이수정 "밀양 가해자 부성애 글, 미성년자 위험 몸소 알기 때문" 랭크뉴스 2024.06.05
30602 삼성, 화웨이에 폴더블폰 시장 점유율 1위 내줘 랭크뉴스 2024.06.05
30601 “하수구에 불이 활활” 무심코 버린 담배꽁초의 무서움 랭크뉴스 2024.06.05
30600 액트지오 고문, ‘동해 석유’ 경제성 높냐고 묻자 “그렇다” [현장영상] 랭크뉴스 2024.06.05
30599 유은혜 전 부총리 남편, 차량서 숨진 채 발견 랭크뉴스 2024.06.05
30598 의대생·전공의 “대통령·국가에 1000억원 배상 청구” 랭크뉴스 2024.06.05
30597 [속보] 22대 전반기 국회의장에 우원식…국힘은 표결 불참 랭크뉴스 2024.06.05
30596 "불이야!"…21층부터 1층까지 문 두드려 대피 도운 고등학생 표창 랭크뉴스 2024.06.05
30595 조국혁신당, 윤석열 '석유 발표'에 "아니면 말고 식 국정전환쇼" 랭크뉴스 2024.06.05
30594 [속보] 22대 전반기 국회부의장에 민주 이학영 선출 랭크뉴스 2024.0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