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구체적 협의나 논의 전혀 없었다…뜻 모으는 데 논란과 어려움 있을 듯"

"법적 대응·전공의 지원 등 다른 투쟁 방안 강구해야"

"어떤 방식이든 의대생·전공의 도와야 한다"는 데에는 대체로 동의


대한민국 의료 사망선고 촛불 집회 나선 의사들
(서울=연합뉴스) 황광모 기자 = 30일 오후 서울 중구 덕수궁 대한문 앞에서 대한의사협회 주최로 열린 대한민국 정부 한국 의료 사망선고 촛불집회에 참가한 의사들이 촛불과 손팻말을 들고 의료 정상화 구호를 외치고 있다. 2024.5.30 [email protected]


(서울=연합뉴스) 권지현 기자 = 대한의사협회(의협)가 이번주 중으로 전 회원 대상 총파업 찬반 투표를 실시할 예정인 가운데 개원가에서는 이를 두고 긍정·부정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3일 의료계에 따르면 의협 집행부의 총파업 추진에 개원가는 "의대생, 전공의에 힘을 보태야 한다"는 데에는 대체로 동의하는 분위기지만, "개원가 휴진은 실질적으로 어려우며 의미도 없어 총파업 대신 다른 투쟁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는 회의론도 다수인 것으로 파악됐다.

의협은 지난 2일 열린 전국 시·도의사회 회장단 회의를 거쳐 이르면 4일부터 총파업 투표를 실시하고 오는 9일 전국 대표자 회의에서 구체적인 방안을 논의하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앞서 지난달 30일에는 전국서 연 '대한민국 의료 사망선고' 촛불집회에서 임현택 의협 회장이 "6월부터 본격적으로 의료 농단에 대한 큰 싸움을 시작한다"며 "이제는 개원의, 봉직의도 본격적으로 이 큰 싸움에 나와줘야 한다"고 밝혔다.

이같은 임 회장의 선언과 총파업 추진에 개원가는 "구체적 협의나 논의가 전혀 없었다"고 우려하는 분위기다.

시·도의사회 회장단 회의에 참석했던 한 지역의사회 회장은 연합뉴스에 "누구랑 논의가 됐길래 파업 얘기가 나온 건지 모르겠다"며 "회의 내용도 사전에 공지가 되지 않았고, 파업에 대해서는 각 지역 회장들과 논의된 바가 전혀 없었기 때문에 내부에서 불만이 많았다"고 토로했다.

의협 산하 직역의사회인 개원의협의회의 한 관계자는 "임 회장이 '큰 싸움' 발언을 할 때까지 내부에서 총파업에 대한 합의가 전혀 없었다"며 "지도자 회의를 거쳐서 뜻을 모으는 과정에 많은 논란과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의협, 제42대 시·도의사회장 긴급 회의
(서울=연합뉴스) 김성민 기자 = 대한의사협회(의협)가 2일 오후 서울 용산구 의협에서 '제42대 시·도의사회장 긴급 회의'를 열자 한 참석자가 회의 참석을 위해 이동하고 있다. 2024.6.2 [email protected]


이같이 총파업 추진 과정에서 내부 잡음이 나오는 가운데 개원가 의사들 다수는 총파업의 가능성과 효과가 떨어진다고 보고 다른 투쟁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개원의협의회 관계자는 "의협 의사결정 구조는 회장 혼자서 '이거 하자'고 한다고 해서 다 따라가는 구조가 아니다"며 "내부에서 총파업 얘기가 나왔어도 지금처럼 합의가 전혀 안 된 상태로 할 수는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 관계자는 "외래만 하는 의원이 휴진 투쟁을 하는 게 무슨 의미가 있느냐"며 "개원가가 파업한다고 해결되는 문제가 아니다"고 말했다.

또다른 지역의사회 회장도 "총파업이 가져올 효과에 대해 우려하는 얘기가 많았다"며 "실질적으로 총파업에 대한 국민 여론이 좋지 않고, 국민에 또다른 (의료) 부담을 주는 건 지금 올바른 전략이 아닌 것 같다는 의견과 (휴진 대신) 사직 전공의에 대한 경제적 지원 등을 강화해야 한다는 얘기가 많이 나왔다"고 전했다.

이러한 분위기에 본격적인 형태의 무기한 집단행동 대신 자율적 휴진을 하도록 하고, 다른 방식의 '강경대응'을 강구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좌훈정 서울시의사회 부회장 겸 개원의협의회 부회장은 "상식적인 '파업' 개념보다 토요일 진료를 줄이거나 주40시간에 맞춰 전체 진료 시간을 줄이는 '준법투쟁' 개념이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강경 대응이 무조건 파업만을 의미하는 건 아니다. 법적 대응이나 전공의 지원, 정부 정책 비판 등에서 좀 더 강한 대응을 하자라는 주문이 있었다"고 전했다.

