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수사 축소 의혹 제기되던 시점…한총리·조태용·김태효 등과도 소통

李 '독자 판단' 주장했지만…소통 배경·내용 등 수사 요구 커질 듯


조태열 외교부 장관 발언 듣는 이종섭 주호주대사
(서울=연합뉴스) 황광모 기자 = 이종섭 주호주 대사가 28일 오전 서울 종로구 외교부에서 열린 방위산업협력 주요 공관장 회의에 입장해 조태열 외교부 장관의 발언을 듣고 있다. 24.3.28 [email protected]


(서울=연합뉴스) 이보배 김다혜 권희원 이도흔 기자 =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이 해병대 수사단이 경찰에 이첩한 채모 상병 순직 사건 조사 결과를 회수한 지난해 8월 김용현 대통령 경호처장,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등과도 여러 차례 통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전 장관이 윤석열 대통령과 직접 통화한 것 외에도 대통령실 내 측근이나 정부 고위 관계자 등과 민감한 시기에 밀접하게 소통해 온 사실이 추가로 드러난 것이다.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가 수사 외압 의혹을 수사 중인 가운데, 이들이 연락을 주고받은 배경과 그 내용을 수사를 통해 규명해야 한다는 요구가 커질 것으로 보인다.

29일 연합뉴스가 확보한 통화 기록에 따르면 이 전 장관은 지난해 8월 4일부터 7일까지 나흘간 여덟 차례에 걸쳐 김 처장과 통화하거나 문자를 주고받았다.

8월 4일 오전 10시 20분과 10시 22분에 김 처장이 먼저 전화를 걸어 27초, 35초간 통화했다.

이튿날인 8월 5일에는 오전 10시 13분 김 처장이 이 전 장관에게 문자를 보냈고 이 전 장관이 오전 10시 16분(11초), 오전 10시 34분(20초), 오전 10시 56분(3분54초)에 잇달아 김 처장에게 전화를 걸었다.

이 전 장관과 김 처장은 8월 7일 오후 7시 26분(18초)과 오후 8시 23분(6초)에도 전화를 주고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당시는 해병대 수사단이 8월 2일 경찰에 이첩한 조사 기록을 국방부가 당일 오후 회수한 뒤 처리 방향 등을 논의하던 시점이다. '혐의자에서 사단장을 빼라'는 취지의 외압이 있었다는 의혹, 이 전 장관의 결재 번복 과정에 윗선이 개입한 게 아니냐는 의혹 등이 제기되던 때이기도 하다.

이처럼 민감한 시기에 국방부와 직접적인 업무 관련성이 없는 경호처장이 이 전 장관과 여러 차례 연락한 것은 이례적이란 평가가 나온다.

앞서 해병대 예비역들 사이에서는 임성근 해병대 1사단장이 김 처장 등에게 줄을 대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로 경찰에 이첩되는 것을 막은 게 아니냐는 의심이 제기된 바 있다.

김 처장은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을 지낸 육군사관학교 38기 출신으로 육사 40기인 이 전 장관보다 두 기수 선배다. 이 전 장관이 장관으로 부임하기 전부터 가깝게 지내온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윤 대통령의 충암고 1년 선배이기도 하다.

이종섭 주호주대사 방산협력 주요 공관장 회의 참석
(서울=연합뉴스) 황광모 기자 = 이종섭 주호주 대사가 28일 오전 서울 종로구 외교부에서 열린 방위산업협력 주요 공관장 회의에 입장해 조태열 외교부 장관의 발언을 듣고 있다. 24.3.28 [email protected]


이 전 장관은 이상민 행안부 장관과도 여러 차례 연락을 주고받은 것으로 파악됐다.

8월 4일 오전 10시 22분에 이 전 장관이 이 장관에게 전화를 걸어 35초간 통화했고 이튿날인 8월 5일에는 이 전 장관이 오전 10시 15분께 문자를 보낸 뒤 이 장관이 10시 28분 전화를 걸어 1분 32초간 통화했다.

8월 6일에는 오전 8시 16분(1분 53초)과 오후 9시 30분(3분 8초)에 이 장관이 이 전 장관에게 전화를 걸어 통화했고 그 중간인 오전 9시 36분과 오전 9시 37분 문자도 주고받았다. 8월 7일에는 오전 9시 13분에 이 전 장관이 이 장관에게 전화를 걸어 1분 48초간 통화했다.

