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전문가 3인의 투자기간별 전략 경제+ 지금 당장 통장에 3000만원이 있다면 어디에 투자할까. 저축은행 정기예금 금리도 4% 아래로 내려온 지 오래여서 투자자로선 마음에 드는 곳을 찾기 어렵다. 미국의 금리 향방이 여전히 오리무중인 상황에서 어느 정도의 기간을 정해 놓고 투자할지도 중요한 변수가 됐다. 3000만원 정도의 돈을 기간별로 어디에 투자하면 좋을지 투자 전문가 3인에게 자문했다. 3인의 투자 전문가는 김일태 메리츠증권 도곡금융센터장, 성태경 미래에셋자산운용 ETF마케팅부문 대표, 안용섭 KB증권 WM투자전략부 수석연구위원이다. 3인의 투자 전문가는 투자기간이 짧을수록 손실 가능성이 낮은 투자처를, 장기로 가져갈수록 충분한 상승 여력이 있는 투자처를 찾는다는 기본 공식을 갖고 서로 다른 풀이를 내놨다.
3개월 투자 땐 ‘삼성전자’밸류업·우량회사채 유망 투자기간 3개월, 어디서 굴릴까

삼성전자=3~6개월 투자로 본다면 삼성전자가 제일 좋아 보인다. 지난해가 엔비디아가 주도하는 비메모리(시스템) 반도체 사이클이었다면 올해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주도하는 메모리 반도체 사이클의 초입이다. HBM(고대역폭메모리)에서 SK하이닉스에 밀렸지만 메모리 반도체 1위 업체의 위상은 건재하다.

HBM 선점에 실패하면서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 밸류에이션(평가가치) 격차가 역대 최대로 벌어져 있다. SK하이닉스가 반도체 대장주로 역사적으로 높은 밸류에이션을 받는 반면, 삼성전자는 주가순자산비율(PBR)을 기준으로 역사적 평균보다도 낮은 밸류에이션에서 거래 중이다. 삼성전자는 전 세계에서 가장 저평가된 반도체 주식이다. 실적 개선과 낮은 밸류에이션이 부각되며 SK하이닉스와의 밸류에이션 차이를 좁히며 주가가 상승할 전망이다.

미국 빅테크/국내 밸류업 수혜 ETF/단기금리형 ETF=인공지능(AI) 관련 미국 기술 섹터는 고점 논란이 있지만, 최근 높아진 기대치를 웃도는 실적을 보이는 만큼 당분간 강세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국내에선 밸류업 정책 수혜가 기대되는 대표 업종인 은행 등에 투자하는 ETF를 제안한다. 원금 손실 가능성이 낮은 데다, 매일 이자가 쌓이는 단기금리형 ETF를 추가할 경우 포트폴리오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단기)우량회사채펀드=3~6개월의 제한적인 투자기간이라면 공격적인 투자보다는 최대한 원금을 지키면서 예금금리+α를 추구하는 보수적인 전략이 적절하다. 원하는 시기에 자유롭게 환매할 수 있는 (단기)우량회사채펀드가 대안이 될 수 있다. 최근 신용 스프레드(만기가 같은 국고채와 회사채 간 금리 격차)가 하락하면서 회사채의 가격 매력도가 떨어진 만큼 개별 채권을 만기 보유하는 전략으로는 수익이 제한적이다. 반면에 우량회사채펀드는 안정성을 확보하면서도 전문 운용역의 시장 대응 및 액티브한 포트폴리오 운용을 통해 추가 수익을 기대해볼 수 있다.

