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16년엔 '씨 말려버릴 구악'이라더니…사법비용 '돈가뭄'에 적극 모금
감세·규제철폐 내세워 노골적인 '거래' 종용…정치자금법 줄타기 지적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
[AP 연합뉴스 자료 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워싱턴=연합뉴스) 김경희 특파원 = 미국 공화당 대선 후보로 내정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석유재벌 등 억만장자들을 향해 감세 등을 내세워 노골적인 고액 후원을 압박하고 있다고 미국 언론이 보도했다.

28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사법 비용 부담으로 '돈 가뭄'에 시달리고 있는 트럼프 전 대통령이 그간 후원자들과 접촉을 꺼리던 태도를 완전히 바꿔 노골적으로 천문학적 금액의 지원을 요청하고 있다.

대표적 사례가 석유재벌들이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이달초 플로리다 마러라고 리조트에서 석유회사 경영자들을 만나 바이든 행정부의 환경 규제 폐기를 약속하며 자신의 재선을 위해 10억달러(약 1조3천600억원)의 지원을 요청했다.

이 자리에서 트럼프 전 대통령은 자신 덕분에 이들이 피할 과세와 규제를 고려하면 10억달러 지원은 좋은 '거래'(deal)라고 강조한 것으로 전해진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이달 또 다른 고액 후원자 모임에서는 한 기업인이 자신에게 100만달러를 후원하고 오찬을 함께하기를 원했다고 소개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나는 그와 식사를 하지 않았다"며 "여러분은 2천500만달러(약 340억원)는 내야 한다"고 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또 다른 기업인은 공화당에 200만~300만달러 정도를 후원했다"고 소개하며, 2천500만달러에서 5천만달러 정도는 지원해야 "매우 기쁠 것"이라고도 했다.

그는 바이든 대통령이 자신의 재임 시절 이뤄 놓은 '부자 감세'를 2025년 종료할 것이라고 강조하며 "바이든은 감세를 연장하지 않을 것이다. 여러분은 역사상 최대의 세금 폭탄을 맞게 될 것"이라면서 이를 피하는 방법은 자신의 재선에 힘을 보태는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고 한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2016년 대선 당시에는 정치 자금 요청 자체를 하지 않으려 했고, 2020년 대선의 경우 마지못해 후원 행사에 참여하기는 했지만 '필요악' 정도로 여겨 왔다고 WP는 전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
[로이터 연합뉴스 자료 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실제 트럼프 전 대통령은 2016년 방송 토론 당시 "개별 이익을 추구하는 사람들과 로비스트, 고액 후원자들이 정치인들을 통제하고 있다"며 "내가 누구보다 잘 안다. 나만이 이 체계를 고칠 유일한 사람"이라며 이 같은 고액 후원을 통한 은밀한 거래 관행을 '씨를 말릴 구태'로 규정한 바 있다.

신문은 "이번에는 트럼프 전 대통령이 후원금 모금에 주도적 역할을 하고 있다"면서 지난달 트럼프 전 대통령측이 바이든 대통령보다 2천500만달러 더 많은 7천600만달러(약 1천33억원)을 거둬들인 데에는 트럼프 전 대통령 공이 절대적이었다고 평가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심지어 누가 얼마나 후원금을 냈으며, 석유회사를 비롯해 부동산, 금융 등 어떤 집단들이 고액 수표를 그에게 지원하고 있는지를 면밀히 지켜보는 것으로도 전해진다.

트럼프 전 대통령의 이 같은 행동은 사실상 정치자금법의 한계를 시험하는 일이나 다름없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기술적으로 트럼프 전 대통령은 개인에게 3천300달러 이상 정치자금을 후원받을 수 없으며, 무제한 지원이 가능한 슈퍼팩의 경우 행사에 참여할 수는 있지만 구체적인 금액을 요청할 수는 없다.

특정 행위의 대가로 지원을 요청하는 행위도 금지된다.

다만 트럼프 전 대통령이 선을 넘는다 해도 민주당과 공화당이 3대3 동수인 연방선거위원회(FEC)에서 11월 대선 이전 이에 대해 조사에 나설 가능성은 사실상 전무하고, 트럼프 전 대통령이 공개 유세에서도 감세 및 규제 철폐 등 동일한 주장을 되풀이한다는 점에서 막후에서 은밀하게 이뤄지는 이 같은 '거래'가 드러날 일은 불가능하다는 것이 WP의 지적이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33074 윤 대통령 국정 지지율 21%‥취임 후 최저 랭크뉴스 2024.05.31
33073 사실상 '혐의자 축소' 지시해 놓고‥드러나는 거짓말들 랭크뉴스 2024.05.31
33072 조국 "지구당 부활이 제1과제? 도저히 동의 못해…한동훈에겐 필요" 랭크뉴스 2024.05.31
33071 민주 ‘종부세 개편’에…한술 더 뜬 대통령실 “완전 폐지가 바람직” 랭크뉴스 2024.05.31
33070 EU, 미사일 발사·러 군사지원 北 개인 6명·기관 3곳 제재 랭크뉴스 2024.05.31
33069 배우 김수미 활동 중단…피로 누적으로 입원 랭크뉴스 2024.05.31
33068 "아빠 이름 삭제할래" 헤어진 할리우드 스타 커플 딸, 法 간 이유 랭크뉴스 2024.05.31
33067 윤 지지율 21% 최저치…“대통령 부부 방탄·거부권 남발 탓” 랭크뉴스 2024.05.31
33066 "화웨이, 삼성 제치고 1분기 세계 폴더블폰 판매 1위" 랭크뉴스 2024.05.31
33065 정부 “북, 도발 멈추지 않으면 감내 힘든 조치할 것” 랭크뉴스 2024.05.31
33064 '장남 vs 막내딸' 9년 다툼에 콩가루 아워홈…판 흔든 건 '변심한 장녀' 랭크뉴스 2024.05.31
33063 수술대 오른 종부세…상속세 인하도 추진 랭크뉴스 2024.05.31
33062 ‘SG발 주가폭락 사태’ 연루 의혹 김익래·임창정 불기소 랭크뉴스 2024.05.31
33061 모자 벗고 화사해진 민희진…또 화제 모은 '가디건' 회견룩 가격은 랭크뉴스 2024.05.31
33060 “군인 50인분 백반 준비했더니”…‘군인 사칭’ 사기 주의보 랭크뉴스 2024.05.31
33059 “北, 계속 위성발사할 것…대응력 강화해야” 랭크뉴스 2024.05.31
33058 "자고 일어났더니 숨져 있었다" 전 남친이 경찰에 신고 랭크뉴스 2024.05.31
33057 '윤아' 저지한 경호원 또 '이상행동'…칸영화제 1.5억 피소 랭크뉴스 2024.05.31
33056 ‘인종차별 논란’ 그 경호원… 칸 영화제, 1.5억 피소 랭크뉴스 2024.05.31
33055 디지털 전환이 의료정책 바꾼다…“의사 말에 로봇이 수술하는 시대 대비해야” 랭크뉴스 2024.0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