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대통령실·정부 관계자·여당 의원들과
채 상병 외압 국면 최소 38차례 연락
윤석열-이종섭 직접통화 후 긴밀연락
범정부적으로 사건 관리했을 가능성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해 9월 15일 인천 수로 및 팔미도 근해 노적봉함에서 열린 제73주년 인천상륙작전 전승기념식에서 인천상륙작전 재연을 지켜보며 이종섭(왼쪽) 당시 국방부 장관, 이종호 당시 해군참모총장과 이야기하고 있다. 서재훈 기자


해병대 채모 상병 사망사건에 대한 수사외압 의혹이 불거진 기간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이 대통령실·정부·여당 고위관계자들과 수십차례 연락(통화·문자)을 주고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윤석열 대통령이 이 전 장관과 직접 통화한 8월 2일 이후 이런 통화가 몰린 것으로 드러났다. 이른바 'VIP(윤 대통령) 격노' 후 사태 수습을 위해 정부 고위 관계자 등이 긴박하게 움직인 정황으로 볼 수 있는 대목이다.

29일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대령)의 항명죄 재판과 관련해 중앙군사법원에 제출된 통신사실조회회신 결과에 따르면, 이 전 장관은 지난해 7월 28일부터 8월 9일까지 대통령실·정부 고위관계자들, 여당 의원들과 최소 38차례 전화와 문자메시지를 주고받았다. 해당 기간엔 ①이 전 장관의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 등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 인정한 수사기록 경찰 이첩 보류 지시(7월 31일) ②국방부 검찰단이 박 대령이 이첩한 수사기록 회수(8월 2일) ③국방부 조사본부가 수사기록 넘겨받아 채 상병 사망사건 재검토 착수(8월 9일)가 이뤄졌다.

특히, 이 전 장관이 받은 연락 중 38번 중 30번이 지난해 8월 2일 오후 3시 이후에 몰렸다. 윤 대통령이 같은 날 낮 12시~ 오후 1시 이 전 장관에게 3차례에 걸쳐 18여 분간 직접 통화를 한 이후라는 점을 감안하면, 윤 대통령이 움직인 뒤 정부 고위 관계자 등이 사태를 수습하기 위해 긴박하게 움직였다고 볼 수 있다. 실제 박 대령은 이날 오전 이 전 장관의 지시를 어기고 수사기록을 경찰에 이첩했다가 낮 12시45분쯤 보직에서 해임됐고, 국방부 검찰단은 같은 날 저녁 경찰에서 수사기록을 회수했다.

가장 많은 연락을 한 대통령실 고위관계자는 김용현 대통령 경호처장이었다. 지난해 8월 4~7일 이 전 장관과 7차례 통화와 1차례 문자를 주고받았다. 김 처장은 군 복무 시절 이 전 장관과 친밀한 관계였던 것으로 알려진 만큼 사태 해결을 위해 이 전 장관에게 조언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외에 △방문규 당시 대통령실 국무조정실장(지난해 8월 3일 4차례 통화)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지난해 8월 8일 1차례 통화) △임종득 당시 국가안보실 2차장(지난해 8월 4일 1차례 통화) △임기훈 대통령실 국방비서관(지난해 7월 31일~8월 4일 3차례 통화) 등도 확인됐다. 임 비서관은 특히 윤 대통령이 채 상병 사건 수사 보고를 받고 '격노'한 의혹이 제기된 7월 31일 오후 3시경 이 전 장관과 11분 넘게 통화했다. 임 국방비서관은 같은 날 오후 5시 김계환 해병대 사령관에게 윤 대통령의 격노설을 전한 인물로 의심받았지만, 지난해 군검찰 조사 당시 "격노 자체가 없었다"고 부인했다.

