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추천! 더중플] 눈물콧물 요양보호사 24시 우리는 모두 늙고, 언젠가 죽습니다. 돌봄이 필요한 순간은 반드시 옵니다. 그때 만나게 되는 사람이 바로 요양보호사입니다. 삶과 죽음이 바쁘게 교차하는 곳에서 요양보호사는 무엇을 보고 어떤 생각을 할까요?

요양보호사의 눈물 콧물 가득한 24시간을 담은 이은주 작가의 글을 소개합니다. 이은주 작가는 일본 문학 번역가로 일하다 8년 전 할머니의 죽음을 지켜보고 요양보호사 자격증을 취득했는데요. 그의 섬세한 관찰과 따뜻한 시선을 통해 행복한 삶이란 무엇인지, 존엄한 죽음이란 무엇인지 질문을 던져보려 합니다.

특히 가족·친지를 직접 돌보고 있거나 요양원에 모신 분들께 이 시리즈가 도움되길 바라며, 자세한 내용은 더중앙플러스 ‘눈물콧물 요양보호사 24시’(https://www.joongang.co.kr/plus/series/231)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추워 안아줘” 치매 노모의 말…난 요양원서 매일 후회한다 ‘죽을까, 살까’ 망설이는 눈동자. 가족과 떨어져 요양원에 들어온 어르신들은 열에 아홉이 불안에 떤다. 요양보호사로 8년을 일한 나도, 그 눈동자를 마주할 때마다 가슴이 철렁한다.

새로 입소한 정인정 어르신(가명·78세)은 딸을 기다리며 밤새 병실을 배회했다. 피곤하면 침대에 앉았다가 또 벌떡 일어나 출구로 향했다. 어르신의 수척한 어깨를 감싸 다시 침대에 눕힌다.

“어르신, 따님은 해 뜨면 올 거예요.”

그렇게 애타게 기다리던 딸이 찾아온 날. 어르신은 가장 반가운 얼굴로 딸을 맞았다. 이 모녀 관계에서 무뚝뚝한 쪽은 딸이었다. 딸은 엄마가 상처받을 만한 말을 툭 내뱉는다. 나는 무심코 중얼거렸다. "저러면 안 되는데…."

나는 요양원에서 매일 '후회'를 읽는다. 더 찾아올 걸, 더 안아드릴 걸, 한 번이라도 사랑한다고 말할걸. 정인정 어르신의 딸도 후회했을까. 이 모녀에겐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
일러스트= 이유미 디자이너
[더 알아보기]링크를 복사해 주소창에 붙여 넣으세요. “추워 안아줘” 치매 노모의 말…난 요양원서 매일 후회한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47833

# 82세 노인 손톱 밑에 낀 변…그의 존엄은 휴지 한 칸이었다 요양원의 하루는 기저귀 케어로 시작된다. 기저귀를 자주 갈지 않으면 요로 감염이나 욕창이 생기기 때문에 요양보호사에게는 정말 중요한 업무다.

“어르신, 기저귀 갈아드릴게요.” 아기처럼 웅크리고 있는 김복남(가명·77) 어르신에게 조심스럽게 다가간다.

“아얏!” 별안간 내 머리채를 힘껏 움켜쥐는 어르신. 두피가 얼얼하고 눈앞이 캄캄하다.

“기저귀를 안 갈면 축축하잖아요. 제가 시원하게 닦아드릴게요.” 어르신은 무서운 눈으로 나를 노려본다.
일러스트=이유미 디자이너
복남 어르신은 이전 요양병원에 있을 때 자주 손이 묶여있었다고 했다. 이곳 요양원에서는 손을 묶지 않는데도 예전 기억 때문에 요양보호사의 손길을 자주 거부했다. 그에겐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 ‘화장실 휴지 한 칸의 존엄’ 더중앙플러스에서 이어진다.
[더 알아보기] 링크를 복사해 주소창에 붙여 넣으세요. 82세 노인 손톱 밑에 낀 변…그의 존엄은 휴지 한 칸이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49511

# “119 불러줘” 할머니의 직감…수양딸은 임종 자격 없었다 “안 될 것 같아, 119를 불러줘요.”
밤 기저귀를 갈려는 나를 올려다보며 김소정(가명·74) 어르신이 말했다.

벌써 한 달째 기저귀를 갈 때마다 검은 변이 보였다. 어르신은 말기 암이었다. 더 이상 치료를 원치 않아 석 달 전 요양병원에서 요양원으로 옮긴 상태였다. 어르신은 오랜 투병 생활 끝에 자신이 떠날 순간을 예감하고 있었다.

그는 독거노인이었다. 찾는 사람이라곤 이전 병원에서 그를 돌봤던 요양보호사뿐이었다. 기댈 곳 없던 어르신은 그 보호사를 '딸'이라고 불렀다. '딸'은 종종 순대나 치킨을 사 왔다.

