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일 오후 서울 강남하이퍼학원 본원에서 열린 의대 정원 확정 분석 설명회를 찾은 학부모들이 관련 상담을 받고 있다. 연합뉴스
의과대학 증원 절차가 마무리되고 본격적인 ‘입시의 시간’이 시작됐다. 의대 입학의 문이 넓어지면서 일부 지방의대에서는 수시 미달 사태가 벌어질 수도 있다는 전망도 나왔다.



의대 증원 여파, “의대조차 수시 미달 우려”
김영희 디자이너
2일 교육부에 따르면, 올해 대입에서 의대 정원을 늘리는 대학 32곳 중 31곳에서 학칙 개정이 완료됐다. 나머지 한 곳인 연세대 미래캠퍼스는 이번 주 중에 학칙 개정을 마칠 예정이다. 사실상 의대 증원을 위한 모든 행정 절차는 마무리된 셈이다. 오는 9월 9일 수시모집 원서 접수를 시작으로 전국 39개 의대(차의과대 제외)는 전년 대비 1497명 증가한 4610명의 신입생을 선발할 계획이다.

입시업계에선 지역인재전형이 대폭 확대되면서 의대에서조차 수시 모집인원을 다 채우지 못하는 미달 사태가 생길 수 있다고 예상했다. 지난해 비수도권 의대 26곳이 수시모집에서 지역인재로 선발한 인원은 총 800명으로, 당시 8369명이 지원해 10.46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올해 선발 인원은 1549명으로 전년보다 2배 가까이 늘었다. 지난해 지원자 수를 대입할 경우 올해 경쟁률은 5.4대 1로 반 토막이 난다.

종로학원은 올해 비수도권 의대 26곳 중 17곳(65%)이 지역인재전형에서 6대 1 미만의 경쟁률을 기록할 것으로 추정했다. 수시모집에서는 수험생이 최대 6곳까지 원서를 쓸 수 있어 경쟁률 6대 1을 ‘사실상 미달’로 간주한다. 이런 의대는 지난해에 3곳에 불과했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작년처럼 평균 경쟁률 10을 넘기기 위해선 지원자가 8369명에서 1만 6204명으로 늘어야 하지만 이 인원까지 확대될지는 현재로써는 예상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지역인재 선발 인원이 늘어난 만큼 지원자 수가 증가하기 어려운 건 지원 요건이 제한적이기 때문이다. 지역인재전형은 의대가 있는 권역 내 고교 출신 졸업자만 지원할 수 있어 지원자의 수가 한정돼있다. 또 수능 최저 등급을 맞추는 게 까다롭기 때문에 지역 내 모든 학생이 지원하기 어려운 측면도 있다. 임 대표는 “일반고 학생보단 내신은 불리하더라도 수능에 강점을 보이는 지역 내 명문 자사고나 명문 일반고 학생들이 최종 합격할 가능성이 크다”고 했다.



국립대 총장 “최저 낮추면 의대 가치 하락할 수도”
신재민 기자
앞으로도 계속 의대 증원을 반영한 입시 전형을 짜야 하는 대학들의 고심도 깊어지고 있다. 더 많은 지원자를 받기 위해 문턱을 낮췄다가는 자칫 의대의 경쟁력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경북대 관계자는 “지역인재 선발 비율을 논의할 때 합격자의 질적 수준이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우려도 있었다”며 “올해 입시 결과를 토대로 향후 지역인재 전형을 더 확대할지를 검토할 예정이다”고 말했다.

수능 최저 등급을 일종의 ‘안전장치’로 여기는 대학들도 있다. 지역인재 선발 의무가 있는 26곳의 비수도권 의대는 올해 대입에서도 모집인원의 95%(1471명)에 수능 최저 등급을 요구했다. 지난해와 비교했을 때 수능 최저 기준을 완화한 대학은 동국대(와이즈캠퍼스)가 유일했다. 한 국립대 총장은 “수능 최저 등급까지 낮추면 지역의대의 가치가 더 떨어질 수 있다”며 “수능 최저를 완화해서 수시와 지역인재를 많이 뽑는 게 능사가 아니고 입학하는 학생들의 자긍심도 유지해줘야 한다”고 말했다.