두 사람 모두 국무위원인 만큼 연락을 주고받는 것이 부자연스럽지는 않지만, 해병대 수사단과 경찰 간 사건 이첩·회수를 계기로 '수사 축소 의혹'이 불붙던 시기였던 만큼 두 사람이 해병대 사건 처리 방향에 대해 논의했을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이 장관은 경찰을 지휘하는 행안부 수장이자 윤 대통령의 최측근 중 한 사람으로 꼽힌다. 윤 대통령의 충암고, 서울대 법대 후배다.

이 전 장관은 8월 2·6일 한덕수 국무총리와도 세 차례 통화했다. 방문규 당시 대통령실 국무조정실장과도 8월 3일 한 차례 문자 이후 3차례 통화했다.

여당 의원이던 신원식(7월 28일 문자 3회·통화 1회), 강대식(8월 1일 문자 3회), 성일종(8월 7일 통화 2회) 국민의힘 의원 등과도 연락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 전 장관은 윤 대통령(8월 2∼8일 4차례 통화), 조태용 당시 국가안보실장(8월 2일 문자 1회·통화 1회),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8월 8일 전화), 임종득 국가안보실 2차장(8월 4일 통화 1회), 임기훈 당시 국방비서관(7월 31∼8월 4일 통화 3회) 등과도 연락했다.

공수처 수사를 받는 피의자 신분인 이 전 장관은 그동안 이첩 회수와 항명 사건 수사 지시 등 일련의 과정을 스스로 결정했다고 밝혀왔으나, 그 전후에 대통령실 관계자들과 여러 차례 연락한 것으로 드러나면서 의구심이 커진다는 지적이 나온다.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33196 바이든 "이, 3단계 휴전안 제시"‥하마스 "환영" 랭크뉴스 2024.06.01
33195 "AI 시대 팩스·서류뭉치 웬말"... 경제 침체에 관료주의 깨부수려는 독일 랭크뉴스 2024.06.01
33194 “북한 위성발사는 비싼 불꽃놀이”…한미일, 북한 도발 대응 조율 랭크뉴스 2024.06.01
33193 "장미 목욕 꿈꿨는데" 욕조 가득 채운 치앙마이 벌레떼, 무슨 일 랭크뉴스 2024.06.01
33192 "고철 덩어리 안찍을래"…3년 설득 끝 걸작 탄생[미미상인] 랭크뉴스 2024.06.01
33191 평가제도 개편에 뒤숭숭한 한은… “하반기 인사자 불리” vs “장기연구 위해 불가피” 랭크뉴스 2024.06.01
33190 환율이 8개월 만에 60% 급등…폭망한 ‘김정은노믹스’? [뒷北뉴스] 랭크뉴스 2024.06.01
33189 [단독] 최태원측 "판결문 비공개" 요청…김시철 재판장 거부했다 랭크뉴스 2024.06.01
33188 [지방소멸 경고등] 신교대 떠나고 기차 멈추고…활기 잃은 '연천군 제3도심' 신서면 랭크뉴스 2024.06.01
33187 "다시 1989년 톈안먼 시위로 돌아간다면?" 중국인의 답변은 랭크뉴스 2024.06.01
33186 ‘수신료 분리징수 시행령’ 합헌···“TV수신료 안 내도 되나요?”[QnA] 랭크뉴스 2024.06.01
33185 사우디 펀드, 중국 AI 스타트업에 투자 단행…“美 독주 견제 관측” 랭크뉴스 2024.06.01
33184 트렌드포스 "삼성전자 노조 파업 선언, 메모리 생산 영향 없어" 랭크뉴스 2024.06.01
33183 추미애 운영위·정청래 법사위… 민주당 공격수 전진배치 '원 구성' 압박 랭크뉴스 2024.06.01
33182 넷플릭스 ‘더 에이트 쇼’, 한재림의 예술적 야심이 닿은 나쁜 종착지[위근우의 리플레이] 랭크뉴스 2024.06.01
33181 ‘K팝 댄스에서 신점까지…’ 외국인, 한국을 체험하다 랭크뉴스 2024.06.01
33180 한화 유니폼 입고 양손엔 성심당 빵…확 살아난 대전 옛 도심 랭크뉴스 2024.06.01
33179 '눈으로 먹는 게' 중요한 일본…그래도 '빛 좋은 개살구'는 싫은 한국 [같은 일본, 다른 일본] 랭크뉴스 2024.06.01
33178 한동훈 때린 홍준표 떠오른다…'안철수 저격수' 김태흠 속내 랭크뉴스 2024.06.01
33177 [김학주의 투자바이블]히피들의 저항이 재현될까 랭크뉴스 2024.0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