하지만 수양딸에겐 임종의 자격이 없었다. 유품을 정리하는 것은 요양보호사의 몫이 됐다. 대부분 쓰레기봉투로 들어갔지만, 차마 버릴 수 없는 물건도 있었다.
일러스트=이유미 디자이너

부모님의 임종을 지키지 못한 것이 자녀들에게 후회와 통한의 눈물로 남곤 한다. 요양보호사에게도 돌보던 어르신이 돌아가시는 것만큼 슬픈 일이 없다고 한다. 존엄하게 생을 마감한다는 것은 무엇일까. 어떻게 하면 부모님을 잘 보내드릴 수 있을까.
[더 알아보기] 링크를 복사해 주소창에 붙여 넣으세요. “119 불러줘” 할머니의 직감…수양딸은 임종 자격 없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51051

# “요실금 팬티 죽어도 안 차” 치매 노모도 욕구 있었다 이은주 요양보호사의 어머니(78)도 지난해 치매 진단을 받았다.

명석하고 총명하던 어머니는 달라지고 있었다. 스스로 이상행동을 할까 봐 불안해했고 점점 잃어가는 기억에 혼란스러워했다.

삶에 의욕을 잃어가는 엄마를 지켜보면서 고통스러운 순간이 많았다. "죽어도 약은 먹지 않겠다" "요실금 팬티는 입지 않겠다"는 엄마를 매일 달래야 했다.

하지만 어머니가 갖고 있던 우울의 근원을 알게 되면서 큰 깨달음을 얻게 되는데….
일러스트=이유미 디자이너
행복을 향한 모녀의 감동적인 동행기는 더중앙플러스에서 만날 수 있다.
[더 알아보기] 링크를 복사해 주소창에 붙여 넣으세요. “요실금 팬티 죽어도 안 차” 치매 노모도 욕구 있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52703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39665 '출산율 1명 붕괴' 도쿄, 자체개발 만남 앱 가동 랭크뉴스 2024.06.05
39664 여성 폭행해 갈비뼈 부러뜨린 보디빌더 처벌 세지나… 검찰 "더 무거운 형 선고돼야" 랭크뉴스 2024.06.05
39663 22대 국회, 헌정사상 첫 야당 단독 개원…우원식 국회의장 선출 랭크뉴스 2024.06.05
39662 미 폭격기 B-1B…7년 만에 한반도서 JDAM 투하 랭크뉴스 2024.06.05
39661 벌초하던 낫 꺼내 들고 지하철서 난동 부린 80대男 랭크뉴스 2024.06.05
39660 외신도 주목한 최태원·노소영 '세기의 이혼' 판결…"적대적 인수합병 표적·헤지펀드 위협 가능성 " 랭크뉴스 2024.06.05
39659 현장학습 후 돌아오던 초등생 탄 버스 2대 등 4중 추돌…8명 이송 랭크뉴스 2024.06.05
39658 할머니도 월 400만원 번다…경단녀가 찾은 제2의 직업은 랭크뉴스 2024.06.05
39657 ‘이선균 수사 정보’ 최초 유출한 검찰 수사관 구속영장 기각 랭크뉴스 2024.06.05
39656 재래시장 가니… 사과·배 사라지고 파파야·두리안이 딱 랭크뉴스 2024.06.05
39655 전공의들 버티기, 왜?…“보상 줄고, 경쟁 심해질 거란 위기의식 탓” 랭크뉴스 2024.06.05
39654 최재영 “지지율 올릴 대책 특강하고 싶다”…김건희 “만들어보겠다” 랭크뉴스 2024.06.05
39653 지드래곤, 카이스트 기계공학과 교수 됐다…2년간 특강 등 진행 랭크뉴스 2024.06.05
39652 블룸버그 “SK, 적대적 인수합병·헤지펀드 위협 현실화” 랭크뉴스 2024.06.05
39651 '이것' 덕에 전세계 슈퍼리치들 급증…슈퍼리치 자산도 '역대급' 급증 랭크뉴스 2024.06.05
39650 검찰, 친구 살해 여고생에게 항소심서 20년 구형 랭크뉴스 2024.06.05
39649 이커머스 시대, 신세계는 왜 '자체 물류센터'를 줄일까 랭크뉴스 2024.06.05
39648 2차전지주 실적 회복 기대감…'팔자' 외치던 외국인 돌아왔다 랭크뉴스 2024.06.05
39647 삼성·청담·대치·잠실 토지거래허가구역 재지정 보류 랭크뉴스 2024.06.05
39646 최재영, 김 여사 측근과 ‘접견 조율’…“‘대통령 시계’ 받았다” 주장 랭크뉴스 2024.0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