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속 타는 건 시민들뿐인가 21대 국회 임기 종료를 하루 앞두고 마지막 본회의가 열린 28일 국회 앞 천막농성장에 ‘국민연금 개혁’을 촉구하는 시민단체의 현수막이 걸려 있다. 조태형 기자 [email protected]


연금특위 2년간 논의했지만

보험료율 수치만 겨우 합의

정부안, 작년에 확정됐어야


“구조개혁 등 다룰 것 많아”

전문가들, 처리 ‘속도’ 주문


2년의 논의를 거쳐 ‘보험료율 13%로 인상’이라는 지점까지 합의를 이뤄낸 국민연금 개혁안 처리가 결국 22대 국회로 넘어가게 됐다. 전문가들은 기금 고갈 시점이 앞당겨졌고 기초연금과 연계한 구조개혁안 등 협의할 게 많기 때문에 더 이상 연금개혁 논의를 미룰 시점이 아니라고 입을 모은다. 22대 국회 원구성이 되자마자 현재 합의된 모수개혁을 중심으로 속도감 있게 개혁안을 처리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여야 원내대표는 21대 국회의 마지막 본회의가 열린 28일까지 안건 합의에 실패했다. 김진표 국회의장이 29일 연금개혁안 통과만을 위한 원포인트 본회의를 열 수 있다고 제안했지만, 국민의힘 다수가 구조개혁을 포함해 연금개혁안을 22대 국회에서 재논의하자는 입장이라 21대 국회 내에 연금개혁안 처리는 사실상 어렵게 됐다.

윤석열 정부는 출범 당시 3대 개혁 과제로 연금·노동·교육을 내걸고 빠르게 연금개혁을 추진하겠다는 뜻을 밝혔으나, 진전이 더딘 상태다.

국회는 2022년 7월 여야 합의로 연금개혁특별위원회를 꾸렸다. 당초 연금특위 산하에 전문가들로 구성된 민간자문위원회에서 연금개혁 초안을 마련하면 정부가 2023년 10월까지 종합안을 확정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민간자문위에서 재정 안정성 강화와 노후소득 보장을 두고 위원들 의견이 갈리며 개혁안 논의가 길어졌다. 지난해 10월 보건복지부에서 내놓은 ‘제5차 국민연금 종합운영계획안’에서 연금개혁의 핵심인 보험료율과 소득대체율에 관한 구체적 수치나 방향성이 제시되지 않으며 연금개혁의 키가 다시 국회로 넘어오게 됐다. 이달 초 국회 연금특위에서 여야는 보험료율을 9%에서 13%로 높이는 데까지는 합의에 이르렀다. 하지만 더불어민주당은 소득대체율 45%를, 국민의힘은 43% 또는 구조개혁을 전제로 한 조건부 소득대체율 44%를 주장하면서 차이를 좁히지 못해 개혁안 처리는 답보 상태였다.

전문가들은 보험료율 4%포인트 인상(9%→13%)이라는 지점까지 사회적 합의에 다다른 데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정부가 책임감 있게 개혁안을 제시하지 못한 것이 불필요하게 개혁 논의를 지연시켰다고 지적했다. 오건호 내가만드는복지국가 정책위원장은 “22대 국회 논의 때는 정부가 기초연금을 고려한 구조개혁 내용을 담고, 그에 맞는 소득대체율 수준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청사진을 내놔야 한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 2월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연금개혁이 1년 지체될 때마다 발생하는 국가 재정 부담이 수십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는 분석 결과를 발표하며, 인구구조가 역피라미드로 바뀌기 전에 개혁을 빨리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오 위원장은 “보험료율을 인상한다고 하더라도 내년에 당장 4%포인트가 오르는 것은 아니고 1년에 0.3~0.4%포인트씩 10년에 걸쳐 오르는 방식으로 추진될 것이기 때문에 논의가 1년 미뤄진다고 연금 재정에 당장 수조원 적자가 생기는 것은 아니다”라며 “하지만 미룰 이유가 없는데 미루는 것이 문제고, 근본적인 구조개혁 등 논의할 것들이 많아 보험료율 합의부터 서둘러 도출해야 한다”고 말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32576 "슈퍼 IP덕인가"···카카오페이지 2년간 도서앱 매출 1위 랭크뉴스 2024.05.30
32575 '얼차려 사망' 인권위, 현장조사 진행…4일 직권조사 여부 결정 랭크뉴스 2024.05.30
32574 대표직 유지한 민희진 “다른 어도어 경영진 교체도 안돼”···하이브 “법원 결정 존중” 랭크뉴스 2024.05.30
32573 SK, 자사주 69만주 소각… 매입가 기준 1200억원 규모 랭크뉴스 2024.05.30
32572 종부세 대상 27%가 1주택자…"부동산 세제 전반 대수술 시급" 랭크뉴스 2024.05.30
32571 교회 여고생 학대 사망… 신도 이어 합창단장·단원도 구속 랭크뉴스 2024.05.30
32570 "똘똘! 뭉치자" "당원 정신교육"…국민의힘, 개원 첫날부터 '집안 단속' 랭크뉴스 2024.05.30
32569 희대의 이혼소송, 2심 뒤집은 ‘노태우 50억 약속어음 6장’ 랭크뉴스 2024.05.30
32568 최태원·노소영 재산분할 1조3808억원…세기의 이혼 판결 랭크뉴스 2024.05.30
32567 법원 "노태우로부터 SK에 상당한 자금 유입…방패막 역할도" 랭크뉴스 2024.05.30
32566 명상실·음감실 갖춘 ‘한강뷰’ 임대주택···그래서 임대료는요?[가보니] 랭크뉴스 2024.05.30
32565 최태원-노소영 '세기의 결혼' 재산분할 1.3조 '세기의 이혼'으로 랭크뉴스 2024.05.30
32564 윤 대통령 “2045년 화성 탐사, ‘스페이스 광개토 프로젝트’ 추진” 랭크뉴스 2024.05.30
32563 인명진 “김건희 여사의 ‘최순실화’, 이런 말 가볍게 봐선 안 돼” 랭크뉴스 2024.05.30
32562 故 조석래 효성 명예회장 지분 교통정리… 차남에도 일부 상속 랭크뉴스 2024.05.30
32561 의대 지역인재전형 1913명…두배로 늘며 ‘지방유학’ 우려 랭크뉴스 2024.05.30
32560 "콩쥐가 이긴다" 민희진, 버티기 성공…하이브와 '불편한 동거' 랭크뉴스 2024.05.30
32559 사람 목숨 앗은 ‘오염 냉면’ 판 업주… 집행유예 2년 선고 랭크뉴스 2024.05.30
32558 드디어 ‘민증’ 안들고 다녀도 된다…12월27일부터 랭크뉴스 2024.05.30
32557 베르사체-SPA 브랜드가 한층에…"컨버전스형 프리미엄 쇼핑몰" 랭크뉴스 2024.05.30