대학들은 설사 수시에서 미달 사태가 나더라도 학생 선발 자체에는 문제가 없다고 본다. 수시모집에서 미충원이 발생할 경우 선발 인원을 정시 전형으로 이월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학부모 “‘인서울 의대’ 가치 더 높아졌다”
수험생과 학부모들은 지역인재 선발 확대로 오히려 ‘인서울 의대’의 가치가 상승할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서울에 있는 8곳의 의대는 증원에서 제외된 만큼 입학생 수준과 무관하고 상대적으로 ‘졸업장’의 희소성이 더 높아질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지방의대에 자녀를 보낸 서울 강남의 한 학부모는 “그동안 의대는 학벌보다는 전공과 의사 능력이 중요했는데 이제는 의사 학벌을 많이 볼 것 같아 아이도 반수를 해서 인서울 의대로 가려고 한다”고 말했다. 또 다른 수험생 학부모는 “2000명이 늘어난다면 무조건 인서울 의대에 가야 한다는 이야기를 한다”며 “앞으로는 학교 이름에 따라 의사 소득이 달라질 것 같다”고 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39819 이재명 인천 선거 유세 현장, 흉기 소지한 20대 남성 검거 랭크뉴스 2024.03.28
39818 여당, 대통령이 거부했던 간호법 재발의···“그땐 과정이 비민주적” 랭크뉴스 2024.03.28
39817 한동훈 "이재명·조국 감옥 가기까지 3년은 너무 길다"(종합2보) 랭크뉴스 2024.03.28
39816 백두산, 결국 중국명 ‘창바이산’으로 세계지질공원 등재…정부 “동향 주시” 랭크뉴스 2024.03.28
39815 수상한 배우자 수임료, 아들 부동산 증여…박은정·공영운 재산 논란에 홍역 랭크뉴스 2024.03.28
39814 인천 이재명 유세 현장서 ‘흉기 소지’ 남성 검거 랭크뉴스 2024.03.28
39813 [영상]"정치 개같이" "범죄자가 지배"…비난 쏟아낸 한동훈 랭크뉴스 2024.03.28
39812 '테라' 권도형 한국 선택에 검찰총장이 '검수완박' 비판한 까닭은? 랭크뉴스 2024.03.28
39811 한미그룹 모자(母子)의 난…이들은 왜 서로 등 돌렸나 랭크뉴스 2024.03.28
39810 ‘돌봄노동’ 둘러싼 두 가지 시선…‘최저임금 차등적용’ 가능할까? 랭크뉴스 2024.03.28
39809 복지차관 "의정 갈등 아닌 국민과 특권적 의사집단 간 싸움" 랭크뉴스 2024.03.28
39808 "구만전자 가즈아"... 2년 3개월 만 '팔만전자' 삼전, "실적 기대" 랭크뉴스 2024.03.28
39807 ‘아들 증여’ 공영운, ‘딸 주담대’ 양문석…민주 후보들 재산 논란 랭크뉴스 2024.03.28
39806 과수원 감귤 쪼아먹은 새 200마리 폐사…범인 “주사기로 농약 주입” 랭크뉴스 2024.03.28
39805 아이돌은 페인트공, 최강희는 조갯집 알바... 제2적성 찾는 스타들 랭크뉴스 2024.03.28
39804 "가계빚 잡아라" 은행들, 금리 다시 올린다 랭크뉴스 2024.03.28
39803 이재명 유세현장서 ‘흉기 소지’ 20대 연행…“칼 갈러 가던 길” 랭크뉴스 2024.03.28
39802 유승민, 한동훈 ‘정치 개같이…’ 발언에 “보수는 품격있게” 랭크뉴스 2024.03.28
39801 "BYD 국경 넘어오면 車산업 멸종"…美 대선판까지 흔든다 랭크뉴스 2024.03.28
39800 [단독] 이광재, '불출마' 류호정과 회동…지원 유세 논의 랭크뉴스 2024.0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