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북한의 오물 풍선 살포와 위성항법장치(GPS) 교란 등에 맞서 대통령실이 3일 남북 간 상호 신뢰가 회복될 때까지 9·19 군사합의 전체의 효력을 정지하는 안건을 4일 국무회의에 상정하기로 했다. 북한은 어젯밤 오물 풍선 살포를 중단하겠다고 밝혔지만, 정부의 강경 대응으로 한반도의 군사적 긴장은 고조될 전망이다. 사진은 지난 2일 경기도 파주시 접경지역에서 본 군사분계선 남쪽 ‘자유의 마을’(대성동) 태극기와 북쪽 ‘평화의 마을’(기정동) 인공기가 바람에 휘날리고 있는 모습. 김혜윤 기자 [email protected]
대통령실이 9·19 군사분야 남북합의서(9·19 군사합의) 전체의 효력을 정지하는 안건을 4일 국무회의에 상정하기로 했다. 북한의 ‘오물 풍선’ 살포에 맞서 정부도 강경 대응에 나서면서, 한반도의 군사적 긴장이 더욱 고조될 전망이다.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은 3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김태효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사무처장 주재 국가안전보장회의 실무조정회의를 한 뒤 “최근 북한의 일련의 도발이 국민들에게 실제적인 피해와 위협을 가하는 상황에서, 9·19 군사합의가 우리 군의 대비 태세에 많은 문제점을 초래하고 있다”며 “남북 간 상호 신뢰가 회복될 때까지 9·19 군사합의 전체의 효력을 정지하는 안건을 4일 국무회의에 상정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안보실은 “(합의 효력이 정지되면) 군사분계선 일대의 군사훈련이 가능해지고 북한의 도발에 대한 우리의 보다 충분하고 즉각적인 조치를 가능하게 해줄 것”이라며 “북한이 도발을 지속할 경우 이에 상응하는 조치를 추가적으로 취해 나가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이날 회의에는 김태효 사무처장(국가안보실 1차장)과 김홍균 외교부 1차관, 김선호 국방부 차관, 황원진 국가정보원 2차장, 김병대 통일부 통일정책실장, 인성환 국가안보실 2차장 등이 참석했다. 정부는 국무회의에 이 안건이 상정되면 의결할 예정이다. 9·19 군사합의는 국회의 비준을 거치지 않아, 국무회의 의결과 대통령의 결정만 있으면 효력 정지가 가능하다.

9·19 군사합의는 2018년 9월19일 문재인 당시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남북정상회담에서 채택한 ‘9월 평양공동선언’의 부속 합의서로, 군사분계선 일대 상호 적대행위 중지 등을 담고 있다. 하지만 지난해 11월 북한의 3차 군사정찰위성 발사 뒤 정부가 9·19 군사합의 가운데 ‘비행금지구역’의 일시 효력 정지를 결정했고, 이에 북한은 9·19 군사합의 전면 무효를 선언했다. 이후 군 당국은 지난 1월 지상과 해상에도 적대행위 금지 구역(완충구역)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공식 선언했다.

9·19 군사합의를 서서히 무력화해온 정부가 ‘전체 효력 정지’에 나선 것은, 최근 북한의 오물 풍선 살포와 위성항법장치(GPS) 교란에 대한 맞대응이다. 정부는 지난달 31일부터 “북한이 감내하기 힘든 조치들”을 예고해왔다. 북한이 지난 2일 밤 대남 오물 풍선 살포를 잠정 중단하겠다고 했는데도 정부가 강수를 꺼낸 것은, 북한이 민감하게 여기는 대북 확성기 방송 등 결정 시 즉시 재개할 수 있는 상태를 갖추며 북한에 강력 경고한 것으로 풀이된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30566 신세계, CJ와 전방위 협업…본업 '유통 경쟁력'에 올인 랭크뉴스 2024.06.05
30565 오늘 본회의…국회의장 선출하나 랭크뉴스 2024.06.05
30564 태국서 사은품 받았는데... '대마젤리' 모르고 먹은 남매 무혐의 처분 랭크뉴스 2024.06.05
30563 의대생·전공의측 "대통령·국가에 1천억원 손해배상 청구할 것" 랭크뉴스 2024.06.05
30562 4쪽 빼곡했던 ‘임성근 혐의’ 첫 보고…“내려가 수풀 헤치고 찔러봐” 랭크뉴스 2024.06.05
30561 하루 배 사용료만 6억5000만원…‘440억 시추선’ 12월 뜬다 랭크뉴스 2024.06.05
30560 [단독] 검찰 중간간부 26명 줄사표… 추가 인사로 공백 채운 법무부 랭크뉴스 2024.06.05
30559 “3초 만에 문장 생성하고, 태아 심장 찾아줘”… AI 신제품 선보인 인텔 컴퓨텍스 부스 가보니 랭크뉴스 2024.06.05
30558 초등생이 무단조퇴 막는 교감 뺨 때리고 욕설·침까지 랭크뉴스 2024.06.05
30557 [흔들리는 SK] 노태우 불법자금이 노소영 몫? 법조계도 논란 랭크뉴스 2024.06.05
30556 '스타워즈' 찍은 이정재 "혀 닳아 음식 먹기 힘들 정도로 영어 연습" 랭크뉴스 2024.06.05
30555 대통령 발표 이틀 만에 방한 액트지오 고문 "한국에 매우 중요한 프로젝트" 랭크뉴스 2024.06.05
30554 전공의 안 돌아오면 어쩔 수 없지…'전문의 중심 병원' 만든다 랭크뉴스 2024.06.05
30553 [Why] 서울에 쏠린 스타트업 생태계...부산에 이식하는 산업銀 랭크뉴스 2024.06.05
30552 두리안으로 부자 인증하는 中, 수요 폭증 랭크뉴스 2024.06.05
30551 액트지오 대표 입국…"'동해 석유' 명확히 설명하려 방한"(종합) 랭크뉴스 2024.06.05
30550 ‘동해 석유·가스 분석’ 아브레우 박사 방한…“아주 중요한 프로젝트” 랭크뉴스 2024.06.05
30549 [바이오USA] 대통령실 “보건 안보 측면에서 바이오 산업 정책 고민 중” 랭크뉴스 2024.06.05
30548 김희철 "SM 후배들 연락처도 없어"…日유흥업소 루머 직접 답변 랭크뉴스 2024.06.05
30547 통계 개편하자 1인당 국민소득, 일본·대만 제쳐…가계부채 비율도↓ 랭크뉴스 2024.0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