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민주당 ‘종부세 완화·폐지’ 포문
국민의힘은 “상속세·금투세도”
지난해 관리재정수지 87조 적자
복지 축소·불평등 심화 등 우려


여야가 22대 국회에서 감세 논의를 본격화할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민주당이 종합부동산세 완화·폐지론을 꺼냈고, 국민의힘은 종부세 완화에 더해 상속세 완화와 금융투자소득세 폐지를 주장하고 있다. 지난해 56조4000억원의 역대급 세수 펑크를 기록하고 올해도 세수 여건이 녹록지 않아 복지·사회안전망에 대한 재정 투입이 줄어들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상황에서 여야가 감세 포퓰리즘에 빠졌다는 비판이 나온다.

민주당에서는 1주택자 종부세 폐지 주장이 거듭 나오고 있다. 장경태 최고위원은 30일 YTN 라디오에서 “종부세는 실거주 1가구 1주택에 한해 90%까지 이미 감면 혜택이 있지만, 재산세·양도세·취등록세와 통합하고 개편할 필요가 있다”며 “정책위에서 심도 있게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박찬대 원내대표가 지난 9일 1주택자 종부세 폐지를 주장했고, 고민정 최고위원은 한 발 더 나아가 종부세 자체의 폐지 필요성을 언급했다.

국민의힘은 상속세·금융투자소득세도 완화하자고 맞받았다. 추경호 원내대표는 지난 29일 “종부세 개편 논의를 적극 환영한다”며 “상속세 개편에 대해 상임위에서 집중적으로 논의하면 진전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국민의힘은 이날부터 열리는 의원 워크숍에서 종합적인 세금 개편안을 의논할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최대주주 주식의 20% 상속세 할증평가 폐지를 위한 세법개정안 마련을 검토하고 있다. 상속세는 상속금액이 30억원을 넘으면 최고세율 50%를 적용하는데, 대기업 최대주주가 상속받은 주식에 20%를 할증해 최고세율 60%를 적용한다. 할증이 폐지되면 기업 총수의 상속세 부담이 그만큼 줄어든다. 가업상속 공제 대상이나 한도를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가업상속 공제는 매출액 5000억원 미만의 중소·중견기업을 10년 이상 경영한 사업자가 자식에게 가업을 물려줄 때 상속재산에서 최대 600억원까지 과세가액을 빼주는 제도다.

정부·여당은 내년 시행을 앞둔 금투세 폐지도 추진한다. 금투세는 국내 주식투자 수익이 연 5000만원 이상 나면 거두는 세금이다. 미국, 영국, 독일, 일본 등 주요 선진국은 주식투자로 생기는 소득에 과세하고 있다. 이자·연금소득 등 소득이 있는 곳에 세금이 있다는 원칙에서 유독 주식소득만 예외를 인정하는 것은 과세 형평성에 맞지 않기 때문이다. 여야는 지난해 주식 거래 시 내는 증권거래세율을 0.23%에서 내년엔 0.15%로 차츰 인하하는 대신 2년 유예기간을 거쳐 금투세를 도입하기로 합의했다. 증권거래세 인하는 되돌리지 않은 채 금투세를 폐지하면 연 1조5000억원의 추가 세수 손실이 생긴다.

여야가 대규모 세수 결손 상황에서 감세 포퓰리즘에 빠졌다는 비판이 나온다. 지난해 56조4000억원의 사상 최대 세수 펑크로 실질적인 나라 살림을 나타내는 관리재정수지 적자는 87조원을 기록했다. 정세은 충남대 교수는 “한국처럼 양극화가 심각한 국가에서 누진적 보편증세를 해도 모자랄 상황에 어떤 형태든 감세는 포퓰리즘”이라며 “감세로 복지가 줄고 소득불평등이 커질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다만 정부·여당은 종부세 전면 폐지에는 신중한 태도다. 정점식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은 지난 28일 “야당에서 제안한 1주택자 종부세 면제는 형평성 논란이 생길 수 있고, 종부세를 폐지하면 부동산 교부세를 전액 지방에서 쓴다는 점에서 세수 감소가 우려된다”고 말했다.

정부가 종부세 전면 폐지에 소극적인 이유는 세수 부족 우려 때문이라고 전문가들은 본다. 안창남 강남대 세무학과 교수는 “종부세는 지자체 세수를 늘릴 수 있는 주요 재원”이라며 “(폐지 시) 재정 여건이 열악한 지역은 타격이 클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종부세 개편으로 지난해 종부세 고지세액은 4조7000억원으로 전년(6조7000억원)보다 2조원 줄었다. 올해는 종부세가 4조1000억원 걷힐 것으로 예상된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34290 이종섭측 "尹통화, 공개 않을 것"…박정훈측 "증거 신청해 확보" 랭크뉴스 2024.06.03
34289 “문체부 공문 보니…김 여사 동행으로 전용기·타지마할 추가” 랭크뉴스 2024.06.03
34288 ‘전공의 사직서’ 수리 허용한다…면허정지 처분도 재개 ‘가닥’ 랭크뉴스 2024.06.03
34287 일본·EU, 중국 수소·풍력·태양광 견제…조달규범 만든다 랭크뉴스 2024.06.03
34286 대통령실 “남북 신뢰 회복 때까지 9·19 군사합의 효력 정지” 랭크뉴스 2024.06.03
34285 "환영합니다" 한 마디에 체크 완료…승무원이 승객들에게 인사하는 '진짜' 이유 알고 보니 랭크뉴스 2024.06.03
34284 몬테네그로 법무 "권도형 인도국, 내가 유일한 결정권자" 랭크뉴스 2024.06.03
34283 尹 "한국은 아프리카의 진실된 친구…함께 성장하겠다" 랭크뉴스 2024.06.03
34282 "여학생 1년 조기 어쩌고" 조세연 홈피에 쏟아진 분노의 비판글 보니 랭크뉴스 2024.06.03
34281 "경기도민이 왜 서울시장을?"...중진 친명 '당원 정치' 우려 목소리, 시험대 오른 이재명 랭크뉴스 2024.06.03
34280 강형욱도, 민희진도 여기서 터졌다…사내 메신저의 비밀 랭크뉴스 2024.06.03
34279 가족결합 확대·넷플릭스 제휴…이통사 상품·서비스 경쟁 랭크뉴스 2024.06.03
34278 조국혁신당, '피의자 윤석열' 공수처 고발‥"휴대전화 압수해라" 랭크뉴스 2024.06.03
34277 달리는 트럭에서 맥주병 수십상자 떨어져 '와장창'(종합) 랭크뉴스 2024.06.03
34276 '야스쿠니신사 낙서'에 中 "日 침략 역사 반성해야" 랭크뉴스 2024.06.03
34275 北 '오물 풍선' 공방... "文 위장 평화쇼 탓" "尹 위기 돌파구" 랭크뉴스 2024.06.03
34274 [단독] 채상병 수사 ‘뒤집기’ 결정 전날, 용산-이종섭 보좌관 13번 연락 랭크뉴스 2024.06.03
34273 이원석, '김건희 여사 소환' 묻자 "법 앞에 예외도 성역도 없다" 랭크뉴스 2024.06.03
34272 [단독] 유엔, 윤 정부에 “여가부 장관 지체 말고 임명” 권고 랭크뉴스 2024.06.03
34271 ‘삐라-오물풍선’ 맞불, 언제든 또 터진다…서해 NLL 충돌 우려 랭크뉴스 2024.0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