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달 뒷면 통신 방해로 14시간 암석·토양 2㎏ 채취 목표
30일 착륙선 분리하고, 오전 6시 9분 하강 시작
지상관제소 지침 최소한으로 줄여 자율 명령하도록

중국 창어 6호가 2일 오전 달 뒷면에 착륙했다./상하이데일리 캡처, 중국 국가우주국(CNSA) 제공


달 뒷면의 암석과 토양 표본을 지구로 가져오는 임무를 띤 중국의 달 탐사선 창어 6호가 2일 오전 8시(현지 시각 한국시간 오전 9시) 달 뒷면 착륙에 성공했다고 중국 신화통신이 보도했다.

창어 6호는 이로써 중국의 네 번째 달 착륙선이자 지난 2019년 창어 4호에 이은 두 번째 달 뒷면 착륙선이 됐다. 창어 6호의 임무는 앞으로 48시간 안에 드릴을 사용해 2㎏의 암석과 토양을 채취하는 것이다. 계획대로 진행된다면 인류 최초로 달 뒷면 토양 표본을 담은 캡슐을 싣고 오는 6월 25일 지구로 돌아온다.

창어 6호는 지난 3일 지구를 출발해 나흘 만에 달 궤도에 도착했고, 20여 일간 점차 고도를 낮추면서 착륙 준비를 해 왔다. 창어 6호는 궤도선, 귀환선, 착륙선 등으로 구성된다. 이날 중국 국가우주국(CNSA)에 따르면 창어6호는 지난달 30일 착륙선이 궤도선과 귀환선에서 분리됐고, 이날 새벽 6시 9분 하강을 시작했다. 착륙선은 장애물 회피 시스템과 가시광선 카메라를 활용해 안전한 착륙지를 확보한 후 약 100m 상공을 맴돌며 달 표면에 접근해 자유낙하로 착지했다.

창어 6호의 착륙지는 폭 2500㎞, 깊이 8㎞인 달 남극 아이켄 분지 북동쪽에 있는 아폴로 충돌구(Apollo crater)다. 이 지역은 지난 28일 태양이 떠오르면서 보름 간의 낮 기간이 시작됐다. 다만 달 뒷면은 통신이 원활하지 않기 때문에 창어 6호의 시료 채취 시간은 14시간 정도에 그칠 것으로 보인다. 달 앞면 시료를 채취한 창어 5호는 22시간을 썼다.

시간을 절약하고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창어6호는 착륙선이 자율적으로 판단해 명령을 실행할 수 있도록 했다고 우주국은 설명했다. 중국은 앞서 창어 6호와 지구 사이의 통신 중계 역할을 하는 2호 위성 췌차오(鵲橋, 오작교)를 달 궤도에 보냈지만, ‘달 방해’로 지상 관제소와 통신 가능 시간이 짧다고 한다.

지상 관제소가 명령을 보낸 후 착륙선은 여러 작업으로 실행한 다음 센서에서 수집한 실시간 데이터를 사용해 명령이 잘 실행됐는지 평가하고 별도의 작업 없이 작동합니다. 창어 5호가 시료를 채취하는 동안 지상 관제탑에서 지침 1,000여 개를 전송했다면, 창어 6호는 지상 명령을 400건 정도로 줄였다고 한다.

달의 앞면(왼쪽)과 뒷면. 달의 앞면 검은 부분이 광활한 평원이다./나사 제공

달은 앞면과 뒷면으로 구분한다. 앞면은 ‘달의 바다’로 불리는 현무암 평원이 광활하게 펼쳐져 있으나, 뒷면은 울퉁불퉁한 산악 지대로 구성돼 있다. 과학자들은 앞면의 평원은 달 형성 초기인 40억 년 전부터 20억 년 동안 땅속 물질들이 분출돼 쌓인 것이고, 뒷면 산악 지형은 소행성들이 부딪혀 생긴 충돌구와 화산 폭발 흔적으로 본다.

지금까지 소련, 미국, 중국, 인도, 일본까지 모두 5개 국가가 달 표면 착륙에 성공했지만, 달 뒷면 시료를 채취한 국가는 없다. 달 뒷면은 표면이 울퉁불퉁하기 때문에 착륙할 공간을 확보하기 어렵고, 달의 공전과 자전 주기 때문에 태양 빛이 닿지 않는 ‘영구 음영 지역’이 존재한다. 태양 빛이 닿지 않는 ‘밤’ 기간에는 지구와의 통신도 어렵다. 미국과 소련은 모두 달 앞쪽 표면에서 시료를 가져왔다.

창어 6호에는 프랑스, 스웨덴, 이탈리아의 과학 장비가 탑재돼 있다. 프랑스와 스웨덴의 장비는 착륙선이 착지해 있는 동안 각각 달 표면에서 방출되는 라돈의 양과 달 표면의 음이온 양을 측정한다. 이탈리아 장비는 거리 측정용 레이저 역반사경이다. 창어 6호가 임무에 성공하면 세계 최초로 달 뒷면의 토양과 암석을 확보하게 된다. 이는 달과 태양계의 발달 과정을 연구하는 자료로 쓰일 전망이다.