1년 본다면 ‘인도·바이오’외국인, 국내 밸류업 관심 투자기간 12개월, 어디서 굴릴까

김영옥 기자
인도 내수 분야/온디바이스 AI=최근 나렌드라 모디 총리의 3선 재집권 성공이 확실시하고 있다. 정부 주도 경제성장 정책이 힘을 받을 수 있다. 인도는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연평균 6~7%씩 증가하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성장하는 국가다. 인도 정부의 제조업, 인프라 육성정책에 따라 일자리도 늘어나고 있다. 14억 명에 달하는 국민소득 증가에 따라 중산층의 비중이 커지고 이는 소비로 이어질 것이다. 세계 최초 AI 스마트폰으로 알려진 갤럭시S24 흥행 이후 경쟁사들도 앞다퉈 AI 스마트폰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AI 스마트폰 개발에 힘입어 온디바이스(기기 안에 탑재된) AI 테마의 주목도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한다. 애플리케이션(앱) 기반 서비스가 스마트폰 혁명을 이끌었듯, 온디바이스AI 서비스는 AI 혁명의 기폭제로 작용할 것이다.

국내 밸류업 관련 주식·상품=12개월의 투자기간이라면 현시점에서 상승 추세가 유지되고 시장 관심이 유지되는 투자처에 더 주목할 필요가 있다. 통화정책의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수출 증가 등 한국의 경기 모멘텀은 바닥을 찍고 개선 중이다. 그중에서도 특히 정책적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저PBR주 등 국내 밸류업 주식 및 관련 상품을 눈여겨보자. 현시점에서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의 핵심은 외국인의 관심이 이어지며 수급이 개선되는 것이다. 실제 기업의 배당 확대 및 주주가치 제고로 이어진다면 한국 증시의 실질적 리레이팅(rerating·재평가) 가능성도 커질 것이다.

바이오=하반기 미국 금리 인하가 시작된다고 가정하면 가장 수혜를 볼 수 있는 섹터는 2022년 미국의 급격한 금리 인상으로 가장 큰 피해를 봤던 고성장 분야다. 고금리 상황이 해소되고 시장에 유동성이 공급될 경우 바이오 섹터의 투자심리가 회복되며 기술력을 갖춘 업체들의 반등이 시작될 것으로 판단된다. 제약 바이오 주식들은 3년 동안 하락세를 보이다가 지난해 하반기부터 일부 업체를 중심으로 반등하기 시작했다. 경쟁업체 대비 저평가된 신약 개발업체나 위탁생산(CMO) 업체를 추천한다.

2년 생각 땐 ‘미국 기술주’미 국채·홍콩증시 추천도 투자기간 24개월, 어디서 굴릴까

글로벌·미국 기술성장주 펀드 ETF=24개월의 투자기간이라면 단기적으로 변동성에 노출되더라도 중장기 관점에서 상승 여력이 풍부한 투자처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단기 과열 우려에도 불구하고 빅테크와 AI 테마 등 글로벌 기술성장주는 여전히 확신이 높은 영역이다. 다만, 개별 기업의 변동성이 큰 만큼 이를 분산할 수 있는 관련 ETF나 펀드 등에 투자할 것을 권한다. 빅테크 등 미국 기술성장주가 여전히 톱픽으로 선호되지만, 밸류에이션 매력과 매크로 환경이 우호적인 유럽 등 미국 외 기술성장주를 포함하는 글로벌 펀드 등에도 관심을 가져볼 만하다.

미국 장기국채·홍콩 증시=주식보다 높은 수익률을 얻을 수 있는 게 미국채 장기물 직접투자다. 미국 기준금리가 현재의 연 5.25~5.5%에서 중립 금리 수준인 연 3.5%까지 하락한다고 가정하면 미국채 30년물의 가격은 40% 이상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달러 약세 시 환차손이 예상되지만 높은 수익률로 만회할 수 있는 데다 매매차익이 비과세라서 세금 면에서도 매우 유리하다. 이 밖에 3년간 바닥을 다지고 반등 중인 중국과 홍콩 증시도 주목해 볼 만하다. 금리가 내려오지 않더라도 채권 이자로 매년 연 4.5% 수익을 확보할 수 있으며 금리 하락 시 높은 매매차익을 노릴 수 있는 낮은 리스크, 높은 리턴(수익)의 결정적 투자기회다. 홍콩 증시는 한국발 주가연계증권(ELS) 상품들의 만기가 도래하며 지수에 부담 요인으로 작용해 왔다. ELS 만기청산이 진행될수록 홍콩H지수의 탄력적인 상승이 나올 수 있다.

