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본인·김건희 방탄’ 몰두에 이른 ‘레임덕’ 자초 지적
“지지 하락 지속 시 국민이 포기한 대통령 될 수도”
윤석열 대통령이 30일 충남 천안 재능교육연수원에서 열린 제22대 국민의힘 국회의원 워크숍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천안/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의 직무수행 긍정평가가 21%로 취임 뒤 최저치를 기록했다. 4·10 총선의 국민의힘 참패 이후에도 형식적인 ‘소통’만 내세울 뿐, 제대로 된 성찰 없이 자신과 김건희 여사 ‘방탄’에 몰두하느라 조기 레임덕을 자초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갤럽이 지난 28~30일 전국 만 18살 이상 1001명을 전화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조사한 결과(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 응답률 11.1%), 윤 대통령의 직무수행 긍정평가는 21%, 부정평가는 70%로 나타났다. 긍정평가는 취임 뒤 최저치, 부정평가는 취임 뒤 최고치다. 일주일 전보다 각각 3%포인트씩 내리고 오른 결과다.

긍정평가 21%는 미국산 쇠고기 수입 재개 파동과 촛불집회 등으로 2008년 6월 이명박 당시 대통령이 기록한 것과 같은 수치로, 사실상 정상적인 국정 운영이 불가능한 상황으로 평가된다. 최창렬 용인대 특임교수는 “임기가 3년이나 남아서 그렇지, 임기 말에 이 정도 긍정평가가 나왔다면 ‘식물 대통령’이라고 단정 지을 정도의 지지율”이라고 말했다.

이런 상황은 주로 ‘윤석열 리스크’에 기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부정평가 이유를 보면, ‘경제·민생·물가’(15%), ‘외교’(6%) 같은 구조적인 요인도 있지만, 그보단 ‘거부권 행사’(6%), ‘해병대 수사 외압’(4%), ‘김건희 여사 문제’(3%) 같은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윤 대통령 부부의 문제가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 장덕현 한국갤럽 연구위원은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부정평가 이유로 ‘채 상병 수사 외압’과 ‘거부권’ 관련 언급이 많아, 긍정평가 하락에 영향이 있을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소통 미흡’(9%), ‘전반적으로 잘못한다’(7%), ‘독단적·일방적’(6%), ‘경험·자질 부족, 무능함’(4%)처럼, 4·10 총선 이후에도 변함없이 꼽히는 부정평가 이유들 역시 윤 대통령 개인의 문제다. 윤 대통령의 전통적 지지층에서 긍정평가가 60대 이상 30%(전주 대비 11%포인트 하락), 대구·경북 35%(전주 대비 3%포인트 하락)에 그쳤다는 점도 뼈아픈 대목이다.

대통령실은 ‘야당의 공세’를 탓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부정평가 이유로 꼽힌 ‘경제·민생·물가’는 지표상으로 개선되고 있고, ‘소통 미흡’은 취임 2주년 기자회견이나 제1야당 대표와의 회동, 출입기자단 김치찌개 만찬 등을 열면서 개선하고 있는 부분”이라며 “그런데도 야당이 공세를 퍼붓는 ‘채 상병 특검법’에 가려지면서 지지율 하락으로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야당은 “자업자득”이라고 지적했다. 김성열 개혁신당 수석대변인은 “대통령 자신과 가족의 방탄을 위해 무리하게 거부권을 휘둘러댄 윤석열 정부의 현주소가 여실히 드러났다”며 “아직은 ‘중간고사’지만, 지금이라도 태도를 바꾸지 않으면 꼴찌를 벗어날 수도 없고 결국 졸업이 어려울 수도 있다”고 논평했다.

여론조사기관 조원씨앤아이의 김대진 대표도 “보수 진영, 대구·경북도 (지지가) 무너진 상황”이라며 “특검법 등 거부권 행사가 일시적인 하락을 가져왔을 수 있으나 이런 추세가 계속된다면 레임덕을 넘어 국민이 포기한 대통령이 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30792 4만명도 안 남은 '6·25 용사'…참전수당은 고작 月42만원뿐 랭크뉴스 2024.06.06
30791 “AI칩 독과점 개선”…‘인텔 연합’ 뭉치나 랭크뉴스 2024.06.06
30790 “김호중은 아들, 팬들은 엄마… 어떻게 버리겠어요” 랭크뉴스 2024.06.06
30789 ‘북한 오물 풍선 피해 보상’ 가능하도록 법 개정되나? 랭크뉴스 2024.06.06
30788 ‘채 상병 사망’ 국방부 재검토 때 나온 ‘엇갈린 진술’ 최종보고서에선 빠져 랭크뉴스 2024.06.06
30787 '밀양 성폭행' 피해자 측 "가해자 공개 동의 안해…당황스럽다" 랭크뉴스 2024.06.06
30786 헌정사 첫 야당 단독 국회 개원…22대 시작부터 파행 랭크뉴스 2024.06.06
30785 ‘유전 사업성 의문’ 작년엔 탐사 ‘철수’ 랭크뉴스 2024.06.06
30784 캐나다 중앙은행 4년여만에 금리 인하…4.75%로 0.25%p↓ 랭크뉴스 2024.06.06
30783 '암흑' 우크라…전쟁으로 발전설비용량 55→20GW 급감 랭크뉴스 2024.06.06
30782 조선왕실 최고보물 경복궁 땅 밑에…뒤집어진 거대한 ‘정조 현판’ 랭크뉴스 2024.06.06
30781 한강에서 호화 파티 투자자 모집‥'4천억원대 유사수신' 아도인터내셔널 검거 랭크뉴스 2024.06.06
30780 교감 뺨 때린 초등생 엄마 “진위 가릴 가능성 있다” 랭크뉴스 2024.06.06
30779 KBS 결국 입장 밝혔다…"천재 김호중에 관용을" 팬 호소에 남긴 말 랭크뉴스 2024.06.06
30778 [단독]HBM 소부장 R&D, 30~50% 稅공제 추진 랭크뉴스 2024.06.06
30777 교감 따귀 때린 초등 3학년‥"폭탄 돌리기 이제 그만" 랭크뉴스 2024.06.06
30776 美 보잉 '스타라이너' 첫 유인 시험비행 이륙 랭크뉴스 2024.06.06
30775 길 가다 시뻘건 하수구에 '경악'…"진짜 정신머리 없다" 시민들 분노 랭크뉴스 2024.06.06
30774 베트남 며느리 성폭행하려 한 시아버지…남편은 신고 막았다 랭크뉴스 2024.06.06
30773 “모디 인도 총리 ‘3연임’ 성공···8일 취임식 예상” 랭크뉴스 2024.0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