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공수처, 김계환-방첩부대장 통화 복구
'VIP 격노설' 관련 대화 세번째 청취자
격노설 전달자, 격노 직접 청취자 중요
윤석열 대통령이 2022년 12월 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장성 보직 신고 및 삼정검 수치 수여식에서 김계환(오른쪽) 해병대사령관의 삼정검에 수치를 달아준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해병대원 사망 사건을 수사하는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가 김계환 해병대사령관으로부터
'VIP(윤석열 대통령) 격노설'을 들었던 세 번째 '내부자'의 신원을 특정
했다.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대령), 김 사령관 주재 회의에 참석한 해병대 장교 외에, 또 다른 해병대 간부다. 김 사령관 휴대폰에서 나온 이 증거로 인해, 군과 대통령실이 '대통령의 격노'를 타개하기 위해 해병대 수사단 조사에 개입했다는 의혹이 더 짙어지게 됐다.

29일 한국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공수처는 김 사령관의 휴대폰을 포렌식한 뒤 김 사령관과 해병대 방첩부대장 A씨의 통화 녹음파일을 복구했다. 이 녹음파일에는 김 사령관과 A씨가 'VIP 격노설'과 관련해 대화하는 내용이 담긴 것으로 전해졌다. 김 사령관의 통신기록에 따르면 A씨는 지난해 7월 31일 낮 12시 31분, 8월 2일 오후 1시 26분 등 김 사령관과 최소 두 차례 통화했다.

해병대 간부가 'VIP 격노'를 들은 정황이 드러난 건 이번이 세 번째다. 박 대령은 김 사령관이 임성근 전 해병대1사단장 등 8명의 업무상과실치사 혐의를 인정한 수사기록의 경찰 이첩 보류를 지시하며, 그 원인으로 윤 대통령의 격노를 지목했다고 주장해왔다. 최근엔 또 다른 해병대 간부 B씨가 공수처에 나와 "김 사령관으로부터 지난해 8월 1일 오전 해병대 내부 회의에서 'VIP 격노설'을 들었다"는 취지로 진술했다. 공수처는 김 사령관의 휴대폰을 포렌식한 뒤 B씨 진술을 뒷받침할 녹음파일을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대통령의 격노는 그 자체로 위법행위는 아니지만, 대통령실과 군 관계자들이 박 대령의 수사 결과에 부당한 압력을 행사했을 수 있는 '충분한 동기'가 된다
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본보가 확보한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의 통신기록에 따르면 이 전 장관은 지난해 7월 31일 오전 11시 54분 대통령실 내선 번호로 걸려온 전화로 2분 48초간 통화했으며, 윤 대통령은 지난해 8월 2일 낮 12시부터 1시 사이 이 전 장관과 18여분간 3차례에 걸쳐 통화했다.

박 전 대령 측은 A씨 조사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방첩부대는 군사정보 수집과 분석 등 군 내부를 감시하면서, 중요 사건 동향을 국방부 장관 등에게 보고하는 역할을 한다. A씨는 지난해 8월 1일 김 사령관과 박 대령이 함께 한 저녁 자리에도 참석했다. 이 자리에서는 해병대 수사단의 수사기록 경찰 이첩 여부 등이 검토됐지만, 국방부 검찰단은 A씨를 조사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공수처는
스모킹 건(결정적 증거)으로 떠오른 김 사령관의 휴대폰
분석에 공을 들이고 있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김 사령관에게 격노설을 전달한 인물은 누구인지 등에 대한 조사를 이어나갈 방침이다. 김 사령관은 대통령실 회의 당일인 지난해 7월 31일 △대통령실 내선번호 △김형래 대령(대통령실 국가안보실 파견) △임기훈 비서관 등과 통화했다.

공수처는 나아가 윤 대통령으로부터 직접 격노의 구체적 내용을 들었을 만한 인사들도 찾고 있다. 박 대령과 해병대 간부들은 VIP 격노'설'을 전해들었다'고 진술하고 있는데, 직접 경험한 내용이 아니라 남에게 들은 내용의 경우 법정에서 유효한 증거로 인정받기 어렵기 때문이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33304 [수소가 미래다]이랬다가 저랬다가…갈 길 먼 수소 생태계 탄력 받으려면 랭크뉴스 2024.06.01
33303 "너 만날 때 딴 여자도 만남"…피소女, 차두리 '양다리 카톡' 폭로 랭크뉴스 2024.06.01
33302 ‘먹다 남은 치킨’ 남의 집 앞에 버리고 튄 동네 주민…도대체 왜? 랭크뉴스 2024.06.01
33301 서울 맞벌이 가정, 네 집 중 한 집은 “우울”…하루 중 휴식은 1시간 랭크뉴스 2024.06.01
33300 [꼰차장] 시대가 변했다… 예의는 넣어둬 랭크뉴스 2024.06.01
33299 尹 "광주-완도 고속道 추진"…'땅끝' 해남, 국도1호선 시작점 될까 랭크뉴스 2024.06.01
33298 홍준표, '최태원 재산분할 1.3조 판결'에 "그 정도는 각오해야" 랭크뉴스 2024.06.01
33297 '돌아이'에 물 먹여주고 산책까지…반려돌에 힐링받는 MZ들 랭크뉴스 2024.06.01
33296 아기 낳자마자 분리수거장에 버린 비정한 친모... 긴급체포 랭크뉴스 2024.06.01
33295 훈련병 죽음 부른 ‘얼차려’…심각한 근육통에 소변량 줄면 의심해야 랭크뉴스 2024.06.01
33294 나이 들어서도 ‘없는 길’ 찾아간다, 성장하기 위해 랭크뉴스 2024.06.01
33293 전 육군훈련소장 "훈련병 사망, 육군 입 열 개라도 할 말 없어" 랭크뉴스 2024.06.01
33292 반도체의 봄이 왔다...글로벌 낸드플래시 매출 28% 급증[숫자로 본 경제] 랭크뉴스 2024.06.01
33291 뉴진스, 빌보드 선정 ‘21세 이하 영향력 있는 아티스트 21인’··· K팝 아티스트 유일 랭크뉴스 2024.06.01
33290 ‘당원 주권 강화’가 정당민주화로 이어질까 랭크뉴스 2024.06.01
33289 “자업자득”...최태원 SK 회장, 연 이자만 ‘650억’ 랭크뉴스 2024.06.01
33288 홍준표 “崔 1.3조 재산분할? 그정도는 각오해야”…노태우까지 언급한 이유 랭크뉴스 2024.06.01
33287 '4.8조' 9위 재벌, 공동창업 부인과 이혼소송…노소영보다 많을까 랭크뉴스 2024.06.01
33286 ‘세기의 이혼’ 최태원 측, 이혼 소송 판결문 유포자 고발키로 랭크뉴스 2024.06.01
33285 고객님~ 십삼만원 빙수 나오셨습니다~ 빙수값이 너무해! 랭크뉴스 2024.0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