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작년 하반기 외국인 보유주택 4천230가구 증가…이 중 71% 중국인이 사들여
외국인 보유토지 53%는 미국인 소유…중국·유럽·일본인 순
국토부, '외국인 주택·토지 보유통계' 발표


서울 아파트
(서울=연합뉴스) 류효림 기자 = 사진은 26일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 모습. 2024.5.26 [email protected]


(서울=연합뉴스) 박초롱 기자 = 외국인이 보유한 국내 주택의 55%가 중국인 소유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하반기 외국인 소유 국내 주택은 4천230가구 늘었는데, 이 중 71%를 중국인이 사들였다.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12월 말 기준 외국인 주택·토지 보유 통계를 31일 발표했다.

정부가 외국인 주택 보유 통계를 공표한 것은 이번이 세 번째다. 윤석열 정부가 '외국인의 투기성 주택거래 규제'를 국정과제로 제시하면서 작년부터 통계 공표가 시작됐다.

작년 말 기준으로 외국인이 소유한 국내 주택은 9만1천453가구로, 6개월 전보다 4천230가구(4.8%) 늘었다. 전체 주택의 0.48%에 해당한다.

주택을 소유한 외국인은 8만9천784명으로 확인됐다.

외국인 소유 주택 중에선 중국인 소유가 5만328가구(55.0%)로 가장 많았다. 중국인 소유 주택의 대부분인 4만8천332가구가 아파트였고, 단독주택은 1천996가구였다.

중국인 보유 주택은 6개월 전보다 3천1가구(6.3%) 늘었다. 작년 하반기 증가한 외국인 보유 주택의 70.9%를 중국인이 사들인 것이다.

중국인 다음으로는 미국인 2만947가구(22.9%), 캐나다인 6천89가구(6.7%), 대만인 3천284가구(3.6%), 호주인 1천837가구(2.0%) 순으로 국내 보유 주택이 많았다.

외국인 주택소유 현황
[국토교통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외국인이 보유한 주택 73.0%는 수도권에 있었다.

경기도 소재 주택이 3만5천126가구(38.4%)로 가장 많고, 서울 2만2천684가구(24.8%), 인천 8천987가구(9.8%)가 뒤를 이었다.

시군구별로는 경기 부천(4천671가구), 안산 단원(2천910가구), 시흥(2천756가구), 평택(2천672가구), 서울 강남구(2천305가구) 순이었다.

외국인 주택 보유자의 93.4%가 1주택자였으며, 2주택 소유자는 5.2%(4천668명)였다. 3주택 소유자는 578명, 4주택 194명, 5주택 이상은 449명이었다.

외국인 토지보유 추이
[국토교통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외국인이 보유한 국내 토지 면적은 지난해 말 2억6천460만1천㎡로 6개월 전보다 0.2% 증가했다.

이는 전체 국토 면적의 0.26%를 차지한다.

보유 토지 공시지가는 총 33조288억원으로 1년 새 0.4% 증가했다.

외국인 보유 토지 면적은 2014∼2015년 높은 증가율을 보였으나, 2016년 증가 폭이 둔화한 이후 지금까지 완만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외국인 보유 토지 중 미국인 보유 면적이 53.5%를 차지했으며, 중국인(7.9%), 유럽인(7.1%), 일본인(6.2%) 순으로 보유 토지가 많았다.

미국인과 중국인의 토지 보유 면적은 1년 전보다 각각 0.1%, 0.7% 늘었다.

지역별로는 경기도 소재 토지가 외국인 보유 전체 토지 면적의 18.4%를 차지했다. 이어 전남(14.8%), 경북(13.7%) 순으로 보유 면적이 컸다.

토지 보유 외국인 중 55.7%는 교포였다. 외국 법인이 33.9%, 순수 외국인은 10.2%였다.

토지 용도별로는 임야·농지 등 기타 용지(67.6%)가 가장 많았고, 공장용지(22.2%), 레저용지(4.5%), 주거 용지(4.1%) 순이었다.

국토부는 외국인의 토지·주택 보유 통계와 거래 신고 정보를 연계해 불법 행위가 의심되는 이상 거래를 올해 6월부터 11월까지 조사한다.

이를 통해 외국인의 부동산 투기 거래를 관리한다는 계획이다.

외국인 토지보유 현황
[국토교통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30641 하늘을 지배하는 GE·롤스로이스·P&W…한화·두산 ‘도전장’ 랭크뉴스 2024.04.19
30640 '1500명 조정설'에도 의료계 싸늘…"증원 백지화 없인 복귀 없다" 랭크뉴스 2024.04.19
30639 [환율 다시 1400원]③ “지금보다 더 오를 여력 있지만… 2022년 만큼은 아냐” 랭크뉴스 2024.04.19
30638 "부모 죽여달라" 의뢰했다가…돈 뜯기고 협박 당한 10대女 랭크뉴스 2024.04.19
30637 이스라엘, 이란 본토 심야 공습…이란 측 "이스파한 핵시설 무사" 랭크뉴스 2024.04.19
30636 정부, ‘의대증원 규모 조정’ 대학총장 건의 받아들일 듯 랭크뉴스 2024.04.19
30635 미 언론 “이스라엘, 이란 ‘제한적’ 공격…미국에 사전 통지” 랭크뉴스 2024.04.19
30634 청소년에 술 팔면 영업정지 2개월서 7일로 랭크뉴스 2024.04.19
30633 "연어회에 술판?" 김성태에 묻자 "비상식적‥이화영 건강하라" [현장영상] 랭크뉴스 2024.04.19
30632 이란 당국자 “이스라엘 미사일 공격 없어, 폭발음은 방공망 활성화 때문” 랭크뉴스 2024.04.19
30631 "이제 코딩까지?"···이과생 모시는 은행 채용시장 랭크뉴스 2024.04.19
30630 [속보] "이란 소식통, 외국의 공격 보도 부인"<로이터> 랭크뉴스 2024.04.19
30629 갤럽도 尹지지율 11%p 급강하‥긍정평가 23% '역대 최저치' 랭크뉴스 2024.04.19
30628 ‘이스라엘, 이란 타격’ 보도에 코스피 급락, 환율 18원 급등 랭크뉴스 2024.04.19
30627 부산 파라다이스 카지노서 잇단 당첨…직원·손님 짜고 빼돌렸다 랭크뉴스 2024.04.19
30626 조국혁신당, 윤 대통령 ‘4·19 도둑 참배’ 비판···이재명·조국은 기념식 참석 랭크뉴스 2024.04.19
30625 조국혁신당 “윤 대통령, 4·19 도둑 참배” 비판···이재명·조국은 기념식 참석 랭크뉴스 2024.04.19
30624 [속보] 이란 고위 사령관 "피해 발생 없어"<로이터> 랭크뉴스 2024.04.19
30623 [일문일답] 이창용 “유가 오르면 하반기 전기요금 인상될 수도… 정상화돼야” 랭크뉴스 2024.04.19
30622 여친 성폭행 막다가 '11세 지능' 됐는데…법정 선 범인이 꺼낸 말 랭크뉴스 2024.0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