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열흘 동안 25차례 연락
윤석열 대통령,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 사진 연합뉴스

해병대수사단의 ‘채 상병 순직사건’ 조사 결과를 두고 윤석열 대통령이 오전 회의에서 격노한 것으로 알려진 지난해 7월31일부터 열흘간 대통령실에서 국방 업무를 전담한 임기훈 전 국방비서관과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의 비서 역할을 한 박진희 전 국방부 군사보좌관이 25차례 통화한 것으로 드러났다. 사실상 두 사람이 대통령실과 국방부의 대리인으로 나서 ‘핫라인’을 구축한 것이다.

한겨레가 29일 입수한 박 전 보좌관·이종섭 전 장관의 통화·메신저 내역 등을 분석해보면, 임 전 비서관과 박 전 보좌관 두 사람은 지난해 7월31일 6차례를 비롯해 8월3일(1차례), 8월4일(4차례), 8월6일(1차례), 8월7일(4차례), 8월8일(3차례) 등 통화를 이어갔으며, 국방부 조사본부가 채 상병 순직사건을 재검토하기로 결정한 지난해 8월9일엔 6차례 연락을 주고받았다. 당시 가장 뜨거웠던 핫라인이었던 셈이다.

두 사람의 통화 중 주목되는 것은 윤 대통령 격노가 있었다고 지목된 지난해 7월31일이다. 이들은 이날 오후 12시46분부터 이 전 장관과 우즈베키스탄 출장에 동행한 박 전 보좌관이 출국하기 직전인 오후 3시50분까지 약 세시간 동안 30분에 한 번꼴로 총 6차례 전화를 주고받았다.

윤석열 대통령이 재의요구권(거부권)을 행사한 ‘순직 해병 수사 방해 및 사건 은폐 등의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검사 임명 등에 관한 법률안’이 28일 국회 본회의에서 부결되자 방청석에 앉아 있던 해병대예비역연대 회원들이 항의하고 있다. 김봉규 선임기자 [email protected]

통화·메신저 내역 가운데 눈에 띄는 건 ‘임 전 비서관→이 전 장관의 통화’ ‘박 전 보좌관→김계환 해병대 사령관의 메신저’다.

임 전 비서관은 이날 오후 2시56분께 오후 출국을 앞둔 이 전 장관에게 전화를 걸어 10분 넘게 대화를 나눈다. 두 사람의 통화가 끝난지 23분 뒤인 오후 3시30분, 이 전 장관과 함께 출장을 갔던 박 전 보좌관은 김 사령관에게 “개인적으로 궁금”해서 묻는다며 “수사권이 없는 우리 군이 자체 조사해서 혐의가 있는 것으로 이첩한다는 것이 잘 이해가 안 되어서요”라는 메시지를 보낸다. 임 전 비서관과 이 전 장관 사이에 오간 내용을 박 전 보좌관이 ‘개인적인 궁금증’으로 가장해 김 사령관에게 전달한 게 아니냐는 의심이 드는 대목이다. 임성근 전 해병대1사단장을 비롯한 8명의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를 적시한 해병대수사단의 조사결과를 뒤엎고 혐의자 없이 조사 내용만 경찰에 넘기라는 취지의 뜻을 전달한 것이다.

박 전 보좌관은 ‘개인적 궁금증’을 내세웠지만, 사실은 임기훈(대통령실)→이종섭→박진희→김계환(해병대) 순서로 윤 대통령의 의중이 전달된 것으로 보인다. 윤 대통령이 이날 오전 대통령실 국가안보실 회의에서 임 전 사단장 등 8명의 혐의를 적시해 사건을 경찰에 넘긴다는 보고를 받고 역정을 낸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이다.

이후 박 전 보좌관(국방부)은 낮 3시49분께 김 사령관(해병대)에게 전화를 걸고, 통화가 마무리된 지 19초 만에 임 전 비서관(대통령실)에게도 연락한다. 해병대 쪽 분위기를 대통령실에 전달한 것으로 보인다.

박 전 보좌관과 통화를 마친 직후인 이날 오후 4시께 김 사령관은 해병대사령부 회의를 열고 이첩 보류 명령을 박정훈 당시 해병대수사단장(대령)에게 내렸다고 주장한다. 다만 박 대령 쪽은 김 사령관의 당시 지시가 명확한 이첩 보류 명령은 아니었다고 군사법원에서 맞서고 있다.

이후 김 사령관은 이날 오후 4시45분께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에 파견된 해병대 김아무개 대령에게 전화를 걸고 15분 뒤인 오후 5시에 다시 임 전 비서관과 통화한다. 국방부를 경유하는 ‘루트’가 이 전 장관의 출국으로 끊기자 ‘직통’으로 대통령실과 연락한 것으로 보인다. 이런 거미줄 같은 연락이 마무리된 뒤인 이날 오후 5시께, 박 대령은 김 사령관에게 브이이아피 격노설을 들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32989 "나 못샀는데ㅠㅠ" 뉴진스맘 민희진, 50만원대 가디건도 '품절' 랭크뉴스 2024.05.31
32988 윤아도 당한 보안요원 제지…‘인종차별’ 논란 칸영화제 결국 피소 랭크뉴스 2024.05.31
32987 “담배꽁초 불씨에 부탄가스 터져”…부산 마트서 연쇄 폭발 [현장영상] 랭크뉴스 2024.05.31
32986 “노소영에 진 최태원, 연이자만 650억” 전직 판사 관전평 랭크뉴스 2024.05.31
32985 대통령실, 종부세 개편 검토…"폐지가 바람직"(종합) 랭크뉴스 2024.05.31
32984 "펑! 퍼벙 펑!" "무슨 일이야!" 연쇄폭발에 부산 '아수라장' 랭크뉴스 2024.05.31
32983 [마켓뷰] 발목 잡은 外人에 코스피 2630선 겨우 지켜… 재산 분할 판결 SK는 올라 랭크뉴스 2024.05.31
32982 '펑' 하더니 불기둥 치솟았다…부탄가스 폭발에 아수라장, 무슨 일 랭크뉴스 2024.05.31
32981 “차 빼달라고 했는데”…여성 무차별 폭행한 전직 보디빌더 구속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4.05.31
32980 ‘펑, 펑, 펑’ 부산서 부탄가스 7300개 폭발…차량 10여대 불 타 [영상] 랭크뉴스 2024.05.31
32979 野 일부 의원들, 尹대통령 축하난 수령거절…與 "옹졸한 정치" 랭크뉴스 2024.05.31
32978 일단 튀어?…‘뺑소니’ 연 6000건인데 구속은 고작 '5%' 랭크뉴스 2024.05.31
32977 김흥국, 한동훈과 깜짝 만남…"'저는 이제 직업 없어요' 하더라" 랭크뉴스 2024.05.31
32976 하이브-민희진 불편한 동거…주가는 1.96% 하락 랭크뉴스 2024.05.31
32975 민희진 "하이브와 타협점 마련했으면… 판 뒤바꿔야" 랭크뉴스 2024.05.31
32974 인종 차별 논란 빚은 경호원 때문에 칸 영화제 피소 [뉴스픽] 랭크뉴스 2024.05.31
32973 당정, 종부세 폐지…상속세 인하 추진 랭크뉴스 2024.05.31
32972 전국 첫 외국어 법정동 ‘에코델타동’ 불승인…이유는? 랭크뉴스 2024.05.31
32971 민희진 대표 “대의를 위해 하이브에 화해 제안” 랭크뉴스 2024.05.31
32970 한동훈 "난 싸울 줄 아는 사람…나라를 위해 해야 하면 한다" 랭크뉴스 2024.0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