정부 고위 관료들도 부산했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지난해 8월 2일부터 8월 6일까지 이 전 장관과 3차례 통화했다.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과 이 전 장관은 지난해 8월 4일부터 8월 7일 사이 5차례 통화와 3차례 문자를 주고받았다. 경찰청을 휘하에 두고 있는 행정안전부 수장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수사기록 경찰 이첩 및 회수의 정당성에 관해 논의가 이뤄졌을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여당 의원들도 이 전 장관과 접촉한 흔적이 발견됐다. 신원식 국방부 장관은 국민의힘 의원이었던 지난해 7월 28일 오전 이 전 장관과 3차례 문자를 주고 받고 1차례 통화했다. 해병대 수사단 조사가 진행 중이던 시기다. 강대식 의원은 지난해 8월 1일 이 전 장관과 3차례 문자를, 성일종 의원은 지난해 8월 7일 이 전 장관과 3분여간 두 차례 통화했다.

다만, 대통령의 참모인 장관으로서 이 전 장관과 정부 고위 관계자 및 의원 등과 통화하고 문자메시지를 주고 받은 것이 '채 상병 사건'만 대상으로 삼았다고 단정할 순 없다. 이 전 장관의 법률대리인 김재훈 변호사는 "대화 내역은 자세히 모르지만 당시 세계스카우트잼버리 대회 지원과 관련해서 (한 총리 등과) 대화를 나눴을 가능성이 있다"며 "국방부가 '채 상병 사건'만 관심을 쏟고 있었던 게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는 이 전 장관 등을 상대로 통화한 이유나 통화 내용 등에 대한 정확한 사실관계를 파악할 방침이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33152 생후 7개월 아들 살해 후 창밖 뛰어내린 친모…법원 ‘집유 선처’ 왜? 랭크뉴스 2024.06.01
33151 윤 지지율 21% 최저치…“거부권 남발” 원인에도 여전히 ‘남 탓’ 랭크뉴스 2024.06.01
33150 트럼프 “매우 불공정한 재판…항소할 것” 랭크뉴스 2024.06.01
33149 유익한 장내 세균 살리고 병원균만 죽이는 똑똑한 항생제 나왔다 랭크뉴스 2024.06.01
33148 대통령실 “징벌적 종부세” 완전 폐지 검토…세제 전반 손보나 랭크뉴스 2024.06.01
33147 [작은영웅] “아이가 장애3급, 수급자 가정입니다” (영상) 랭크뉴스 2024.06.01
33146 트럼프, 유죄 평결에 "매우 불공정한 재판" 랭크뉴스 2024.06.01
33145 약속대로 김흥국 만난 한동훈 “난 싸움 할줄 알아…나라 위해 할것 같으면 한다” 랭크뉴스 2024.06.01
33144 ‘오송 참사’ 유발 임시제방 부실 공사한 현장소장·감리단장 중형 랭크뉴스 2024.06.01
33143 들키자 목격자인 척…전과 19범 소매치기의 기상천외한 연기 랭크뉴스 2024.06.01
33142 김호중 ‘비틀’ 걸음걸이…국과수 “평소와 다르다” 랭크뉴스 2024.06.01
33141 한강에서 놀던 10대 소녀들 유인…유흥업소 업주들 만행 랭크뉴스 2024.06.01
33140 ‘박정훈 항명죄’ 윤 대통령이 지시했나…수사외압 의혹 중대 고비 [논썰] 랭크뉴스 2024.06.01
33139 민희진 대표가 말하는 ‘민희진의 난’, 어디로? 랭크뉴스 2024.06.01
33138 美, 자국 무기로 '러 본토 공격 허용' 공식 확인(종합) 랭크뉴스 2024.06.01
33137 “판결문에 ‘배신’?…말장난 싫다” 조목조목 반박한 민희진 랭크뉴스 2024.06.01
33136 EU, 철강 세이프가드 2년 더 연장… 2026년까지 랭크뉴스 2024.06.01
33135 한일 국방, 오늘 회담 열고 초계기 갈등 재발방지 논의할 듯 랭크뉴스 2024.06.01
33134 일본 당국, '엔저' 막기 위한 시장 개입 인정… 한 달간 86조원 썼다 랭크뉴스 2024.06.01
33133 제주서 60대 관광객 몰던 전기차 식당으로 돌진 랭크뉴스 2024.0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