의정갈등 관련 심포지엄 지켜보는 박단 위원장
(서울=연합뉴스) 김성민 기자 =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가 31일 오전 서울 서초구 서울성모병원에서 연 '의정갈등을 넘어 미래 의료 환경으로' 심포지엄에서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이 발표를 지켜보고 있다. 2024.5.31 [email protected]


다만 개원가의 대다수는 "현 의대 증원 관련 투쟁에서 의대생, 전공의에 비해 개원가 참여가 미진해 더 적극적으로 전공의들을 도와야 한다"는 데에는 동의했다.

좌훈정 부회장은 "정부가 일방적으로 입시 요강을 발표하는 등 전공의와 의대생들의 돌아갈 길이 끊겼는데, 개원의도 싸움에 동참할 수밖에 없다"며 "의대생과 전공의들에게 경제적인 지원을 크게 늘리는 것 등 여러 가지 복안을 논의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개원의협의회 부회장을 맡고 있는 이형민 응급의학의사회 회장은 "이미 개원의협의회 차원에서 어떤 식으로든 참여해야 한다는 건 진작부터 나왔던 발언이고, 따로 회의하지 않았어도 다들 그렇게 생각하고 있다"며 "그럴 경우 응급실을 어떻게 지킬지 얘기하고 있다"고 전했다.

또다른 지역의사회 소속 개원의는 "(파업을 하면) 병원들이 버틸 수 있을까 싶지만 전공의들이 안타깝고 현 상황이 답답하니까 선배들도 뭔가 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지역 촛불집회에 참여했다는 다른 지방 개원의도 "(전공의들을 도와야 한다는) 집행부에 힘이 실리지 않을까 한다"며 "임 회장 방침에 따를 것"이라고 밝혔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39838 "서른 넘었는데 부모님이랑 같이 살아요"···30대 캥거루족 증가 랭크뉴스 2024.06.06
39837 교감 뺨 때린 초3 학부모 "일방적 때렸다? 차별이 원인" 주장 랭크뉴스 2024.06.06
39836 일본 정부 "'인증 부정' 출하정지 6개 차종 이달 내 시험 완료" 랭크뉴스 2024.06.06
39835 “텔레그램은 못 잡아” 경찰이 한다는 말…피해자가 수사 나섰다 랭크뉴스 2024.06.06
39834 “사람 사는 동네 맞냐”…밀양시로 향하는 분노 [잇슈 키워드] 랭크뉴스 2024.06.06
39833 이준석 “한동훈 기억나는 건 눈밭 90도 인사···친윤·반윤 답해야” 랭크뉴스 2024.06.06
39832 이기면 좋지만 져도 괜찮아…총수들의 ‘야구 사랑’ 랭크뉴스 2024.06.06
39831 "헬스하다 주저앉고, 소변이 콜라색"…요즘 2030 이 병 주의보 랭크뉴스 2024.06.06
39830 빅5 중 병상 가동률 가장 낮은 서울대…오늘 총파업 가결시 '비상' 랭크뉴스 2024.06.06
39829 탈북민단체 "애드벌룬 10개 이용 대북전단 20만장 살포" 랭크뉴스 2024.06.06
39828 5월 세계 평균기온, 또 ‘역대 최고’… “12개월 연속 ‘가장 더운’ 달” 랭크뉴스 2024.06.06
39827 “텔레그램은 못 잡아” 경찰이 한 말…피해자가 수사 나섰다 랭크뉴스 2024.06.06
39826 교감 뺨 때린 초3 학부모 "아이가 일방적 때렸다? 진위 가려야" 랭크뉴스 2024.06.06
39825 여야 지도부 오늘 현충일 기념식 참석‥원구성 논의 주목 랭크뉴스 2024.06.06
39824 "밀양 가해자, 제 조카 맞다"…무허가 국밥집 결국 철거됐다 랭크뉴스 2024.06.06
39823 “밀양 성폭행 3번째 가해자, 다니던 대기업서 임시발령” 랭크뉴스 2024.06.06
39822 엔비디아 시총 3조달러 돌파… 1조원 담은 서학개미 웃음 랭크뉴스 2024.06.06
39821 영화값 숨은 500원…정부, 부담금 일괄폐지 개정안 입법예고 랭크뉴스 2024.06.06
39820 21층서 1층까지 문 두드리며 “불이야!” 용감한 고교생 랭크뉴스 2024.06.06
39819 ‘미르의 전설 2·3’ 저작권 소송 7년 만에 대법원 “파기 환송” 랭크뉴스 2024.06.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