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BC카드 가맹점 데이터 분석


지난해 개업한 매장 수 1357개

매출은 작년 9월 ‘고점’ 후 급락

경쟁 과열…올해 136곳 문 닫아


‘반짝 유행’ 몰리는 자영업 구조

전문가들 “앞으로도 반복될 것”


속출하는 탕후루 가게 폐업은 예고된 비극이었다. 탕후루 매출은 유행이 본격화한 지 6개월 만인 지난해 9월 고점을 찍고 이후 빠르게 줄어든 것으로 분석됐다. 대만 카스텔라 등 ‘반짝 업종’ 잔혹사의 반복은 결국 자영업자의 높은 폐업률 등 사회적 비용으로 전가돼 근본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8일 BC카드 가맹점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전국 탕후루 매출은 지난해 4월부터 폭발적으로 증가해 그해 9월 최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6개월 사이 매출액은 5.3배, 고객 수는 5.2배 뛰었다.

그러나 10월부터는 매출액과 고객 수 모두 떨어지기 시작해 지난달까지 내림세를 지속했다. 매출액이 가장 많이 빠진 달은 지난해 11월과 올 4월로 각각 전달보다 28%, 27% 감소했다. 날씨가 따뜻해지면 탕후루 인기가 회복될 것이란 일각의 기대와 달리 매출 반등은 없었다.

탕후루 매장은 폭발적으로 증가했지만, 매출액은 유행 초기 수준으로 고꾸라졌다. 행정안전부 지방행정인허가 데이터개방 통계를 분석한 결과 전국 탕후루 매장 수는 총 1795개(지난 27일 기준)로 이 중 75%(1357개)는 지난해 개업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한카드는 지난해 문 연 탕후루 매장이 전년 대비 13배에 달한다는 통계를 내놓기도 했다. 반면 BC카드 매출 분석 결과 지난달 매출액은 1년 전의 1.5배 수준에 불과했다.

롤러코스터를 타는 탕후루와 달리 디저트(커피 및 패스트푸드) 가맹점 매출은 큰 변동 없이 유지됐다. 지난해 4월 이후 디저트 매출액의 증감폭이 두 자릿수를 기록한 것은 올 3월(10.8%)이 유일했다.

전문가들은 최근 속출하는 탕후루 매장의 폐업은 8개월 전 이미 예고된 것이라 지적한다. 소위 ‘고점’을 지난 이후에도 신규 매장이 지속적으로 늘면서 경쟁만 치열해졌기 때문이다. 지난해 72개에 그쳤던 탕후루 폐업 매장은 올 들어 136곳에 달한다. 올해 개업 매장은 73개인데 이 중 21개가 이미 문을 닫았다.

전문가들은 대만 카스텔라, 흑당버블티 등처럼 반짝 유행하고 사라지는 자영업 업종의 등장은 앞으로도 지속될 것이라 경고했다. 자영업 시장을 분석한 책 <골목의 전쟁>을 쓴 김영준 작가는 “탕후루뿐만 아니라 이전에 짧게 유행한 다른 업종들의 인기도 1년이 채 못 갔다”며 “이들 업종의 특징은 커피나 마라탕처럼 다른 음식이나 아이템을 겸할 수 있는 확장성을 갖추지 못했다는 것”이라고 했다.

탕후루 매출이 꺾인 지난해 10월은 국회 국정감사에 탕후루 프랜차이즈 대표가 증인으로 출석해 당류 과다 섭취 문제를 지적받은 때이기도 하다. 김 작가는 “대만 카스텔라 몰락에도 위생 문제를 다룬 방송 프로그램이 영향을 줬다는 의견이 있는데 동의하기 어렵다”면서 “포화 상태에 이른 사업 아이템이 빠르게 소멸하는 일은 2000년대 이후 반복돼왔고 앞으로도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자영업자가 지나치게 많이 배출되는 구조적 문제를 돌아봐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김상배 금융경제연구소 연구위원은 “노후 준비가 미처 되지 못한 상태로 정년보다 이르게 퇴직하는 사람들이 늘면서, 빠르고 쉽게 돈을 벌 수 있는 것처럼 보이는 유행 업종 인기가 계속되는 것”이라며 “이 같은 창·폐업의 반복은 결국 사회적 비용을 가중할 수밖에 없어 해결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날 금융감독원은 지난해 개인사업자 폐업률이 9.5%로 전년 대비 0.8%포인트 상승했다고 발표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33015 정부 “북한 몰상식한 도발 안 멈추면 감내하기 힘든 조치” 랭크뉴스 2024.05.31
33014 러, 美 '본토타격 허용'에 강한 경고…핵무기도 거론(종합) 랭크뉴스 2024.05.31
33013 '금투세 폐지·저출생부 신설' 우선 추진…"국민과 함께 野 설득" 랭크뉴스 2024.05.31
33012 대통령실 “윤 대통령, 이종섭 통화에서 해병대원 언급 안 해…방산 논의” 랭크뉴스 2024.05.31
33011 '훈련병 사건' 중대장 직무배제 뒤 일시 귀향…군 "멘토 없어"(종합) 랭크뉴스 2024.05.31
33010 [속보] 우크라 "하르키우서 美무기 사용 '긍정 신호' 받아" 랭크뉴스 2024.05.31
33009 정부 "北 몰상식한 도발 좌시 안해…계속시 감내힘든 모든 조치" 랭크뉴스 2024.05.31
33008 대통령실, 종부세 폐지 검토…與 "상속·증여세도 손본다" 랭크뉴스 2024.05.31
33007 들통난 거짓말, 돌아선 여론···‘음주 뺑소니’ 김호중 3주 만에 검찰로 랭크뉴스 2024.05.31
33006 [속보]정부 "北, 도발 멈추지 않으면 감내 힘든 조치 취할 것" 랭크뉴스 2024.05.31
33005 정부 "북한 멈추지 않으면, 감내하기 힘든 모든 조치 취할 것" 랭크뉴스 2024.05.31
33004 [속보] 정부 "北 몰상식한 도발 멈추지 않으면 감내힘든 조치 취할 것" 랭크뉴스 2024.05.31
33003 "인도 방문 김정숙 여사, 기내식에만 6292만 원 썼다" 랭크뉴스 2024.05.31
33002 내년 대학 신입생 ‘무전공 선발’ 4배 확대…입시 전략 세우기 더 어려워진다 랭크뉴스 2024.05.31
33001 조국혁신당, 윤 대통령 축하 난 도착하자…“버립니다” 랭크뉴스 2024.05.31
33000 윤 대통령 지지율 10%대 나오면 “심리적 탄핵”···‘취임 후 최저’ 21%[한국갤럽] 랭크뉴스 2024.05.31
32999 최태원 위해 배당 늘리나…SK 주가 또 급등, 뜻하지 않은 ‘밸류업’ 랭크뉴스 2024.05.31
32998 한동훈 포문 열자 오세훈 참전…與 '지구당 부활' 찬반논쟁 가열 랭크뉴스 2024.05.31
32997 자세 낮춘 민희진 “뉴진스 위해 한수 접겠다…그만 싸우자” 랭크뉴스 2024.05.31
32996 개원하자마자 ‘특검 정국’ 끌고가는 野… 與는 저출산 등 법안 ‘우선 추진’ 랭크뉴스 2024.0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