중국의 달 탐사선 창어 6호가 세계 최초로 달 뒷면에 착륙하는 데 성공했다고 중국 신화통신이 오늘 보도했다./화면 캡처

‘창어’는 2004년 시작한 중국의 달 탐사 프로젝트의 명칭으로 중국 신화에서 불사약을 먹고 달로 날아갔다는 여신의 이름에서 따왔다. 지난 2007년 10월 중국 최초의 달 궤도선 창어1호를 쏘아 올렸고, 지난 2013년 12월 창어 3호를 발사해 달 표면에 닿았다. 중국은 이로써 소련, 미국에 이어 달 표면에 착륙한 세 번째 국가가 됐다.

중국은 지난 2018년 12월 창어 4호를 세계 최초로 달 뒷면에 착륙시켰고, 2020년 11월 창어 5호를 발사해 달 표면에 오성홍기를 게양한 후 달 시료를 확보해 귀환했다. 중국은 오는 2030년까지 두 번 더 달 착륙을 시도한다. 오는 2026년 달 남극 자원을 탐사할 창어 7호를, 2028년엔 달 기지 건설을 위한 기초 조사를 담당할 창어 8호를 발사한다. 이어 2030년까지 우주인을 태운 유인 우주선을 발사해 착륙을 시도할 계획이다.

2030년 이후에는 달 기지 구축에 나선다. 중국이 주도하는 국제달연구기지(ILRS) 프로그램에 참가하는 협정에 러시아를 비롯해 튀르키예, 베네수엘라, 파키스탄, 아제르바이잔, 벨라루스, 남아프리카공화국, 이집트, 타이, 니카라과, 세르비아가 서명했다. 중국 국가항천국(CNSA)은 이들 국가의 역할을 조정할 국제 달 연구기지 협력 기구(ILRSCO) 창설을 준비하고 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39545 서울 상가·빌라 경매 매물 쏟아진다… “15번 유찰 2억5000만원에서 1200만원으로 뚝” 랭크뉴스 2024.06.05
39544 22대 국회, 헌정사상 첫 野 단독 개원…의장단 반쪽 선출(종합) 랭크뉴스 2024.06.05
39543 친윤 핵심 이용, 문체부 2차관 검토···장미란 교체되나 랭크뉴스 2024.06.05
39542 [고수다] "윤 대통령, '뻥통' 박정희 시즌2 될라" 랭크뉴스 2024.06.05
39541 황우여 "야당, 법사위 갖고 계속 입법 강행하면 수백 건 거부권 행사될 것" 랭크뉴스 2024.06.05
39540 밀양 성폭행사건 일파만파…가해자 해고부터 식당 영업중단까지 랭크뉴스 2024.06.05
39539 [속보] 미 폭격기 B-1B 한반도 전개…7년 만에 JDAM 투하 훈련 랭크뉴스 2024.06.05
39538 [속보] 우원식, 22대 국회 전반기 국회의장 선출... 야당 단독표결 랭크뉴스 2024.06.05
39537 이수정 "밀양 가해자 부성애 글, 미성년자 위험 몸소 알기 때문" 랭크뉴스 2024.06.05
39536 삼성, 화웨이에 폴더블폰 시장 점유율 1위 내줘 랭크뉴스 2024.06.05
39535 “하수구에 불이 활활” 무심코 버린 담배꽁초의 무서움 랭크뉴스 2024.06.05
39534 액트지오 고문, ‘동해 석유’ 경제성 높냐고 묻자 “그렇다” [현장영상] 랭크뉴스 2024.06.05
39533 유은혜 전 부총리 남편, 차량서 숨진 채 발견 랭크뉴스 2024.06.05
39532 의대생·전공의 “대통령·국가에 1000억원 배상 청구” 랭크뉴스 2024.06.05
39531 [속보] 22대 전반기 국회의장에 우원식…국힘은 표결 불참 랭크뉴스 2024.06.05
39530 "불이야!"…21층부터 1층까지 문 두드려 대피 도운 고등학생 표창 랭크뉴스 2024.06.05
39529 조국혁신당, 윤석열 '석유 발표'에 "아니면 말고 식 국정전환쇼" 랭크뉴스 2024.06.05
39528 [속보] 22대 전반기 국회부의장에 민주 이학영 선출 랭크뉴스 2024.06.05
39527 우의장 "밤새는 한 있어도 7일까지 상임위 선임안 마련해달라" 랭크뉴스 2024.06.05
39526 유은혜 전 장관 남편, 자택 주차장서 숨진 채 발견…"가족 잘 부탁" 랭크뉴스 2024.0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