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전 국민 25만원 지급 주장서 한발 물러서
앞서 연금개혁 소득대체율 44% 수용도
민생 이슈 주도·여권 분열 등 다양한 노림수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9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박민규 선임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9일 모든 국민에게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을 지급하겠다는 기존 주장에서 한발 물러나 차등 지원도 가능하다고 밝혔다.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여당이 제시한 소득대체율 44% 안을 받아들인데 이어 민생회복지원금 문제에서도 기존 주장을 굽히며 여권에 협의를 제안했다. 이 대표가 22대 국회 초반 선제적으로 협상 가능성을 여는 ‘의외성 전략’을 통해 정국 주도권 확보에 나설 거란 분석이 나온다.

이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민생회복지원금을 (모두에게) 반드시 똑같이 지급하라는 주장을 더는 하지 않겠다”며 “지향하는 가치가 보편 지원에 있고, 세금을 많이 낸 사람을 왜 정부 혜택에서 제외하느냐는 부당함 때문에 보편적으로 동일한 지원을 하라고 요구했지만 이게 어렵다면 차등 지원도 수용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일정 소득 이하는 정부가 100% 지원하되, 일정 소득 이상에 대해선 정부가 80% 지원하고 본인이 20%는 부담하게 한다든지, 30% 부담하고 70%만 지원한다든지 차등을 둘 수 있다”며 “안 하는 것보단 낫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 대표는 “우리가 양보할 테니 경기도 살리고 민생도 보살피는 이 정책을 대통령이 수용해달라”며 “구체적 내용을 신속하게 만나서 협의하면 좋겠다”고 말했다.

다만 추경호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국회 기자간담회에서 “민생회복지원금과 관련한 입장은 여러 차례 말씀드렸다”고 거부 의사를 재확인했다. 국민의힘은 전 국민이든 선별이든 추가경정예산 편성을 통한 지원금 지급은 어렵다는 입장이다.

이 대표는 지난 25일엔 기자회견을 열고 국민의힘에서 언급한 국민연금 소득대체율 44% 안을 전격적으로 수용한다고 밝혔다. 민주당과 이 대표는 줄곧 소득대체율 45% 안을 고수해왔다. 그는 “꼭 해야 할 일인데 시간은 없으니 불가피하게 우리 민주당이 다 양보하겠다”며 21대 국회 임기 내에 연금개혁을 완성하자고 여권을 압박했다.

민주당 관계자들의 말을 종합하면 이 대표는 고민정 최고위원이 최근 언론인터뷰를 통해 밝힌 종합부동산세(종부세) 폐지 주장에 대해서도 모든 가능성을 열어 놓고 논의해보자는 뜻을 밝혔다고 한다. 이해식 수석대변인은 지난 27일 최고위원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차제에 종부세 개편 논의는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당 지도부가 많은 것 같다”고 밝혔다. 종부세 폐지 또는 완화는 전통적으로 보수 진영에서 거론되던 이슈다.

당내에선 이 대표의 22대 국회 운영 전략의 핵심이 의외성에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정부와 여당이 예상하지 못한 카드를 내밀어 민생 이슈를 주도하고, 나아가 여권 내부의 균열을 일으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논리다. 더불어 정책적 유연성을 과시하며 중도층 유권자들의 호응을 유도하고 민주당의 수권 능력을 보여주려는 의도도 읽힌다.

민주당은 민생회복지원금 차등지원 제안을 국민의힘이 즉각 거부한 것을 비판하며 압박 수위를 높였다. 박찬대 원내대표는 이날 중소상공인 간담회에서 “정부와 국민의힘은 지원금과 관련해 반대만 하고 있다”며 “무책임하게 반대만 하지 말고 다른 대안이라도 내놓길 촉구한다”고 말했다.

연금개혁의 경우 이 대표의 소득대체율 44% 수용 발표 이후 윤희숙 전 국민의힘 의원이 “비록 필요한 개혁 일부에 불과하더라도 현재 개혁안만이라도 천금과 같은 기회가 왔을 때 처리해야 미래세대의 부담을 줄이는 길”이라고 찬성 의사를 밝히기도 했다.

민주당 관계자는 통화에서 “22대 국회에선 이 대표가 양보하고 타협하는 모습을 더 자주 볼 수 있을 것”이라며 “정책 주도권을 잡고 수권정당으로서의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33279 ‘구하라법’ 다시 살린다…서영교, 민법 개정안 대표발의 랭크뉴스 2024.06.01
33278 건강보험 의료수가 내년 1.96% 인상… 건보료 상승 전망 랭크뉴스 2024.06.01
33277 초콜릿·탄산음료·조미김 등 오늘부터 줄줄이 인상 랭크뉴스 2024.06.01
33276 최태원 SK 회장 측, 이혼 소송 판결문 최초 유포자 고발… “심각한 범죄행위” 랭크뉴스 2024.06.01
33275 게임스톱 사태 주도한 '대왕 개미' 키스 질 귀환에 밈 코인 들썩[비트코인 A to Z] 랭크뉴스 2024.06.01
33274 오늘 서울 도심 퀴어축제서 5만명 행진?…반대 집회 신고까지 랭크뉴스 2024.06.01
33273 내년 건강보험료 오르나…의료수가 1.96% 인상 랭크뉴스 2024.06.01
33272 신원식 국방장관 "북한 오물풍선, 치졸하고 저급... 강력 규탄" 랭크뉴스 2024.06.01
33271 ‘국민 안전 vs 선택권’ 해외직구 규제 논란, 무엇이 문제인가[이정희의 경제돋보기] 랭크뉴스 2024.06.01
33270 "아내·자식한테 말 안했다" 30%…'평균 21억' 로또 1등의 비밀 랭크뉴스 2024.06.01
33269 부끄러운 ‘플라스틱 공화국’… 배달 1인분에 7.39개 사용 랭크뉴스 2024.06.01
33268 “사실 이걸로 안찍었어요” 카메라 회사의 사과 랭크뉴스 2024.06.01
33267 MZ 몰릴줄 알았는데…102살 어르신이 단골 된 ‘이곳’은? 랭크뉴스 2024.06.01
33266 '4.8조' 국내 9위 재벌, 공동창업 부인과 이혼소송…노소영보다 많을까 랭크뉴스 2024.06.01
33265 ‘다음주에 기름 넣을까’ 주유소 휘발윳값, 4주 연속 하락세 랭크뉴스 2024.06.01
33264 "소매치기 저기 도망가요!"‥소리친 목격자가 바로 전과 19범 범인이었다 랭크뉴스 2024.06.01
33263 최태원 SK회장 측, 이혼 소송 판결문 최초 유포자 형사 고발 예정 랭크뉴스 2024.06.01
33262 "장난 삼아서"... 어린이 놀이터에 가위 꽂은 뒤 달아난 10대 검거 랭크뉴스 2024.06.01
33261 최태원 회장 측 "이혼 소송 판결문 유포자 경찰 고발"... 법적 대응 랭크뉴스 2024.06.01
33260 성관계 유도 후 “성범죄 신고” 협박한 20대들 실형 랭크뉴스 2024.0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