미국 주식·장기국채 커버드콜 ETF=2년이라는 기간 동안 장기투자할 수 있다면 연 10%대의 미국 주식과 미국 채권 월배당 포트폴리오를 짜 보자. 전체 자산의 일정 비율만 커버드콜 전략을 사용하는 ETF를 활용할 경우, 주가 상승에 따른 추가 수익을 추구하며 매월 배당까지 기대할 수 있다. 최근 꾸준히 강세를 보이는 미국 기업 투자와 향후 금리 인하를 앞둔 채권 투자를 병행한다면 변동성을 줄이고 안정적인 월배당형 포트폴리오를 구축할 수 있다.

김주원 기자
김주원 기자
김주원 기자
당신의 돈에 관한 모든 이야기, 투자 인사이트를 드립니다. 돈 되는 '머니 정보' 더중플에서 더 많이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경제+
“19억으론 아들 집 못 사줘” 반포맘이 노리는 7월의 대박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52410

반토막 났는데 “또 추락한다”에코프로 3형제는 이때 사라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48645

연금 말고도 월 100만원 나온다4050 '평생 돈줄' 전략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42925

엔비디아 뛰면 여긴 날아간다, 다음 대박 알려줄 ‘법칙’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31793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39766 "개XX야" 교감선생님 뺨을 때린 초3…학교 7번 옮겨다닌 사연 랭크뉴스 2024.06.06
39765 여야 지도부 오늘 현충일 기념식 참석…원구성 논의 주목 랭크뉴스 2024.06.06
39764 [단독] 대학생 94% "독방 달라"…권익위 '기숙사 1인실화' 권고 랭크뉴스 2024.06.06
39763 야스쿠니 신사 ‘화장실’ 낙서에…日 사업가, 1000만 엔 현상금 랭크뉴스 2024.06.06
39762 AI칩 선두, 美 엔비디아 시총 3조 달러 진입…애플도 제쳤다(종합) 랭크뉴스 2024.06.06
39761 [기고] 대한민국 동질성 확인하는 현충일 돼야 랭크뉴스 2024.06.06
39760 면죄부에도 전공의 안 돌아오면 전문의 급감... 의료개혁 큰 그림 균열 우려 랭크뉴스 2024.06.06
39759 WHO "조류인플루엔자 H5N2 인체감염 사례 첫 확인" 랭크뉴스 2024.06.06
39758 오늘부터 나흘간 유럽의회 선거…'극우 돌풍' 최대 관심 랭크뉴스 2024.06.06
39757 "치매도 정복"… 기적의 맞춤약 'RNA 처방' 시대 성큼 [창간기획 : 초인류테크, 삶을 바꾼다] 랭크뉴스 2024.06.06
39756 뉴욕시 도심 혼잡통행료 2만원 징수계획 무기한 중단 랭크뉴스 2024.06.06
39755 "왜 내 흉봐?" 따지는 여학생에 '야구방망이' 휘둘러 팔 부러뜨린 10대 랭크뉴스 2024.06.06
39754 美국무부 정무차관에 줄리앤 스미스 주나토 대사 랭크뉴스 2024.06.06
39753 한국서 뜨는 '알·테·쉬' 미국선 적자 난 이유?…"이젠 슬로우 패션이 대세" 랭크뉴스 2024.06.06
39752 "당신은 최고의 아빠이자 남편"…인라인 전 국가대표, 3명에 새 삶 주고 하늘로 랭크뉴스 2024.06.06
39751 EU, 이스라엘에 '가자지구·인권 논의' 협의체 소집 제안 랭크뉴스 2024.06.06
39750 "비싸도 먹을래" 불티난 이 라면…출시 한달 만에 700만봉 팔렸다 랭크뉴스 2024.06.06
39749 '출산율 1명 붕괴' 도쿄, 이런 특단의 대책까지 내놓았다 랭크뉴스 2024.06.06
39748 애플 시총 장중 3조 달러 탈환…엔비디아 3조 달러 ‘눈앞’ 랭크뉴스 2024.06.06
39747 인도 모디 ‘민망한 승리’ 랭크뉴스 2024.06.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