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항생제 내성 우려로 필요성에 ‘논란’
시행 땐 위암 발생 위험 낮출 수 있어
위장 내에 존재하는 세균인 ‘헬리코박터 파일로리’는 위염·위궤양·십이지장궤양·위선암 등을 유발하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국내에선 성인 중 약 55%가 감염된 것으로 추정되는 이 세균을 없애기 위한 제균치료의 필요성을 두고 서로 다른 견해들이 엇갈려왔다. 최근 연구에선 헬리코박터균이 다양한 질환 발병에 영향을 미치므로 치료가 필요하다는 쪽이 우세해지고 있다.



헬리코박터균은 주로 위장의 점막에 감염되는데, 특히 위암 발생률이 높은 나라에서 감염률도 더 높게 나타난다. 다만 감염됐다고 해서 특별한 증상이 나타나는 것은 아니며, 감염과 위암 발생 간의 상관관계에도 의문을 제기하는 연구도 잇따른 바 있다. 이 균을 제거하는 치료를 감염자 전체를 대상으로 일괄 시행하면 항생제 내성 문제까지 나타날 수 있다는 점에서 그간의 논쟁은 뚜렷한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김범진 중앙대병원 소화기내과 교수는 “헬리코박터균 감염은 위암 발생과 관계가 있어 제균치료가 위암 발생 위험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이에 관한 명확한 연구는 부족한 상황으로 제균치료의 필요성에 논란이 있어왔다”며 “국내에선 이 세균이 항생제에 내성을 보이는 비율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여서 제균치료 핵심 약제들에 대한 항생제 내성이 문제가 되고 있다”고 말했다.

일률적인 제균치료 시행을 두고는 의견이 엇갈리지만 치료가 꼭 필요한 경우도 있다. 소화성 궤양을 앓은 병력이 있거나, 림프종, 조기 위암의 내시경 절제술 후에는 반드시 제균치료가 필요하다고 헬리코박터 임상진료지침에서 제시하고 있다. 또 위축성 위염 환자나 위암의 가족력이 있는 환자, 일부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에게도 제균치료가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최근 연구에선 위암을 비롯해 헬리코박터균이 위험을 높이는 질환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도 밝혀지고 있다. 제균치료가 위암 발생 및 사망 위험을 낮출 수 있으며, 반대로 치료 없이 방치하면 위암 등 위장질환 외에도 당뇨병, 심혈관계질환, 치매 등 퇴행성 신경질환 발병 위험을 높인다는 것이다.

당뇨병과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에선 헬리코박터균에 감염될 경우 인슐린이 혈당을 세포 속으로 흡수시켜 혈당치를 낮추는 역할을 다하지 못하게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제시됐다. 또 헬리코박터균 감염이 인체에 과도한 면역반응을 일으켜 신경세포를 손상케 한 결과 인지기능을 감소시킨다는 연구도 나와 있다. 감염에 따른 이 같은 면역반응은 심혈관계에도 영향을 미쳐 혈관벽을 손상케 하며 죽상판이 생겨 혈관을 좁히고 혈액 흐름을 방해한다. 죽상판은 콜레스테롤 등이 굳어 딱딱해진 덩어리를 가리킨다.

김범진 교수는 “지금까지 헬리코박터 제균치료에 대한 다양한 찬반 주장이 있지만, 무증상 보균자 전체에 대해 제균치료를 시행함으로써 위암 발생률을 줄일 수 있다는 주장의 과학적 근거는 높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39160 까딱하면 발 다쳐요… 전국은 지금 '맨발의 전쟁' 랭크뉴스 2024.06.15
39159 [영상/단독] “피해자 16명 아니에요”…‘롤스로이스’ 마약처방 의사 피해자 인터뷰 랭크뉴스 2024.06.15
39158 우리는 왜 폭군에게 자발적으로 복종하는가...'집단적 자뻑' 때문이다 랭크뉴스 2024.06.15
39157 '결혼 왜 안 하니' 잔소리에 '욱'…흉기로 가족들 위협한 30대 랭크뉴스 2024.06.15
39156 "벌어봤자 빚 못 갚아"…늘어나는 벼랑 끝 사장님들 랭크뉴스 2024.06.15
39155 "벌 대신 파리가 키워"…한 그릇 13만원 '애망빙' 왜 비쌀까 랭크뉴스 2024.06.15
39154 "중년은 끔찍, 1000살처럼 보이긴 싫어"…쉰살 앞둔 '잇걸'의 멋 랭크뉴스 2024.06.15
39153 몸과 마음의 올바른 균형이야말로 진정한 럭셔리 ‘요가’[정우성의 일상과 호사] 랭크뉴스 2024.06.15
39152 "자원·인프라 협력 확대"‥'김건희 여사' 논란 지속 랭크뉴스 2024.06.15
39151 'I턴, U턴, J턴'…저마다 이유로 도시 떠나는 일본 사람들 [같은 일본, 다른 일본] 랭크뉴스 2024.06.15
39150 "이거 드세요" 순찰차 옆에 감사 편지·과자 놓고 간 초등생 랭크뉴스 2024.06.15
39149 [지방소멸 경고등] 사람 떠나고 빈집만 덩그러니…이웃을 잃었다 랭크뉴스 2024.06.15
39148 한동훈 말고 '뉴페이스' 없나...'어대한' 굳어지자 커지는 견제론 랭크뉴스 2024.06.15
39147 학생인권이 교실을 무너뜨릴까?[뉴스레터 점선면] 랭크뉴스 2024.06.15
39146 전차군단 위용 되찾은 독일, 개막전서 스코틀랜드 5-1 완파[유로2024] 랭크뉴스 2024.06.15
39145 尹 "韓-우즈벡, 협력 잠재력 더 키우고 미래로 갈 것" 랭크뉴스 2024.06.15
39144 "폐암 정기검진 하면 조기진단율 2배 높아지고 사망률은 감소" 랭크뉴스 2024.06.15
39143 '휴진 들불' 진화 나선 정부·국회…극적 타협 가능성은? 랭크뉴스 2024.06.15
39142 "구조신호도 못 보내고 죽어"…제주 '바다 블랙홀' 낚시 주의보 랭크뉴스 2024.06.15
39141 늙으면 왜, 한여름에도 춥다고 할까? 랭크뉴스 2024.0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